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42

🪵한국 속담 :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다

한국 속담 시리즈 72편우물가에서 숭늉 찾는다 🪵 1. 속담 뜻풀이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다”**는아직 밥을 짓기도 전에 벌써 숭늉부터 찾는 것처럼,일이 아직 준비되지 않았는데 성급하게 결과부터 기대하거나순서에 맞지 않는 요구를 하는 상황을 비유한 속담이에요. 즉, 차근차근 진행해야 할 일의 순서를 무시하고조급함으로 엉뚱한 기대를 하는 태도를 꼬집는 말이죠. 🪞 2. 삶의 예시 새로 시작한 가게가 오픈 첫날인데, 벌써 대박을 기대하는 사람시험 공부는 안 하고, 합격 후 여행 갈 생각부터 하는 경우프로젝트 기획 단계인데 벌써 수익 배분 이야기를 꺼내는 상황👉 기본을 다지지 않고 결과만 바라보면오히려 실망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교훈을 주고 있어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어: Do..

😊한국 속담 : 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다

한국 속담 시리즈 71편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다 🪵 1. 속담 뜻풀이 “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다”는상대가 웃으며 다가오면 미워하기 어렵다는 뜻이에요. 즉, 부드럽고 친절한 태도는 상대의 마음을 풀고, 갈등을 줄일 수 있다는 교훈이 담겨 있죠. 🪞 2. 삶의 예시 회사에서 불만이 있던 동료도, 환하게 웃으며 다가오면 미워하기 어렵죠.가게에서 친절하게 웃으며 맞이하는 직원에게 손님이 화를 내기 힘든 것처럼,진심 어린 미소는 상대의 공격을 막는 방패가 될 수 있어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어A kind word turns away wrath.(친절한 말이 분노를 가라앉힌다)일본어笑う門には福来る (와라우 카도니와 후쿠키타루)(웃는 집에 복이 온다)프랑스어Un sourire désarme ..

🌸한국 설화 : 삼태성 할아버지 이야기

한국 설화 시리즈 70편삼태성 할아버지 이야기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하늘에는 **삼태성(세 개의 별)**이 있었는데,이 별은 사람의 생명과 복을 다스리는 할아버지가머무는 자리라고 전해졌어요. 마을에 오래도록 아이가 없던 부부가 있었는데,그들은 매일 밤 삼태성을 향해 절하며 기도했어요. “삼태성 할아버지, 저희에게도 귀한 아이 하나만 점지해주십시오…”어느 날 밤, 부부의 꿈에 흰 수염이 긴 노인이 나타나 말했어요. “너희의 정성이 하늘에 닿았다.내일 새벽, 동쪽 하늘을 바라보면아이의 영혼이 별빛을 타고 너희에게 올 것이다.”그날 새벽, 부부는 동쪽 하늘에 반짝이는 별빛을 보았고,그 후 귀한 아들이 태어나 마을의 효자로 자라났어요. 사람들은 그 아이를 삼태성 할아버지가 내려준 선물이라 부르며,아이를..

🌿한국 설화 : 거북이의 복수

한국 설화 시리즈 69편거북이의 복수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어느 마을에 못된 부자 영감이 살았어요.그는 매일 강에서 잡은 거북이를 장난삼아 괴롭히고,“이 둔한 것들이 뭘 할 수 있겠느냐”며 비웃었죠. 그러던 어느 날, 영감이 강가에서 미끄러져 물에 빠졌어요.그때 그가 늘 괴롭히던 거북이가 다른 거북이들을 불러 모아 영감을 강 한가운데로 끌고 갔어요. 영감은 물속에서 허우적대며 살려달라고 애원했지만,거북이는 차갑게 말했어요. “우릴 괴롭힌 대가를 치러라.네가 한 짓을 이제 네가 당할 차례다.”결국 영감은 마을 사람들에게 구조되긴 했지만,그날 이후 강에 가까이 가지 못했고,사람들은 모든 생명은 존중받아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답니다. 🌸 2. 설화가 주는 교훈 작은 생명이라도 함부로 대하면 반..

💡한국 설화 : 칠성신과 아기의 탄생

한국 설화 시리즈 68편칠성신과 아기의 탄생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옛적, 아이를 갖지 못해 슬퍼하던 부부가 있었어요.그들은 매일 밤 하늘의 북두칠성 앞에 정성스레 기도했어요. “칠성님, 부디 저희에게도 귀한 아이를 내려주십시오…” 그 정성에 감동한 **칠성신(七星神)**이 꿈에 나타나 말했어요.“너희의 간절한 마음을 알겠다.내일 새벽, 우물가에 떠오르는 별빛을 받아 마시면하늘이 내린 아이를 얻게 될 것이다.”부부는 가르침대로 새벽녘 우물가에서 별빛이 비친 맑은 물을 마셨고,그해 가을에 밝은 눈망울을 가진 귀한 아기가 태어났어요. 이 아기는 자라서 마을을 지키는 지혜로운 인물이 되었고,사람들은 칠성신이 내려준 아이라며 매년 칠성제를 지내며 감사했답니다. 🌸 2. 설화가 주는 교훈 간절한 ..

🌸한국 설화 : 부모 위해 하늘에 기도한 소녀

한국 설화 시리즈 67편부모 위해 하늘에 기도한 소녀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가난한 마을에 어린 소녀와 병든 부모님이 살고 있었어요.소녀는 부모님이 나을 수 있도록 매일 산꼭대기에 올라 하늘에 기도했어요. “하늘님, 제발 부모님의 병을 낫게 해주세요.제 목숨을 대신 가져가셔도 좋으니, 두 분만 건강하게 해주세요…” 그 간절한 기도를 들은 하늘의 신령은 소녀 앞에 나타나 말했어요. “너의 효심이 하늘을 움직였구나.부모님의 병은 곧 나을 것이며, 너의 정성은 별이 되어 영원히 빛날 것이다.”그날 밤, 부모님의 병은 신기하게도 씻은 듯이 나았고,소녀가 매일 기도하던 산 위에는 하늘로 올라가는 듯한 별빛 길이 생겼어요. 마을 사람들은 그 길을 **‘별빛길’**이라 부르며,효심 깊은 소녀를 기리기 위해 ..

🌿한국 설화 : 진돗개 전설

한국 설화 시리즈 66편진돗개 전설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전라도 진도에는 마음씨 곱고 충직한 여인과 그녀가 아끼던 개가 살고 있었어요.어느 날, 왜구가 마을을 습격해 여인을 납치해 갔죠.개는 멀리 떠나는 배를 보고 짖으며 바닷길을 따라 헤엄치기 시작했어요.여인은 배 위에서 슬피 울며 “나를 구하지 말고 살아야 한다”고외쳤지만, 개는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배를 쫓았어요. 며칠 후, 개는 지친 몸으로 여인을 찾아 진도까지 돌아와,마침내 왜구에게서 풀려난 주인을 맞이했어요.마을 사람들은 개의 놀라운 충성과 용기에 감동했답니다. 그 후로 진도에서는 이 개의 후손이 뛰어난 충성과 영리함으로 유명해졌고,사람들은 이 개를 **‘진돗개’**라 불렀어요. 🌸 2. 설화가 주는 교훈 충성심과 의리는 인간뿐..

🪞한국 속담 : 간에 기별도 안 간다

한국 속담 시리즈 70편간에 기별도 안 간다 🪵 1. 속담 뜻풀이 “간에 기별도 안 간다”는먹은 양이 너무 적어서 몸에 아무런 영향도 없다는 뜻이에요. 특히 너무 조금 먹어서 배고픔이 전혀 해결되지 않을 때 비유적으로 쓰이죠. 🪞 2. 삶의 예시 하루 종일 굶었는데 과자 한 봉지 먹고 나서→ “이건 간에 기별도 안 가네. 밥 좀 먹자!”너무 작은 도움이나 보탬이 돼서 실질적인 효과가 없을 때즉, 너무 적어서 아무 의미가 없을 정도라는 걸 강조할 때 쓰는 말이에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어It’s just a drop in the bucket.(양동이에 떨어진 한 방울 → 너무 적어서 의미 없다)중국어杯水车薪 (베이수이처신)(한 잔의 물로 수레 가득한 땔감을 끄려 한다 → 너무 부족..

🪵한국 속담 : 모난 돌이 정 맞는다

한국 속담 시리즈 69편모난 돌이 정 맞는다 🪵 1. 속담 뜻풀이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남들과 다르게 튀는 행동이나 눈에 띄는 언행을 하면 오히려 공격이나 비난을 받기 쉽다는 뜻이에요. 모가 난 돌은 둥근 돌보다 먼저 정(쇠망치)에 맞아 다듬어지죠.그래서 너무 드러나게 나서지 말고, 적당히 조심하며 살아야 한다는 경계의 의미로 쓰이기도 해요. 🪞 2. 삶의 예시 직장에서 너무 솔직하게 상사에게 의견을 말했다가 미움받았을 때→ “참, 모난 돌이 정 맞는다고 괜히 나섰나 봐.”친구들 사이에서 튀는 행동을 했다가 괜히 따돌림당할 때즉, 사회에서 너무 튀면 주목도 받지만 동시에 공격도 받을 수 있다는 말이에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일본어出る杭は打たれる (데루쿠이와 우타레루)(튀어나온 ..

💡한국 속담 : 아닌 밤중에 홍두깨

한국 속담 시리즈 68편아닌 밤중에 홍두깨 🪵 1. 속담 뜻풀이 “아닌 밤중에 홍두깨”는뜻밖에 갑자기 일어난 황당한 일이나전혀 예상치 못한 사건을 비유하는 속담이에요. 홍두깨는 원래 방망이 모양의 도구인데,밤에 갑자기 그것이 나타나면 당황스럽겠죠?그래서 엉뚱하고 황당한 일을 비유할 때 쓰는 말이에요. 🪞 2. 삶의 예시 친구랑 조용히 카페에 있는데 갑자기 길거리 공연팀이 들어와 춤을 출 때→ “이게 아닌 밤중에 홍두깨네!”아무 말도 없던 상사가 갑자기 일을 더 맡기며→ “아닌 밤중에 홍두깨처럼 일이 생겼네.”즉, 상황과 전혀 어울리지 않게 갑자기 생긴 일을 표현할 때 써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어Out of the blue.(갑자기, 느닷없이)중국어晴天霹雳 (칭톈피리)(맑은 하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