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02

한국 전통놀이 : 장치기

🏑 한국 전통놀이 69편장치기 (지상격구)✨ 1. 놀이의 개요장치기는 **긴 나무 막대(채)**로 나무공을 쳐서 상대편 골문에 넣는 전통 구기놀이로, 고려시대의 **격구(擊毬)**에서 유래한 한국의 옛 필드하키입니다.조선시대에는 궁중과 양반층에서 **‘타구(打毬)’**라 불리며 성행했고, 이후 민간으로 전파되어 겨울철 농한기나 명절놀이로 발전했습니다. 1930년대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식 고취와 체력 단련을 위해 ‘장치기대회’가 열릴 만큼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2. 기원과 역사고려시대 격구(擊毬) : 말을 타고 공을 치는 귀족 경기로 시작.조선시대 타구(打毬) : 궁중 의식이나 연회 때 즐기던 귀족 스포츠.민간 장치기 : 마상격구가 사라진 뒤, 지상에서 막대와 공을 사용하는 형태로 변화.근대..

한국의 국보 :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5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 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시대: 통일신라 문무왕 3년(663년)✨ 1. 역사와 개요경주 태종무열왕릉비는 **삼국통일의 주역,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김춘추)**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입니다.이 비는 신라 왕릉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통일신라 건국의 기념비적인 유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태종무열왕은 백제·고구려를 통일하여 한반도 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그의 공덕과 위업을 찬양하기 위해 비석이 세워졌습니다.비는 무열왕릉 바로 앞에 세워져 있으며, 현재는 비신과 귀부(거북 받침돌)만 남아 있습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2.4m로, 거북 모양 받침돌(귀부) 위에 비신이 세워진 형태입니..

Korean Proverb : A Tower Built with Sincerity Will Not Collapse

Korean Proverb Series 22A Tower Built with Sincerity Will Not Collapse"공든 탑이 무너지랴"(Gongdeun tap-i muneojirya)🕰️ 1. The Proverb’s Core MeaningThe Korean proverb “공든 탑이 무너지랴” literally translates to:“Would a tower built with devotion ever collapse?”It means that sincere, consistent effort will never go unrewarded. The proverb celebrates diligence, faithfulness, and the belief that hard work groun..

Korean Folktale : The Legend of Mangbuseok

🌊 Korean Folktale Series 22“The Legend of Mangbuseok”(망부석 전설 · Mangbuseok Jeonseol)🕰️ 1. The StoryLong ago,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there lived a devoted woman whose husband had been sent away on a long journey across the sea. Before he left, they stood by the shore and promised to reunite no matter how many years might pass. Seasons changed, yet her husband did not return. Each morning..

Stories of Korea’s National Treasures : Seven-Story Brick Pagoda at Beopheungsa Temple Site, Andong

🧱 Stories of Korea’s National Treasures 16Photo Credi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Seven-Story Brick Pagoda at Beopheungsa Temple Site, Andong(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 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 1. History and DescriptionThe Seven-Story Brick Pagoda at Beopheungsa Temple Site, located in Andong, Gyeongsangbuk-do, i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 16 of Korea.Believed to have been constructed in t..

한국 속담 : 독수리는 파리를 못 잡는다

🦅 한국 속담 189편– 독수리는 파리를 못 잡는다🕰️ 1. 속담 뜻풀이“독수리는 파리를 못 잡는다”는 능력 있는 사람이라도 사소하고 하찮은 일에는 능숙하지 못할 수 있다는 뜻의 속담입니다. 독수리는 큰 짐승을 사냥하는 강하고 날쌘 새이지만, 작은 파리 같은 미세한 대상은 잡기 어렵습니다.즉, 큰일에 능한 사람일수록 작은 일에는 서투를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합니다. 이 속담은 전문성의 한계와 역할의 차이를 알려주는 지혜로운 표현이기도 합니다. 🌾 2. 삶의 예시▪️ 뛰어난 CEO가 일상적인 사무 절차에는 서툰 경우.▪️ 훌륭한 학자가 사소한 계산이나 정리에 약한 경우.▪️ 실력 있는 예술가가 생활의 작은 부분에서는 어설픈 모습. 이 속담은 사람마다 잘하는 분야가 따로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줍니다.모든..

한국 설화 : 연천 재인폭포 선녀 전설

💧 한국 설화 192편 – 연천 재인폭포 선녀 전설경기도 연천의 깊은 산골짜기, 장대한 물줄기가 떨어지는 **재인폭포(才人瀑布)**에는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사랑과 속죄, 그리고 하늘의 은총이 깃든 전설이 있습니다.📜 1. 재인(才人)의 비밀아득한 옛날, 연천의 계곡 근처에는 춤과 노래에 능한 **재인(才人)**이라 불린 남자가 살았습니다.그는 마을 잔치마다 초대받아 북과 피리를 연주했고, 그의 춤은 사람들의 근심을 잊게 할 만큼 아름다웠습니다. 하지만 그에게는 한 가지 비밀이 있었습니다.밤이 되면 그는 산속 폭포 아래에서 홀로 춤을 추었지요.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하늘의 여인에게 춤을 바친다’**고 수군거렸습니다.🌙 2.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어느 여름날, 그는 폭포 아래에서 노래를 부르며 ..

한국 전통놀이 : 길쌈놀이

🧵 한국 전통놀이 68편길쌈놀이✨ 1. 놀이의 개요길쌈놀이는 예부터 여인들이 삼이나 무명을 잣고 베를 짜며 즐기던 전통적인 공동 노동 놀이입니다.‘길쌈’은 실을 자아 천을 짜는 모든 과정을 말하며, 노동과 놀이가 자연스럽게 하나가 된 생활 속의 예술이었습니다.특히 여름밤 달빛 아래 베틀 소리와 노랫가락이 어우러지는 정경은 한국의 전통미를 대표하는 장면으로 꼽힙니다.🪡 2. 놀이 방법마을 여인들이 저녁이나 달 밝은 밤에 한집에 모입니다.각자 베틀이나 물레를 앞에 두고 삼실, 무명실, 비단실을 자아 올립니다.일하는 동안 **길쌈노래(길쌈가)**를 부르며 흥을 돋웁니다.“달아 달아 밝은 달아~ 길쌈하는 내 손 밝혀주오~”노래와 장단에 맞춰 서로의 작업 속도를 맞추며, 농담과 웃음이 오갑니다.마무리 후에는 ..

한국의 국보 : 경주 석굴암 석굴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4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 위치: 경북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 중턱⏳ 시대: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경 착공, 혜공왕 10년(774년) 완성)✨ 1. 역사와 개요경주 석굴암은 통일신라 불교 예술의 정점이자, 세계 불교미술사에서 손꼽히는 걸작입니다.토함산 동쪽 중턱에 자리한 인공 석굴로, 석공과 장인의 손으로 완벽한 구조와 조형미를 이룬 불교 예배 공간입니다. 김대성이 설계·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는 불국사를 현세의 부모를 위한 절로, 석굴암은 전세의 부모를 위한 절로 세웠다고 전해집니다.그만큼 부모 은혜와 자비의 정신이 깊이 깃든 성소입니다.🏛️ 2. 구조와 특징전체 구조는 인공적으로 쌓은 석조 석굴이며, 돔 형태의 주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