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과 세계 속담 195

한국 속담 : 사흘 굶어 도둑질 안할 사람 없다

한국 속담 시리즈 155편사흘 굶어 도둑질 안할 사람 없다 🥖 1. 속담 뜻풀이**“사흘 굶어 도둑질 안할 사람 없다”**는 사람이 너무 궁핍하고 배고픈 상황에 몰리면 아무리 착한 사람도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다는 뜻이에요. 즉, 극한 상황에서는 본성보다 생존이 우선된다는 인간의 한계를 지적한 속담이지요.🌿 2. 삶의 예시▪️ 평소 정직한 사람이었지만, 가족이 굶주리자 어쩔 수 없이 빵을 훔치는 경우.▪️ 아무리 도덕적인 사람이라도 배고픔이나 생존의 위기 앞에서는 흔들릴 수 있음.▪️ 현대 사회에서도 큰 빚이나 가난 때문에 불법에 손대는 일이 생기곤 하지요. 이 속담은 사람을 무조건 탓하기 전에,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飢え..

한국 속담 : 곰배팔이 파리 잡듯

한국 속담 시리즈 154편곰배팔이 파리 잡듯🪰 1. 속담 뜻풀이**“곰배팔이 파리 잡듯”**은팔이 굽은 사람이 파리를 잡는 모습처럼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어설프게 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속담이에요. 즉, 능숙하지 못한 행동이나 서투른 솜씨를 꼬집는 말이지요.🌿 2. 삶의 예시▪️ 설거지를 했지만 그릇에 물때가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 숙제를 했다고 했지만 대충 베껴 적어 내용이 부실한 경우.▪️ 일을 맡았지만 제대로 끝내지 못하고 어설프게 넘겨버린 경우. 이 속담은 무엇이든 제대로 하지 않으면 소용없다는 교훈을 줍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下手の横好き」 (서투른 사람이 공연히 좋아한다 — 솜씨는 없으면서 억지로 한다는 뜻) 중국 : “笨手笨脚” (손발이 서툴다) 미국/영국..

한국 속담 :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한국 속담 시리즈 153편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 1. 속담 뜻풀이**“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는아무리 약하고 힘없는 존재라도 끝없이 괴롭히거나 억압하면 결국 반항한다는 뜻의 속담이에요. 지렁이는 작고 힘없어 보이지만, 밟히면 본능적으로 몸부림치듯 사람도 계속 억눌리면 언젠가는 저항하게 마련이지요.🌿 2. 삶의 예시▪️ 직장에서 늘 무시당하던 직원이, 참다 참다 결국 강하게 항의하는 경우.▪️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하던 학생이, 끝내는 용기를 내어 맞서는 모습.▪️ 가정이나 사회에서 힘없는 사람이 계속 억압을 받다가, 어느 순간 반발하는 경우.이 속담은 약자도 끝없이 억누르면 저항한다는 경고와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ミミズだって踏まれれば怒る」 (지렁이..

한국 속담 :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한국 속담 시리즈 152편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 1. 속담 뜻풀이**“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는 새로운 것은 그에 맞는 새로운 그릇이나 방식에 담아야 한다는 뜻이에요. 새 술을 낡은 부대(가죽 부대)에 넣으면 부대가 상하거나 술맛이 변하지요.그래서 새로운 제도, 생각, 일은 새로운 환경과 태도에서 어울린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2. 삶의 예시▪️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도 낡은 방식만 고집하면 성과를 내기 어렵다.▪️ 신입 사원을 키우려면 새로운 교육과 환경을 제공해야 더 잘 성장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변화에 맞춰 전통을 지혜롭게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의미로도 쓰인다.즉, 변화에는 새로운 그릇이 필요하다는 말이지요.🌍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新..

한국 속담 :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한국 속담 시리즈 151편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1. 속담 뜻풀이**“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겉모습이 아름답고 정갈하면 실제로도 만족스럽다는 의미의 속담이에요. 떡은 맛도 중요하지만 모양이 곱게 빚어져야 먹는 이의 마음을 더 즐겁게 하지요.즉, 겉모습과 실질의 조화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는 뜻입니다.🌿 2. 삶의 예시▪️ 같은 음식을 대접할 때도 예쁘게 담아내면 손님이 더 맛있게 느끼는 경우.▪️ 글이나 발표도 알찬 내용과 함께 보기 좋게 정리되면 더 높은 평가를 받는 모습.▪️ 선물도 포장이 정성스럽게 되어 있으면 받는 사람의 기쁨이 커지는 상황.겉모습이 전부는 아니지만, 보기 좋게 꾸민 정성과 배려는 마음에 큰 힘을 줍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見た目も..

한국 속담 : 고래 등같이 넓다

한국 속담 시리즈 150편고래 등같은 기와집🐋 1. 속담 뜻풀이**“고래 등같이 넓다”**는 매우 넓고 탁 트인 상태를 비유하는 속담이에요. 고래의 등이 크고 평평하게 드러나 있는 모습에서 나온 표현으로, 주로 넓은 들판이나 광활한 바다, 허허로운 공간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2. 삶의 예시▪️ 끝없이 펼쳐진 들판을 보며 “고래 등같이 넓다”라고 표현할 수 있어요.▪️ 농부가 논밭을 바라보며 그 넓음을 자랑할 때 쓰이기도 합니다.▪️ 또는 사람의 마음이나 기개가 탁 트이고 넓음을 비유할 때도 사용되지요.🌍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鯨の背のように広い」 (고래 등처럼 넓다 — 같은 비유적 표현이 있음) 중국 : “海阔天空” (바다는 넓고 하늘은 드넓다 — 매우 넓고 트인 경치나 마음) ..

한국 속담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한국 속담 시리즈 149편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1. 속담 뜻풀이**“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는 아무리 가까이 있고 흔한 것이라도 실제로 쓰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의미의 속담이에요. 부뚜막에 소금이 늘 있더라도 그걸 음식에 넣지 않으면 음식이 짜질 수 없듯, 행동과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지요.🌿 2. 삶의 예시▪️ 책이 아무리 많아도 읽지 않으면 지식이 쌓이지 않는 경우.▪️ 운동기구가 집에 있어도 쓰지 않으면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 모습.▪️ 좋은 기회가 눈앞에 있어도 실행하지 않으면 아무 변화가 없는 삶. 즉, 행동으로 옮겨야 결과가 나온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塩は使わなければ味がしない」 (소금은 쓰지 않으면 맛을 내지..

한국 속담 : 거미줄에 목을 맨다

한국 속담 시리즈 148편거미줄에 목을 맨다🕸️ 1. 속담 뜻풀이**“거미줄에 목을 맨다”**는 아무 쓸모없고 힘없는 것에 기대거나, 도저히 불가능한 방법에 의지하려는 상황을 비유하는 속담이에요. 거미줄은 너무 약해서 무언가를 걸면 금세 끊어지지요.그런데 거기에 목을 맨다는 건, 애초에 기대할 수 없는 것을 의지한다는 어리석음을 꼬집은 표현입니다.🌿 2. 삶의 예시▪️ 재정적으로 큰 어려움에 빠진 사람이 터무니없는 소문난 투자 사기에 기대는 경우.▪️ 공부를 전혀 안 한 학생이 시험 전날 밤새서 벼락치기에만 의지하는 모습.▪️ 기초가 전혀 안 되어 있는데, 작은 수단만으로 큰 결과를 얻으려는 시도. 이 속담은 허망한 기대와 근거 없는 의지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알려줍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

한국 속담 : 모르는 게 약이다

한국 속담 시리즈 147편모르는 게 약이다💊 1. 속담 뜻풀이**“모르는 게 약이다”**는 차라리 알지 못하는 것이 마음 편할 때가 있다는 뜻이에요. 불필요한 사실이나 불쾌한 진실을 알면 괴로워지기 때문에, 모르고 지나가는 편이 더 낫다는 교훈을 담고 있지요.🌿 2. 삶의 예시▪️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 괜히 불안해하며 걱정하는 것보다 차라리 모르는 편이 마음이 가벼울 때.▪️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해 한 안 좋은 말, 굳이 알지 않았으면 더 관계가 편했을 때.▪️ 회사 내 비밀이나 속사정, 알게 되면 괜히 스트레스만 쌓이는 경우. 즉, 어떤 지식이나 정보는 알지 않는 것이 더 나은 경우가 있다는 지혜를 담고 있어요.🌍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知らぬが仏」 (모르면 부처다 — 모르면 ..

한국 속담 : 도랑 치고 가재 잡는다

한국 속담 시리즈 146편도랑 치고 가재 잡는다🦞 1. 속담 뜻풀이**“도랑 치고 가재 잡는다”**는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동시에 다른 이익까지 얻는 상황을 비유하는 속담이에요. 도랑을 치면(정리하거나 파내면) 자연스레 그 안에 있던 가재도 잡히듯, 하나의 행동으로 두 가지 효과를 얻는 지혜를 표현한 말이지요.🌿 2. 삶의 예시▪️ 집 대청을 청소하다가 잃어버린 물건까지 함께 찾아낸 경우. ▪️ 공부를 열심히 하다 보니 성적이 오르고, 동시에 습관도 좋아진 학생. ▪️ 운동을 위해 등산을 갔는데, 경치도 즐기고 건강도 챙기는 모습. 즉, **일석이조(一石二鳥)**처럼 하나의 행동에서 여러 성과를 얻는 상황을 가리킵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一石二鳥」 (한 개의 돌로 두 마리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