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과 세계 속담 154

🌿 한국 속담 : 입에 쓴 약이 몸에는 좋다

🌿 한국 속담 시리즈 114편▪️ 입에 쓴 약이 몸에는 좋다 🪵 1. 속담 뜻풀이 **"입에 쓴 약이 몸에는 좋다"**는듣기 싫고 불편한 말일수록 오히려 자신에게 유익한 충고일 수 있다는 뜻이에요. 쓴 약은 마시기 어렵지만 몸을 낫게 하듯,쓴말도 그 뜻을 곱씹으면 나를 성장시키는 자양분이 될 수 있죠. 이 속담은 비판이나 조언을 피하지 말고 잘 받아들여야 한다는 삶의 태도를 가르쳐 줘요. 👀 2. 삶의 예시 ▪️ 친구가 내 발표 태도에 대해 지적해줬을 때,처음엔 기분이 상하지만그 조언 덕분에 다음 발표에서 큰 성과를 낸 경우.▪️ 부모님이 “지금은 놀 때가 아니다”라고 꾸짖을 때,그 말이 미래를 위한 길잡이가 되기도 해요.▪️ 선생님이나 선배의 따끔한 지적이 처음엔 부담스러워도, 시간이 지나면..

💎 한국 속담 :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 한국 속담 시리즈 113편▪️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 1. 속담 뜻풀이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는아무리 훌륭한 자질이나 재료가 있어도제대로 다듬고 완성하지 않으면 쓸모가 없다는 뜻이에요. ‘서 말’은 약 3.75리터 분량의 무게 단위인데,그만큼 많은 구슬이 있어도실에 꿰어 목걸이나 장신구로 만들지 않으면 그저 흩어진 조각들일 뿐이라는 의미죠. 즉, 실행과 완성이 없으면 잠재력도 의미가 없다는 교훈이에요. 👀 2. 삶의 예시 ▪️ 좋은 아이디어만 수없이 떠올리지만하나도 실제로 행동에 옮기지 않는 경우.▪️ 작곡가가 멋진 멜로디를 많이 만들어도음원으로 완성해내지 않으면 아무에게도 전달되지 않아요.▪️ 시험 공부를 열심히 해도정작 시험을 보지 않으면 결과는 없듯..

🪙 한국 속담 : 값싼 게 비지떡이다

🪙 한국 속담 시리즈 112편▪️ 값싼 게 비지떡이다 🪵 1. 속담 뜻풀이 **"값싼 게 비지떡이다"**는값이 싼 물건은 그만한 값어치밖에 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속담이에요. ‘비지떡’은 두부를 만들고 남은 찌꺼기인 **비지(콩비지)**로 만든 떡인데,원재료가 남은 찌꺼기라서 저렴하지만 맛도, 품질도 부족하다는 인식에서 나온 말이에요. 👉 단순히 싸다는 이유로 선택했다가결국 품질에 실망하게 되는 상황을 경고하죠. 👀 2. 삶의 예시 ▪️ 인터넷 쇼핑에서 너무 싼 전자제품을 샀는데며칠 만에 고장 나고 AS도 안 되는 경우.▪️ 값이 싸다는 이유로 학원이나 과외를 선택했지만,알고 보니 체계도 없고 결과도 별로였던 경험.▪️ 친구가 "공짜나 다름없어!" 하며 산 물건이몇 번 쓰지도 못하고 망가졌을 ..

한국 속담 : 강 건너 불구경

🚩한국 속담 시리즈 111편▪️ 강 건너 불구경🪵 1. 속담 뜻풀이 **"강 건너 불구경"**은 눈앞의 일이 아니라는 이유로, 남의 어려움을 모른 체하며 구경만 하는 태도를 비판하는 속담이에요. 직역하면, "강 건너편에서 불이 나도 자기 쪽이 아니니까 그냥 보고만 있다"는 의미죠. 무책임하거나, 공감능력이 부족한 사람의 행동을 꼬집는 말이에요. 👀 2. 삶의 예시 ▪️ 팀원이 어려움을 겪는데도 자기는 상관없다며 돕지 않는 동료의 모습.▪️ 이웃집에 문제가 생겼는데도 도움은커녕 흥미 위주로 지켜보는 사람들.▪️ 사회적 사건이나 재난 상황을 단지 "구경거리"처럼 소비하는 태도. → 모두 "강 건너 불구경" 같은 무관심한 행동이죠.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미국 "Not my circus,..

한국 속담 : 늦바람이 무섭다

🌬 한국 속담 시리즈 110편▪️ 늦바람이 무섭다 🪵 1. 속담 뜻풀이 **"늦바람이 무섭다"**는한창 젊었을 땐 조용하던 사람이 나이 들어 갑자기 어떤 일에 열정을 쏟거나, 변화를 시도할 때 그 기세가 무섭다는 뜻이에요. '바람'은 종종 욕망이나 외부 변화, 또는 열정의 상징으로 쓰여요.즉, 젊을 때 얌전하던 사람이 오히려 나이 들어 더 강하게 표출하거나 큰 변화를 일으킨다는 말이지요. 👉 때늦은 열정은 예상보다 더 거세다는 의미로도 해석돼요. 👀 2. 삶의 예시 평생 얌전하던 아버지가 60세에 기타를 배우기 시작하고 나중엔 동네 밴드를 결성할 정도로 열정을 쏟아요.조용한 이웃 아주머니가 은퇴 후 여행 작가가 되어 1년에 10개국을 돌며 책을 내고 강연을 다녀요.예전엔 기술에 관심 없던 할아버..

🥚 한국 속담 : 계란으로 바위 치기

🥚 한국 속담 시리즈 109편▪️ 계란으로 바위 치기 🪵 1. 속담 뜻풀이 **"계란으로 바위 치기"**는힘없고 약한 존재가 강한 상대를 무리하게 대적할 때,애초에 승산이 없고 헛된 시도라는 뜻이에요. 계란이 아무리 힘껏 부딪혀도 단단한 바위는 끄떡없고,오히려 자신만 깨지고 말죠. 👉 현실을 파악하지 않고 덤비는 무모한 행동을 비유한 말이에요. 👀 2. 삶의 예시 신입 사원이 사장에게 아무 준비 없이 “회사를 바꿔야 한다”며 덤비는 경우게임 초보가 고수 팀에 전략 없이 도전했다가 처참하게 지는 상황힘없는 개인이 거대한 조직에 정보 없이 저항하다 좌절할 때하지만 이 속담은 절대 포기하라는 말은 아니에요.무작정 덤비는 것보다 준비하고, 힘을 기르고, 때를 기다리는 지혜를 말해주는 거예요. 🌏 ..

📄 한국 속담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 한국 속담 시리즈 108편▪️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 1. 속담 뜻풀이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아무리 가벼운 백지장(얇은 종이)이라도두 사람이 함께 들면 훨씬 쉽다는 뜻이에요. 즉, 아주 사소하고 쉬운 일이라도 누군가와 함께하면 더 수월하고 가볍다는협력과 협동의 가치를 강조한 말이지요. 👉 이 속담은 일의 난이도보다 마음을 나누는 동행의 힘을 더 중요하게 봐요. 👀 2. 삶의 예시 무거운 짐이 아니라도, 친구가 같이 들어주면 한결 가볍게 느껴져요.학교 발표 준비, 혼자 하면 막막하지만친구와 함께하면 아이디어도 잘 떠오르고 속도도 빨라져요.마음이 힘들 때, 누군가 “같이 있어줄게”라는 말 한마디만으로도버틸 수 있는 힘이 생기기도 하죠.▶️ 함께한다는 건 단순히 물리적 도움이 아니..

🪺 한국 속담 : 꿩 잡으러 갔다가 노루 잡는 격

🪺 한국 속담 시리즈 107편▪️꿩 잡으러 갔다가 노루 잡는 격 🪵 1. 속담 뜻풀이 **"꿩 잡으러 갔다가 노루 잡는 격"**은 원래 의도와는 다른 결과를 얻었지만, 오히려 더 나은 결과가 된 상황을 의미해요. 꿩을 잡으려 산에 갔는데, 예상치 않게 더 크고 값진 노루를 잡게 된 거죠.즉, 뜻밖의 수확을 비유한 표현이에요. 👉 반대로, 어떤 경우엔 우연의 결과가 오히려 당황스럽거나 예상 밖일 수도 있어 맥락에 따라 뉘앙스가 달라지기도 해요. 👀 2. 삶의 예시 자격증 하나 따보려고 공부했는데, 공부 과정에서 취업까지 연결된 경우친구 따라 봉사활동에 억지로 갔다가, 인생의 동반자를 만나는 기회가 된 경우자그마한 블로그 운영을 시작했는데, 콘텐츠가 퍼지며 뜻밖의 수익까지 얻게 된 경우 ▶️ 기대..

🚽 한국 속담 : 뒷간에 갈 적 마음 다르고 올 적 마음 다르다

🚽 한국 속담 시리즈 106편▪️ 뒷간에 갈 적 마음 다르고 올 적 마음 다르다 🪵 1. 속담 뜻풀이 **"뒷간에 갈 적 마음 다르고 올 적 마음 다르다"**는급할 때와 급하지 않을 때, 사람의 마음이 달라진다는 것을 꼬집는 속담이에요. ‘뒷간’은 옛 화장실을 뜻해요.볼일이 급할 때는 뭐든 다 해줄 것처럼 간절하던 사람이,막상 일이 해결되면 그 마음이 싹 바뀌는 모습을 풍자적으로 표현한 거죠. ▶️ 말보다 행동을 보라는 교훈을 담고 있어요. 👀 2. 삶의 예시 시험 전날엔 “합격만 시켜주면 정말 성실하게 살겠다”고 다짐하지만,합격한 뒤엔 마음이 느슨해져요.누군가에게 큰 도움을 받았을 땐 “은혜 절대 잊지 않겠다”고 하지만,시간이 지나면 아무렇지 않게 거리를 두기도 하죠.친구가 급히 부탁할 땐 “..

🪡 한국속담 : 바늘허리에 실 매어 쓸까

🪡 한국속담 시리즈 105편바늘허리에 실 매어 쓸까 🪵 1. 속담 뜻풀이 **“바늘허리에 실 매어 쓸까”**는제대로 하지 않고 대충한 일은 소용없다는 뜻이에요. 바늘귀에 실을 꿰어야 바느질을 할 수 있는데,허리에만 감아두면 아무 쓸모가 없는 것처럼,겉모습만 갖추고 본질을 놓친 행동을 꼬집는 말이죠. 👀 2. 삶의 예시 보고서를 제출하라고 했더니,형식만 맞춰 적당히 쓴 문서운동하겠다고 복장만 새로 샀는데,정작 운동은 하지 않는 경우공부는 안 하면서,책상에 책만 늘어놓고 인증사진만 찍는 상황모두 이 속담처럼 겉치레만 하고 실속 없는 행동이에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어“All show and no substance”→ 보여주기만 하고 실속은 없다.일본“形だけ(카타치 다케)”→ 형식뿐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