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09

한국 전통놀이 : 산가지놀이

한국 전통놀이 54편산가지놀이📏 놀이 소개산가지놀이는 나무를 잘게 쪼개 만든 **산가지(얇고 긴 막대기)**를 사용해 즐기던 전통놀이야.원래 산가지는 점(占)을 치거나 셈(計算)을 하는 도구였는데, 아이들이 이걸 응용해 놀이로 발전시켰지.📏 놀이 준비준비물: 산가지(가는 나무 막대기 여러 개, 보통 20~30개)인원: 2명 이상장소: 마당, 마루, 실내 어디서나 가능📏 놀이 방법산가지를 한 손에 쥐고 땅 위나 바닥에 흩뿌린다.차례대로 한 개씩 산가지를 집어 올리는데, 다른 산가지를 건드리면 실패한다.성공하면 계속 집을 수 있고, 실패하면 다음 사람에게 차례가 넘어간다.마지막까지 많이 모은 사람이 이긴다.지역이나 집단에 따라 점수를 매기거나, 모양에 따라 특별 규칙을 두기도 했다.📏 놀이 의미집중력..

한국의 국보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9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위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시대: 백제 후기(7세기)✨ 1. 역사와 개요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인 사비(지금의 부여)에 세워진 대표적인 석탑입니다.정림사라는 절터의 중심에 자리한 이 탑은, 단아하고 세련된 백제 건축 양식을 간직하고 있어 흔히 **‘백제의 미소를 담은 탑’**이라 불립니다. 특히 이 탑은 백제가 멸망한 뒤 당나라 군이 세운 기념비적 글귀가 남아 있어, 백제의 영광과 아픔을 함께 전하는 상징적 문화재입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8.3m, 오층으로 구성된 석탑기단은 낮고 단순하며, 탑신부는 목조 건축을 모방해 정제된 비례미를 보여줍니다.옆면의..

한국 속담 : 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

한국 속담 시리즈 177편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 1. 속담 뜻풀이**“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는 피할 수 없는 일이라면 차라리 먼저 겪는 것이 낫다는 뜻입니다. 고통스럽고 불편한 일을 계속 미루는 것보다 빨리 끝내고 마음의 부담을 덜라는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 2. 삶의 예시▪️ 학교에서 발표 차례가 돌아오기를 불안해하기보다는 차라리 먼저 나가 발표하는 것이 더 편할 수 있습니다. ▪️ 건강검진이나 치과 치료처럼 언젠가는 해야 할 일을 미루기보다 먼저 하는 편이 마음이 가볍습니다. ▪️ 중요한 시험이나 면접도 기다리는 시간 동안 초조해하기보다는 먼저 치르는 편이 나을 때가 많습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Better an end with pain than pain wi..

한국 설화 : 강릉 단오제 관노가면극 전설

🎭 한국 설화 179편 – 강릉 단오제 관노가면극 전설강릉 단오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한국의 대표 축제입니다. 이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관노가면극(官奴假面劇)**에는 사람들의 슬픔과 웃음을 함께 담은 전설이 전해집니다.📜 1. 전설의 시작옛날 강릉에는 부패한 관리가 있어 백성들을 괴롭혔습니다. 관아에 속한 하인(관노)들은 억눌린 마음을 풀 길이 없었지요. 그러던 어느 해 단오날 밤, 마을 사람들과 관노들이 함께 모여 불 앞에서 가면을 쓰고 춤을 추며 이야기를 꾸며냈습니다.그들은 가면을 통해 탐관오리를 풍자하고, 억눌린 삶을 웃음으로 풀어냈습니다.🎭 2. 가면극의 힘관노들이 가면을 쓰자 신기하게도 관리조차도 그들을 벌하지 못했습니다.“가면 속 말은 사람의 말이 아니다.”백성들은 이..

한국 전통놀이 : 가마타기

한국 전통놀이 53편가마타기🛕 놀이 소개가마타기는 아이들이 세 명씩 한 편을 이루어 가마를 흉내 내며 달리던 놀이야.서로의 팔목을 단단히 잡아 만든 가마 위에 친구를 태우고 달리며 웃음과 흥을 즐겼지.🛕 놀이 준비준비물: 별도 없음인원: 세 명이 한 팀 (두 명이 가마꾼, 한 명이 가마 타는 사람)장소: 마당, 골목, 운동장 등🛕 놀이 방법두 아이가 마주 서서 오른손으로 자기의 왼쪽 팔목을, 왼손으로 상대의 오른쪽 팔목을 잡아 우물 정(井)자 모양의 가마를 만든다.나머지 한 아이가 그 위에 올라탄다.시작 신호와 함께 두 아이가 가마를 메고 달린다.목표 지점을 돌아오거나, 이어달리기처럼 팀을 바꾸어 놀이를 이어간다.🛕 문화적 의미가마를 흉내 내며 아이들이 어른들의 의례 문화를 놀이로 체험.협력과 균..

한국의 국보 :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8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 🪨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위치: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시대: 통일신라 헌강왕 2년(876년)✨ 1. 역사와 개요이 탑비는 통일신라 말기의 고승, **대낭혜화상(大囊慧和尙)**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입니다.혜화상은 불교 교단의 중심 인물로, 많은 제자와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던 고승이었습니다. 비는 그의 행적과 사상을 기록하여 후대에 전하고 있으며, 현재는 비신(碑身)과 거북 받침돌, 머릿돌 일부가 남아 있습니다.🏛️ 2. 구조와 특징귀부(龜趺, 거북 모양 받침돌): 큰 거북 모양에 힘찬 조각이 살아 있으며, 목은 짧고 두껍게 표현되었습니다.비신(碑身): 원래는 높이 약 4m에 달했으나 지금은 ..

한국 속담 : 까마귀가 검어도 살은 희다

한국 속담 시리즈 175편까마귀가 검어도 살은 희다🐦 1. 속담 뜻풀이**“까마귀가 검어도 살은 희다”**는 겉모습은 어둡거나 좋지 않아 보일지라도 속은 다른 면이 있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즉, 외모만 보고 사람이나 사물을 판단하지 말라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검은 깃털을 가진 까마귀라도 그 속살은 희다는 사실을 통해, 사람의 겉모습과 속마음은 다를 수 있음을 일깨워 주는 말이지요.🌿 2. 삶의 예시▪️ 겉은 거칠고 말투는 투박하지만, 속은 따뜻하고 정 많은 사람을 두고 하는 말.▪️ 낡고 초라해 보이는 물건이라도 실제로는 튼튼하고 쓸모 있을 때.▪️ 시험 성적은 낮아도 현장에서의 실력은 뛰어난 경우.🌐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

한국 설화 : 황매산 철쭉꽃 신선 전설

🌸 한국 설화 178편 – 황매산 철쭉꽃 신선 전설경상남도 합천과 산청에 걸쳐 있는 황매산은 봄철이면 철쭉꽃이 장관을 이루는 명산입니다. 이곳에는 오래전부터 신선이 내려와 꽃을 피웠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 1. 전설의 시작옛날 황매산은 바위와 풀만 무성한 황량한 산이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매년 가뭄과 흉년으로 고통을 겪었고, 아이들의 웃음소리마저 사라져갔습니다. 어느 날, 하늘에서 한 신선이 내려와 산 정상에 앉아 대금을 불며 기도를 올렸습니다.“이 산에 꽃을 피워 사람들의 마음을 기쁘게 하고, 풍요를 전해 주소서.”🌺 2. 피어난 철쭉그날 밤, 황매산 정상에서 불빛이 번쩍이더니 이튿날 아침 산자락 가득 붉고 보랏빛 철쭉꽃이 피어났습니다.꽃 향기는 들판으로 퍼져나가고, 놀랍게도 그해부터 비가 내..

한국 전통놀이 : 귀신놀이

한국 전통놀이 52편귀신놀이 (가면·천 이용)👻 놀이 소개귀신놀이는 아이들이 천이나 가면을 이용해 귀신 흉내를 내며 서로를 놀라게 하는 놀이야.특히 여름밤이나 달빛이 밝은 날에 즐겨 했는데, 무서움 속에서 웃음과 흥을 함께 느끼게 했어.👻 놀이 준비준비물: 흰 천, 가면, 삿갓 등 (귀신 흉내낼 도구)인원: 2명 이상장소: 마당, 골목, 혹은 어두운 방👻 놀이 방법아이 중 몇 명은 흰 천을 뒤집어쓰거나 가면을 쓰고 귀신 역할을 한다.다른 아이들은 숨어 있다가 등장하는 귀신을 보고 도망가거나 잡히지 않으려 한다.귀신 역할은 “잡았다!” 하며 다른 아이를 잡으면, 잡힌 아이가 새 귀신이 된다.때로는 무서운 소리를 흉내 내거나, 바람에 천을 펄럭이며 분위기를 더하기도 했다.👻 문화적 의미귀신놀이는 단순..

한국의 국보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7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위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리⏳ 시대: 통일신라 경덕왕 15년(756년)✨ 1. 역사와 개요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는 통일신라 시대에 세워진 비석으로, 절의 창건 내력과 뜻을 기록한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비문은 김인문(金仁問, 김유신 장군의 동생)이 짓고, 글씨는 당대 명필 **김생(金生)**이 쓴 것으로 전해집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2.8m, 지금은 일부 파손되어 비신만 남아 있습니다.3,600여 자의 해서체 글씨가 정갈하면서도 힘 있게 새겨져 있습니다.화려한 장식은 없지만, 단아한 서체 속에서 신라 서예 예술의 격조를 느낄 수 있습니다.📜 3. 전해지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