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보 이야기 47

한국의 국보 : 상원사 동종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36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상원사 동종 - 📍 위치: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상원사⏳ 시대: 통일신라 성덕왕 24년(725년)✨ 1. 역사와 개요상원사 동종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 청동범종으로, 통일신라의 예술성과 과학기술이 완벽하게 결합된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이 종은 오대산 깊은 산중, 상원사 법당 앞에서 천 년 넘게 울려온 영혼의 소리이자, 불교의 자비와 깨달음을 상징하는 신성한 종으로 여겨집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1.7m, 입지름 약 1m의 아담한 크기지만, 소리는 맑고 깊어 산속을 넘어 멀리 퍼집니다.상단의 **용뉴(龍鈕)**는 용 한 마리가 여의주를 물고 있는 형태로, 나선형의 꼬리와 역동적인 비늘 표현이 섬세합니다.어깨 부분에는 **비천..

한국의 국보 :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35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 📍위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천은사로 539, 화엄사⏳시대: 통일신라 후기(9세기경)✨ 1. 역사와 개요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은 이름 그대로 **네 마리의 사자(四獅子)**가 탑을 떠받치고 있는 독특한 구조로, 통일신라 석탑 가운데서도 가장 예술적이고 상징적인 형태로 손꼽힙니다. 화엄사는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화엄사상(華嚴思想)의 중심지입니다.이 탑은 그 철학처럼, **부처의 진리를 굳건히 지키는 ‘사자들의 신앙적 수호’**를 상징하고 있지요.🏛️ 2. 구조와 특징전체 높이 약 3.9m로,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이 세워진 전형적인 구조입니다.그러나 가장 큰 특징은 기단을 네 마리의 사자가 받치고..

한국의 국보 :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34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 위치: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술정리⏳ 시대: 통일신라시대(8세기경)✨ 1. 역사와 개요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석탑 양식의 정수를 보여주는 걸작으로, 조용한 들판 위에 천 년 넘게 서 있는 아름다운 석탑입니다.통일신라의 불교미술이 가장 성숙하던 8세기 무렵에 세워진 이 탑은, 현재는 절터만 남아 있지만, 그 형태와 비례의 아름다움 덕분에한국 석탑 양식의 표준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2. 구조와 특징전체 높이는 약 6.4m이며, 2단 기단 위에 3층 탑신이 세워져 있습니다.석재는 고운 화강암으로 다듬어졌고, 탑의 각 부분이 정교하게 짜여져 있습니다.1층 기단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으며..

한국의 국보 :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33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 📍 위치: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시대: 신라 진흥왕 21년(560년경)✨ 1. 역사와 개요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는 신라의 국경 확장을 기념해 세운 비석으로,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이 영토를 넓히고 국권을 강화하던 시기의 역사를 보여주는 귀중한 유물입니다. 이 비는 진흥왕이 직접 순행하며 새로운 영토를 다스리게 된 지역에 세운 국경 기념비(척경비, 拓境碑) 중 하나로, 현재 남한 곳곳에서 발견된 여러 진흥왕비들 가운데 가장 보존 상태가 뛰어난 비석으로 평가받습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2.3m, 너비 1.1m의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습니다.윗부분에는 구름을 타고 나는 용무늬가 새겨진 *..

한국의 국보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32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 위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 시대: 고려 고종 24년(1237년) ~ 고종 38년(1251년) 제작✨ 1. 역사와 개요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은 흔히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라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완벽하고 정교한 불교 경전의 목판 인쇄본입니다. 고려시대에 몽골 침입이라는 국난 속에서도, 나라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며 백성들과 승려들이 힘을 모아 새긴 결과물이에요.그 마음이 모여 만들어진 경판은 1장 1장이 모두 정성으로 다듬어진 불심의 결정체입니다.🪵 2. 구조와 특징총 **81,258장(팔만여 장)**의 경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장의 크기는 길이 약 70cm, 폭 24cm, 두께 3cm 정도..

한국의 국보 : 경주 첨성대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31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경주 첨성대 - 📍 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시대: 신라 선덕여왕 7년(서기 634년)✨ 1. 역사와 개요경주 첨성대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신라인들의 뛰어난 과학적 지식과 우주관을 상징하는 걸작입니다. ‘첨성대(瞻星臺)’라는 이름은 **‘별을 바라보는 곳’**이라는 뜻으로, 신라의 천문학자들이 하늘의 별자리를 관찰하고농사철과 계절의 변화를 기록하던 장소로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여성 통치자였던 선덕여왕의 치세에 세워졌다는 점에서, 신라가 얼마나 문화적·과학적으로 성숙했던 시대였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9.17m, 돌로 쌓은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총 362개의 화강석을 사용했는데..

한국의 국보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30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 📍 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분황사⏳ 시대: 선덕여왕 3년(634년, 신라시대)✨ 1. 역사와 개요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은 신라 최초의 석탑이자, 한국 석탑 건축의 출발점으로 평가받는 귀중한 유산입니다. ‘모전석탑(模塼石塔)’이란 이름처럼,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탑으로, 신라가 중국의 전탑(벽돌탑) 양식을 받아들이면서도 한국적 재료인 돌로 재해석한 최초의 시도입니다. 분황사는 선덕여왕 때 창건된 사찰로, 불교의 융성과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세워졌습니다.따라서 이 탑은 신라의 국가적 신앙의 상징이자, 새로운 예술형식의 탄생을 보여주는 기념비적 건축물입니다.🏛️ 2. 구조와 특징원래는 9층 규모였으나 ..

한국의 국보 : 경주 성덕대왕신종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9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경주 성덕대왕신종 - 📍위치:경주시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내⏳시대:통일신라 혜공왕16년(771년) 완성✨ 1. 역사와 개요경주 성덕대왕신종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종(鐘)**이자, 통일신라 금속공예의 절정을 보여주는 세계적 명작입니다. 이 종은 신라 제35대 경덕왕이 부친 성덕왕의 덕을 기리기 위해 주조를 명했으며, 그 아들 혜공왕 때 완성되었습니다.주조에는 무려 30년이 넘는 세월이 걸렸으며, 그 결과 예술, 과학, 종교가 완벽히 조화된 걸작이 탄생했습니다. 지금은 경주 국립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그 아름다운 소리 덕분에 사람들은 예로부터 **“에밀레종”**이라 부르며 사랑해 왔습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3.3m, 지름 2...

한국의 국보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8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 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백률사⏳ 시대: 통일신라 7세기 중엽✨ 1. 역사와 개요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은 신라 불교 조각의 초기 형식을 잘 보여주는 금동불상으로, 현재까지 전해지는 약사불 입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불상은 통일신라 불교가 본격적으로 꽃피던 시기의 신앙적 상징물로, 질병과 고통을 치유하는 부처, 즉 **약사여래(藥師如來)**를 형상화했습니다.백률사는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된 고찰로, 불교의 자비와 치유의 정신이 깊이 깃든 사찰입니다.🏛️ 2. 구조와 특징전체 높이 약 1m의 금동입상으로, 단정하면서도 엄숙한 자태를 지니고 있습니다.얼굴은 둥글고 부드러우며, 눈은 가늘게..

한국의 국보 :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7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 위치: 경주시 불국사 극락전(極樂殿)⏳ 시대: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경)✨ 1. 역사와 개요이 불상은 불국사 극락전에 봉안된 아미타불상으로, 통일신라 불교 조각 예술의 절정과 신앙적 깊이를 함께 보여주는 걸작입니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은 서방극락세계의 부처로, 중생을 구제하여 극락정토로 인도하는 자비의 화신입니다.따라서 이 불상은 신라인들이 꿈꾸던 평화와 구원의 상징이자, 불국사의 정신적 중심을 이루는 존재입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1.66m의 금동 좌상으로, 정제되고 부드러운 조형미가 특징입니다.얼굴은 둥글고 자비로운 미소를 머금고 있으며, 눈은 반쯤 감겨 깊은 명상의 상태를 표현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