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보 이야기 47

한국의 국보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6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 위치 : 경주시 불국로 불국사 비로전⏳ 시대 :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경)✨ 1. 역사와 개요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은 통일신라 불교 조각의 정수이자, 불국사의 중심 법당인 **비로전(毘盧殿)**에 봉안된 존귀한 불상입니다.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은 우주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로, 모든 부처의 근원이자 깨달음의 본체로 여겨집니다.따라서 이 불상은 단순한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우주의 근원적 진리를 형상화한 존재입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1.77m, 금동으로 주조된 좌상 형태입니다.얼굴은 원만하고 단정하며, 눈은 반쯤 감겨 있어 깊은 명상의 경지를 표현합니다.가슴은 풍만하고 어..

한국의 국보 :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5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 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시대: 통일신라 문무왕 3년(663년)✨ 1. 역사와 개요경주 태종무열왕릉비는 **삼국통일의 주역,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김춘추)**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입니다.이 비는 신라 왕릉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통일신라 건국의 기념비적인 유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태종무열왕은 백제·고구려를 통일하여 한반도 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그의 공덕과 위업을 찬양하기 위해 비석이 세워졌습니다.비는 무열왕릉 바로 앞에 세워져 있으며, 현재는 비신과 귀부(거북 받침돌)만 남아 있습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2.4m로, 거북 모양 받침돌(귀부) 위에 비신이 세워진 형태입니..

한국의 국보 : 경주 석굴암 석굴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4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 위치: 경북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 중턱⏳ 시대: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경 착공, 혜공왕 10년(774년) 완성)✨ 1. 역사와 개요경주 석굴암은 통일신라 불교 예술의 정점이자, 세계 불교미술사에서 손꼽히는 걸작입니다.토함산 동쪽 중턱에 자리한 인공 석굴로, 석공과 장인의 손으로 완벽한 구조와 조형미를 이룬 불교 예배 공간입니다. 김대성이 설계·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는 불국사를 현세의 부모를 위한 절로, 석굴암은 전세의 부모를 위한 절로 세웠다고 전해집니다.그만큼 부모 은혜와 자비의 정신이 깊이 깃든 성소입니다.🏛️ 2. 구조와 특징전체 구조는 인공적으로 쌓은 석조 석굴이며, 돔 형태의 주실(..

한국의 국보 :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3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 시대 :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경)✨ 1. 역사와 개요불국사는 인간의 세상에서 부처의 세계로 나아가는 **불국토(佛國土)**를 상징적으로 구현한 사찰입니다.그 입구에 자리한 **청운교(靑雲橋)**와 **백운교(白雲橋)**는 속세에서 하늘(극락)로 오르는 상징적 통로로, 불국사의 아름다움과 깊은 상징미를 함께 보여줍니다. 이 돌계단은 불국사의 대표적 석축 구조물로, 완벽한 비례와 부드러운 곡선, 그리고 상징적 의미가 조화를 이룬 통일신라 건축의 정수입니다.🏛️ 2. 구조와 특징총 높이 약 10.5m로, 아래쪽의 백운교와 위쪽의 청운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백운교는 ..

한국의 국보 :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2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위치: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시대: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경)✨ 1. 역사와 개요불국사는 부처의 세계를 현실에 구현하고자 세워진 사찰입니다.그중 **연화교(蓮華橋)**와 **칠보교(七寶橋)**는 부처의 세계로 오르는 상징적 다리로, 속세에서 불국토로 나아가는 정신적 길을 표현합니다. 이 두 다리는 불국사 청운교·백운교와 함께 신라 석축 기술과 종교적 상징미가 완벽히 어우러진 대표적인 걸작으로 평가받습니다.🏛️ 2. 구조와 특징전체 길이 약 5.4m, 폭 약 3m로 구성된 돌계단식 교량입니다.아래쪽 다리인 칠보교(아래계단)는 네모진 석재로 단단히 쌓였고,위쪽의 연화교(윗계단)는 이름처럼 연꽃무늬..

한국의 국보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1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 위치:경주시 불국로 불국사 대웅전 앞⏳ 시대: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경)✨ 1. 역사와 개요경주 불국사 대웅전 앞마당에 자리한 삼층석탑은 **‘석가탑(釋迦塔)’**이라 불리며, 불국사의 상징이자 통일신라 석조예술의 결정체로 꼽힙니다. 화려한 다보탑과 마주 서 있지만, 석가탑은 그와 정반대의 성격을 가집니다.다보탑이 장식과 곡선의 미학이라면, 석가탑은 절제와 균형의 미학을 상징합니다. 그 단순한 구조 속에는 통일신라 불교의 정신적 깊이와 미적 완벽함이 깃들어 있습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8.2m, 단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구조입니다.각 층의 비례가 정교하게 계산되어 있어, 보는 각도마다 완벽한 ..

한국의 국보 : 경주 불국사 다보탑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0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불국사 다보탑 -📍 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불국사⏳ 시대 :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경)✨ 1. 역사와 개요경주 불국사에 자리한 다보탑은 통일신라의 예술성과 정신세계를 가장 아름답게 표현한 대표 석탑입니다.대웅전 앞마당에서 단정하고 절제된 **석가탑(국보 제21호)**과 마주 서 있으며, 두 탑은 **신라 예술의 ‘조화와 대비’**를 상징합니다. 불국사는 부처의 세계를 형상화한 절로, 다보탑은 그중에서도 불교의 이상세계와 깨달음의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중심 조형물입니다.🏛️ 2. 구조와 특징전체 높이 약 10.4m로, 섬세하고 정교한 구조미를 자랑합니다.네모난 기단 위에 원형·팔각형의 구조가 조화롭게 이어지며,그 위로 난간·계단..

한국의 국보 : 영주 부석사 조사당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19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영주 부석사 조사당 -📍위치: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시대:고려 중기(1377년 이전, 14세기경으로 추정)✨ 1. 역사와 개요영주 부석사 조사당(祖師堂)은 통일신라의 고승 **의상대사(義湘大師)**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전각입니다.무량수전 바로 옆에 자리하며, 고즈넉한 산사 풍경 속에서 절의 깊은 역사와 정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의 건물은 고려 중기에 중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선종계(禪宗系) 조사당 건물로 꼽힙니다.단아한 목조건축의 아름다움 속에 의상대사에 대한 존경과 불교의 정신이 오롯이 담겨 있습니다.🏛️ 2. 구조와 특징정면 3칸, 측면 2칸의 아담한 맞배지붕 구조기둥은 배흘림기둥이며, 목재의 결이 자연스럽..

한국의 국보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18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 위치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시대 : 고려시대(1376년 중건, 원형은 통일신라 7세기 창건)✨ 1. 역사와 개요부석사 무량수전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불전(佛殿)이자, 현존하는 한국 최고(最古)의 목조건축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의상대사가 통일신라 문무왕 때 창건하였으며, 현재의 건물은 고려 후기에 중건된 형태이지만, 그 안에 담긴 신라 불교의 정신과 미학은 그대로 이어집니다. ‘무량수전(無量壽殿)’은 **아미타불(無量壽佛)**을 모신 전각으로, 극락세계를 상징하는 공간입니다.이 전각은 한국 전통건축의 원형과 균형미를 완벽하게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힙니다.🏛️ 2. 구조와 특징정면 5칸, 측면 3..

한국의 국보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17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위치: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부석사⏳시대:통일신라시대(8세기경)✨ 1. 역사와 개요영주의 부석사(浮石寺)는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통일신라 불교의 정신과 예술이 깃든 성스러운 공간입니다.그 중심 법당인 무량수전 앞에는 신라 석공예의 정수를 보여주는 석등이 세워져 있습니다.이 석등은 완벽한 비례와 정제된 조형미로, 한국 석등 중에서도 가장 조화롭고 이상적인 형태라 평가받습니다.🏛️ 2. 구조와 특징전체 높이 약 2.8m, 8각형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아래에는 연꽃무늬 받침돌이, 위로는 불빛을 담는 화사석(火舍石)이 자리해 있습니다.옥개석(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부드럽게 들려 있어 생동감이 있고, 전체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