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2
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
📍위치: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
⏳시대: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경)
✨ 1. 역사와 개요
불국사는 부처의 세계를 현실에 구현하고자 세워진 사찰입니다.
그중 **연화교(蓮華橋)**와 **칠보교(七寶橋)**는 부처의 세계로 오르는 상징적 다리로, 속세에서 불국토로 나아가는 정신적 길을 표현합니다.
이 두 다리는 불국사 청운교·백운교와 함께 신라 석축 기술과 종교적 상징미가 완벽히 어우러진 대표적인 걸작으로 평가받습니다.
🏛️ 2. 구조와 특징
- 전체 길이 약 5.4m, 폭 약 3m로 구성된 돌계단식 교량입니다.
- 아래쪽 다리인 칠보교(아래계단)는 네모진 석재로 단단히 쌓였고,
위쪽의 연화교(윗계단)는 이름처럼 연꽃무늬가 새겨진 돌로 꾸며져 있습니다. - 계단의 곡선과 석재의 조화가 부드럽고, 한 걸음 한 걸음 오를수록 마치 다른 세계로 향하는 듯한 신비로운 느낌을 줍니다.
- 위로 오르면 극락전으로 이어져, “부처의 세계로 향하는 길”이라는 상징이 완성됩니다.
📜 3. 전해지는 이야기
전설에 따르면, 연화교와 칠보교는 불국사 창건 당시 부처님께 올리는 다리로 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꽃은 깨달음의 상징이고, 칠보(七寶)는 불교에서 말하는 일곱 가지 보배(금, 은, 유리, 수정, 산호, 호박, 진주)를 뜻합니다.
따라서 이 다리를 오르는 것은 곧 속세의 번뇌를 씻고, 깨달음의 세계로 향하는 수행의 길을 의미했습니다.
🌿 4. 문화적 의의
- 신라 석축 건축의 정교함과 예술성을 보여주는 대표작
- 석재의 조형미와 불교적 상징이 조화를 이룬 독창적 구조
- 단순한 다리가 아니라 **‘부처의 세계로 향하는 길’**이라는 정신적 상징물
- 통일신라 시대 불교미술의 공간 개념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산
💡 따뜻한 한마디
한 계단, 한 계단 오를 때마다 마음의 먼지가 씻겨 나가듯, 연화교와 칠보교는 우리 마음속에도 고요한 길을 놓아줍니다.
📌 안내
국보 번호는 단순한 지정 순서를 나타낼 뿐, 가치의 우열을 뜻하지 않습니다.
더 많은 정보는 👉국가유산 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국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국보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0) | 2025.10.12 |
---|---|
한국의 국보 : 경주 불국사 다보탑 (0) | 2025.10.11 |
한국의 국보 : 영주 부석사 조사당 (0) | 2025.10.09 |
한국의 국보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0) | 2025.10.08 |
한국의 국보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0) | 2025.10.07 |
한국의 국보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0) | 2025.10.06 |
한국의 국보 : 안동 봉정사 극락전 (0) | 2025.10.05 |
한국의 국보 : 영천 거조사 영산전 (0) | 2025.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