전체 글 610

한국 속담 : 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

한국 속담 시리즈 138편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 1. 속담 뜻풀이**“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는 아주 작은 존재, 이미 없는 것이나 다름없는 약자를 더욱 괴롭히거나 아주 보잘것없는 것까지 빼앗으려는 행위를 비유하는 속담이에요. 벼룩은 몸집이 작고 간이 있다고 해도 얼마나 될까요?그 하찮은 것까지 얻으려 한다는 건 너무나 인색하거나 욕심이 지나침을 꼬집는 표현이죠.🌿 2. 삶의 예시▪️ 생활이 넉넉하지 않은 친구에게 밥값을 억지로 더치페이하게 만드는 경우.▪️ 이미 작은 가게를 운영하는 상인에게 큰 기업이 터무니없이 수수료나 임대료를 올려 짓누를 때.▪️ 여유가 있는 사람이 없는 이에게 조금도 양보하지 않고 끝까지 다 챙기려 드는 모습. 이럴 때 우리는 “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는 속담을 떠..

한국 설화 : 산청 남사예담마을 선비 이야기

▪️한국 설화 시리즈 139편산청 남사예담마을 선비 이야기🏡 1. 설화의 배경경상남도 산청군에 위치한 남사예담마을은 전통 한옥과 돌담길이 잘 보존된 고장이에요. 이곳은 조선 시대 학문과 예절을 중시하던 선비들의 발자취가 깊이 남아 있는 마을로, 이름 그대로 ‘예(禮)를 담은 마을’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마을 어귀마다 이어지는 긴 담장과 고풍스러운 기와집은 지금도 옛 선비 정신을 고스란히 전하고 있지요.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옛날, 남사예담마을에는 학문과 예절을 존중하는 한 선비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유학을 깊이 익히고, 항상 절제된 삶을 살며 마을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어요. 어느 날 인근 마을에 가뭄과 기근이 들어 많은 이들이 굶주리게 되었습니다. 이때 남사예담..

한국 설화 : 봉화 청량산 김생의 글씨 전설

▪️한국 설화 시리즈 138편봉화 청량산 김생의 글씨 전설 ✒️ 1. 설화의 배경경상북도 봉화에 위치한 청량산은 ‘하늘의 정원’이라 불릴 만큼 빼어난 산세와 맑은 기운을 간직한 곳이에요. 이곳은 단순히 아름다운 자연경관만으로 유명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서예의 대가 김생(金生, 8세기 통일신라의 명필)의 전설이 깃든 산이기도 합니다. 김생은 ‘서예의 성인’이라 불리며, 당나라에서도 그의 글씨를 높이 평가했을 정도로 뛰어난 필력을 지녔다고 전해져요.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김생은 평생을 글씨와 함께 살았던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붓을 잡으면 신선이 내려와 손끝을 이끌 듯 신묘한 필치를 펼쳤다고 하지요. 어느 날 김생은 청량산 깊은 절벽 아래에서 홀로 글씨를 쓰며 수행을 하고 있었어요. 산새의 울음소..

한국 전통놀이 : 비석치기

🪨한국 놀이 13편비석치기1. 놀이 소개비석치기는 납작한 돌(비석)을 세워두고, 다른 돌을 던져 맞혀 쓰러뜨리는 전통 어린이 놀이예요.단순하지만 집중력, 손의 힘 조절, 정확성을 필요로 해서 아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죠.2. 놀이 방법▪️ 납작한 돌을 세워놓고 일정 거리에서 작은 돌을 던져 쓰러뜨립니다.▪️ 더 많이, 더 정확히 맞히는 사람이 승자가 됩니다.▪️ 돌 대신 작은 나무 조각이나 기왓장 파편 등을 사용하기도 했어요.3. 세계의 유사 놀이미국 : Bottle knockdown game (캔이나 병을 던져 맞히는 놀이)인도 : Lagori (Seven Stones) – 돌을 쌓아놓고 공으로 맞혀 무너뜨린 뒤 다시 쌓는 놀이터키 : 아이들이 Taş Oyunu라 하여 비슷한 돌 맞히기 놀이를 ..

한국 속담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 난다

한국 속담 137편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 난다🐂 1. 속담 뜻풀이**“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 난다”**는성격이나 행동이 좋지 않은데, 거기에 힘이나 권력까지 더해지면 더 큰 해를 끼친다는 의미의 속담이에요. 본래 송아지는 뿔이 이마에 나야 하는데, 엉뚱하게 엉덩이에 뿔이 났다고 상상해 보세요.성질도 사나운데 이상한 데까지 뿔이 나면 다루기 힘든 존재가 되듯, 사람도 기본 성품이 나쁜데 권력을 가지면 위험해진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죠.🌿 2. 삶의 예시▪️ 회사에서 평소 이기적이고 남을 무시하는 사람이 승진을 해버리면, 권한을 이용해 동료들을 더 괴롭히는 경우가 있어요.▪️ 학교에서도 규칙을 지키지 않던 아이가 반장이 되면, 책임감 대신 권력을 남용해 반 분위기를 더 흐려버릴 수 있죠.▪️ 그래서 ..

한국 설화 : 부석사 무량수전과 선묘낭자 전설

▪️한국 설화 137편부석사 무량수전과 선묘낭자 전설🏯 1. 설화의 배경경상북도 영주에 자리한 부석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고찰 가운데 하나로, 통일신라 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집니다. 부석사(浮石寺)라는 이름부터 특별한 전설을 품고 있는데, 바로 무량수전(無量壽殿)과 ‘선묘낭자’의 이야기가 깊게 얽혀 있어요.지금도 무량수전 앞마당에는 큰 돌 하나가 떠 있는 듯 놓여 있는데, 이는 바로 선묘낭자의 혼과 연결된 신비로운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신라의 고승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귀국하려 했을 때, 그를 따르던 한 여인이 있었으니 바로 ‘선묘낭자’입니다. 선묘는 의상을 깊이 사랑했지만, 의상은 수행자의 길을 택한 사람이라 그 마음을 받아줄 수 없었지요. 의상..

한국 전통놀이 : 공기놀이

🎲한국 전통놀이 12편공기놀이▪️ 놀이 소개공기놀이는 작은 돌멩이나 오목한 모양의 조각을 손가락으로 던지고 받으면서 즐기는 놀이예요.예전에는 강가나 마당에서 주워온 작은 돌을 사용했지만, 지금은 오목한 모양의 ‘공깃돌’을 많이 씁니다. ▪️ 놀이 방법공깃돌 5개를 바닥에 놓고 하나를 던져 공중에 있는 동안 바닥의 돌을 집어 올려 다시 받습니다.점점 난이도가 올라가면서 한 번에 2개, 3개… 마지막엔 5개까지 집어야 성공이에요.돌을 집는 순서와 방법이 다양해, 지역마다 규칙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재미와 의미공기놀이는 손놀림의 재빠름, 집중력, 순발력을 키우는 놀이였고, 특히 아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어요.소소한 도구만 있으면 누구나 즐길 수 있어 마당, 교실, 골목길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놀이랍니..

한국 전통놀이 : 고무줄놀이

한국 전통놀이 11편고무줄놀이🪢 1. 놀이 소개고무줄놀이는 주로 초등학생 여자아이들 사이에서 많이 즐기던 놀이예요.두 명이 마주 서서 다리 사이에 고무줄을 걸고, 한 명이 점프하며 다양한 동작을 이어가요.노래나 구호를 부르며 단계별로 점점 높아지는 고무줄을 넘는 방식으로 진행되지요.👣 2. 놀이 방법▪️ 두 명이 마주보고 서서 발목, 종아리, 무릎, 허리, 겨드랑이 높이까지 고무줄을 걸어요.▪️ 다른 한 명이 고무줄을 넘거나 밟고, 꼬거나 푸는 다양한 동작을 하며 진행해요.▪️ 동작을 성공하면 계속 이어가고, 실패하면 역할을 바꿔요.▪️ 지역마다 “달고나~ 달고나~” 같은 노래를 부르며 즐기기도 했어요.🌼 3. 놀이의 의미▪️ 고무줄놀이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아이들의 균형감각·순발력·협동심을 기..

한국 설화 : 고창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전설

▪️한국 설화 136편고창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전설🪨 1. 설화의 배경전라북도 고창에 위치한 선운사는 ‘꽃무릇’으로도 유명하지만, 그 속 깊은 산중에 자리 잡은 도솔암(兜率庵)은 더욱 신비로운 기운을 풍깁니다. 도솔암의 암벽에는 불상을 새긴 마애불이 모셔져 있는데, 이 불상은 천 년도 넘는 세월을 비바람 속에서도 미소를 잃지 않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 마애불을 두고 기묘한 기운과 기적 같은 이야기를 전해왔습니다.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옛날, 선운사 도솔암 근처에는 가뭄이 잦아 백성들이 농사를 짓기 힘들었어요. 어느 해, 심한 가뭄으로 논밭이 모두 말라붙자 마을 사람들은 하늘에 기도를 올렸지만 비는 내리지 않았습니다. 그때 산중에 은둔한 한 스님이 나타나 바위에 정성스레 불상을 새기기 시작..

한국 속담 : 얌전한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 한국 속담 136편얌전한 고양이가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1. 속담 뜻풀이겉으로는 얌전하고 조용해 보이는 사람이 실제로는 누구보다 재빠르게 이익을 챙기거나 행동한다는 의미예요.겉모습과 실제 성향은 다를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지요. 🌾 2. 삶의 예시회사에서 늘 말없이 조용하던 동료가, 승진 기회가 오자 누구보다 먼저 준비하고 성과를 내는 경우가 있어요.친구 모임에서도 늘 순한 척하던 사람이, 맛집 예약이나 좋은 자리 차지는 제일 먼저 하기도 해요.겉모습만 보고 ‘얌전해서 소극적일 거야’라고 단정 짓는 건 섣부른 판단일 수 있다는 걸 알려줍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이 깊다 → 조용해 보이는 사람에게 깊은 속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