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놀이와 세계 놀이

한국 전통놀이 : 산가지놀이

ktell 2025. 9. 30. 01:10

한국 전통놀이 54편

산가지놀이

📏 놀이 소개

산가지놀이는 나무를 잘게 쪼개 만든 **산가지(얇고 긴 막대기)**를 사용해 즐기던 전통놀이야.


원래 산가지는 점(占)을 치거나 셈(計算)을 하는 도구였는데, 아이들이 이걸 응용해 놀이로 발전시켰지.


📏 놀이 준비

  • 준비물: 산가지(가는 나무 막대기 여러 개, 보통 20~30개)
  • 인원: 2명 이상
  • 장소: 마당, 마루, 실내 어디서나 가능

📏 놀이 방법

  1. 산가지를 한 손에 쥐고 땅 위나 바닥에 흩뿌린다.
  2. 차례대로 한 개씩 산가지를 집어 올리는데, 다른 산가지를 건드리면 실패한다.
  3. 성공하면 계속 집을 수 있고, 실패하면 다음 사람에게 차례가 넘어간다.
  4. 마지막까지 많이 모은 사람이 이긴다.
  5. 지역이나 집단에 따라 점수를 매기거나, 모양에 따라 특별 규칙을 두기도 했다.

📏 놀이 의미

  • 집중력과 손재주를 기를 수 있었던 두뇌·기술 놀이.
  • 산가지로 숫자 계산을 하며 자연스럽게 셈법을 익히는 학습 효과도 있었다.
  • 단순한 놀잇감이지만, 예측과 판단, 질서 지키기를 배우게 했다.

📏 세계의 유사한 놀이

  • 일본: 비슷한 놀이로 하리토리(바늘 집기), **미쿠지(점술 막대기)**가 있음.
  • 중국: 산가지를 통한 점술과 계산이 있었으며, 아이들도 막대를 모아 단순 게임을 즐겼음.
  • 서양: **픽업 스틱스(Pick-up sticks)**라는 놀이가 산가지놀이와 거의 동일한 방식.

🌿 마무리

산가지놀이는 단순히 막대를 줍는 장난이 아니라, 집중력·지혜·질서를 배우고 학습을 즐거움으로 바꾼 놀이였어.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수학적 사고와 손재주를 키웠지.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