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42

한국 속담 :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한국 속담 시리즈 139편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 1. 속담 뜻풀이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한 번 큰 충격이나 두려움을 겪은 사람은 비슷하게 생긴 사소한 것만 봐도 쉽게 겁을 먹는다는 의미예요. 자라의 납작한 등껍질을 보고 깜짝 놀란 사람이 모양이 비슷한 솥뚜껑만 봐도 놀라버리는 상황을 빗댄 표현이지요.즉, 트라우마와 과도한 불안 반응을 풍자한 속담입니다. 🌿 2. 삶의 예시 ▪️ 교통사고를 당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비슷한 차 소리만 들어도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 경우.▪️ 사기를 한 번 크게 당한 사람이 이후 작은 거래에서도 극도로 의심을 하는 모습.▪️ 발표에서 크게 실수한 경험이 있는 학생이, 다시는 사람들 앞에 서지 못하고 긴장하는 경우. 이 속담..

한국 전통놀이 : 사방치기

◼️ 한국 전통놀이 시리즈 14편사방치기 – 땅 위에 그린 작은 세상 🪵 1. 놀이 소개 사방치기는 땅바닥에 네모 칸(사방)을 그려놓고, 작은 돌이나 조약돌을 던져가며 한 칸씩 밟아가던 놀이예요.‘땅따먹기 놀이’라고도 불리며, 칸을 밟고 돌아오는 과정에서 순발력과 균형감각을 길러주는 전통 어린이 놀이였습니다. 👣 2. 놀이 방법 땅바닥에 네모 칸(보통 8칸~10칸)을 그립니다.조약돌 같은 표시물을 첫 칸에 던집니다.던진 칸은 밟지 않고 건너뛰며 한 칸씩 갔다가 돌아옵니다.모든 칸을 다 돌고 돌아오면 성공! 실패하면 다음 사람 차례가 됩니다.마지막에는 자신의 집(칸)을 정해 독차지할 수도 있어요. 🌐 3. 세계의 유사 놀이 Hopscotch – 유럽/미국땅에 선을 그리고 숫자를 적은 칸을 한 발로 ..

한국 속담 : 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

한국 속담 시리즈 138편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 🪲 1. 속담 뜻풀이 **“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는 아주 작은 존재, 이미 없는 것이나 다름없는 약자를 더욱 괴롭히거나아주 보잘것없는 것까지 빼앗으려는 행위를 비유하는 속담이에요. 벼룩은 몸집이 작고 간이 있다고 해도 얼마나 될까요?그 하찮은 것까지 얻으려 한다는 건 너무나 인색하거나 욕심이 지나침을 꼬집는 표현이죠. 🌿 2. 삶의 예시 ▪️ 생활이 넉넉하지 않은 친구에게 밥값을 억지로 더치페이하게 만드는 경우.▪️ 이미 작은 가게를 운영하는 상인에게 큰 기업이 터무니없이 수수료나 임대료를 올려 짓누를 때.▪️ 여유가 있는 사람이 없는 이에게 조금도 양보하지 않고 끝까지 다 챙기려 드는 모습. 이럴 때 우리는 “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는..

한국 설화 : 산청 남사예담마을 선비 이야기

▪️ 한국 설화 시리즈 139편산청 남사예담마을 선비 이야기 🏡 1. 설화의 배경경상남도 산청군에 위치한 남사예담마을은 전통 한옥과 돌담길이 잘 보존된 고장이에요. 이곳은 조선 시대 학문과 예절을 중시하던 선비들의 발자취가 깊이 남아 있는 마을로, 이름 그대로 ‘예(禮)를 담은 마을’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마을 어귀마다 이어지는 긴 담장과 고풍스러운 기와집은 지금도 옛 선비 정신을 고스란히 전하고 있지요.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옛날, 남사예담마을에는 학문과 예절을 존중하는 한 선비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유학을 깊이 익히고, 항상 절제된 삶을 살며 마을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어요. 어느 날 인근 마을에 가뭄과 기근이 들어 많은 이들이 굶주리게 되었습니다. 이때 ..

한국 설화 : 봉화 청량산 김생의 글씨 전설

▪️ 한국 설화 시리즈 138편봉화 청량산 김생의 글씨 전설 ✒️ 1. 설화의 배경경상북도 봉화에 위치한 청량산은 ‘하늘의 정원’이라 불릴 만큼 빼어난 산세와 맑은 기운을 간직한 곳이에요. 이곳은 단순히 아름다운 자연경관만으로 유명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서예의 대가 김생(金生, 8세기 통일신라의 명필)의 전설이 깃든 산이기도 합니다. 김생은 ‘서예의 성인’이라 불리며, 당나라에서도 그의 글씨를 높이 평가했을 정도로 뛰어난 필력을 지녔다고 전해져요.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김생은 평생을 글씨와 함께 살았던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붓을 잡으면 신선이 내려와 손끝을 이끌 듯 신묘한 필치를 펼쳤다고 하지요. 어느 날 김생은 청량산 깊은 절벽 아래에서 홀로 글씨를 쓰며 수행을 하고 있었어요. 산새의 ..

한국 전통놀이 : 비석치기

🪨 한국 놀이 13편비석치기 1. 놀이 소개 비석치기는 납작한 돌(비석)을 세워두고, 다른 돌을 던져 맞혀 쓰러뜨리는 전통 어린이 놀이예요.단순하지만 집중력, 손의 힘 조절, 정확성을 필요로 해서 아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죠.2. 놀이 방법 ▪️ 납작한 돌을 세워놓고 일정 거리에서 작은 돌을 던져 쓰러뜨립니다.▪️ 더 많이, 더 정확히 맞히는 사람이 승자가 됩니다.▪️ 돌 대신 작은 나무 조각이나 기왓장 파편 등을 사용하기도 했어요.3. 세계의 유사 놀이미국 : Bottle knockdown game (캔이나 병을 던져 맞히는 놀이)인도 : Lagori (Seven Stones) – 돌을 쌓아놓고 공으로 맞혀 무너뜨린 뒤 다시 쌓는 놀이터키 : 아이들이 Taş Oyunu라 하여 비슷한 돌 맞히기 ..

한국 속담 :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 난다

한국 속담 137편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 난다 🐂 1. 속담 뜻풀이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 난다”**는성격이나 행동이 좋지 않은데, 거기에 힘이나 권력까지 더해지면 더 큰 해를 끼친다는 의미의 속담이에요. 본래 송아지는 뿔이 이마에 나야 하는데, 엉뚱하게 엉덩이에 뿔이 났다고 상상해 보세요.성질도 사나운데 이상한 데까지 뿔이 나면 다루기 힘든 존재가 되듯, 사람도 기본 성품이 나쁜데 권력을 가지면 위험해진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죠. 🌿 2. 삶의 예시 ▪️ 회사에서 평소 이기적이고 남을 무시하는 사람이 승진을 해버리면, 권한을 이용해 동료들을 더 괴롭히는 경우가 있어요.▪️ 학교에서도 규칙을 지키지 않던 아이가 반장이 되면, 책임감 대신 권력을 남용해 반 분위기를 더 흐려버릴 수 있죠.▪️..

한국 설화 : 부석사 무량수전과 선묘낭자 전설

▪️ 한국 설화 137편부석사 무량수전과 선묘낭자 전설 🏯 1. 설화의 배경경상북도 영주에 자리한 부석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고찰 가운데 하나로, 통일신라 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집니다. 부석사(浮石寺)라는 이름부터 특별한 전설을 품고 있는데, 바로 무량수전(無量壽殿)과 ‘선묘낭자’의 이야기가 깊게 얽혀 있어요.지금도 무량수전 앞마당에는 큰 돌 하나가 떠 있는 듯 놓여 있는데, 이는 바로 선묘낭자의 혼과 연결된 신비로운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귀국하려 했을 때, 그를 따르던 한 여인이 있었으니 바로 ‘선묘낭자’입니다. 선묘는 의상을 깊이 사랑했지만, 의상은 수행자의 길을 택한 사람이라 그 마음을 받아줄 수 없..

한국 전통놀이 : 공기놀이

🎲 한국 전통놀이 12편공기놀이 ▪️ 놀이 소개공기놀이는 작은 돌멩이나 오목한 모양의 조각을 손가락으로 던지고 받으면서 즐기는 놀이예요.예전에는 강가나 마당에서 주워온 작은 돌을 사용했지만, 지금은 오목한 모양의 ‘공깃돌’을 많이 씁니다. ▪️ 놀이 방법 공깃돌 5개를 바닥에 놓고 하나를 던져 공중에 있는 동안 바닥의 돌을 집어 올려 다시 받습니다.점점 난이도가 올라가면서 한 번에 2개, 3개… 마지막엔 5개까지 집어야 성공이에요.돌을 집는 순서와 방법이 다양해, 지역마다 규칙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 재미와 의미 공기놀이는 손놀림의 재빠름, 집중력, 순발력을 키우는 놀이였고, 특히 아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어요.소소한 도구만 있으면 누구나 즐길 수 있어 마당, 교실, 골목길에서 흔히 볼 수..

한국 전통놀이 : 고무줄놀이

한국 전통놀이 11편고무줄놀이 🪢 1. 놀이 소개고무줄놀이는 주로 초등학생 여자아이들 사이에서 많이 즐기던 놀이예요.두 명이 마주 서서 다리 사이에 고무줄을 걸고, 한 명이 점프하며 다양한 동작을 이어가요.노래나 구호를 부르며 단계별로 점점 높아지는 고무줄을 넘는 방식으로 진행되지요. 👣 2. 놀이 방법▪️ 두 명이 마주보고 서서 발목, 종아리, 무릎, 허리, 겨드랑이 높이까지 고무줄을 걸어요.▪️ 다른 한 명이 고무줄을 넘거나 밟고, 꼬거나 푸는 다양한 동작을 하며 진행해요.▪️ 동작을 성공하면 계속 이어가고, 실패하면 역할을 바꿔요.▪️ 지역마다 “달고나~ 달고나~” 같은 노래를 부르며 즐기기도 했어요. 🌼 3. 놀이의 의미▪️ 고무줄놀이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아이들의 균형감각·순발력·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