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과 세계 속담 75

한국 속담 : 도토리 키 재기

🪵 한국 속담 시리즈 45편도토리 키 재기 🧠 1. 속담 뜻풀이 **"도토리 키 재기"**는서로 비슷비슷한 사람들끼리 우열을 가리려는 어리석음을 풍자하는 속담이에요. 도토리들은 대부분 크기나 모양이 엇비슷하죠.그런 도토리들끼리 키를 잰들 의미 있는 차이가 없다는 걸 꼬집는 말이에요.“둘 다 비슷비슷한 실력인데 자꾸 누가 낫다고 싸워.”“에휴, 도토리 키 재기지 뭐.” 👀 2. 삶의 예시 학교에서 두 학생이 시험 점수를 두고“너보다 내가 한 문제 더 맞았어!” 하며 우기지만,둘 다 90점으로 성적은 비슷했어요. 자격증 없는 두 직원이 “누가 더 일 잘하냐”며 말다툼,상사는 조용히 말했죠. “도토리 키 재기 하지 마.” 키 차이 1~2cm밖에 안 나는 친구들끼리“내가 더 크다”고 거울 앞에서 키 재는..

한국 속담 : 꿩 대신 닭

🪵 한국 속담 시리즈 44편꿩 대신 닭 🧠 1. 속담 뜻풀이 **"꿩 대신 닭"**은원래 바라던 것이 없을 때,그보다 낮거나 비슷한 다른 것으로 대신한다는 뜻이에요. ‘꿩이 없으니 닭이라도 잡자’는 식의 현실적 대안이나,타협적인 선택, 임시방편을 나타낼 때 쓰이죠. “한우가 없으니 삼겹살로라도 먹자.”“뭐, 꿩 대신 닭이지 뭐~” 👀 2. 삶의 예시 예약했던 고급 식당이 휴무일이라서,결국 근처 분식집에서 떡볶이를 먹었는데... 의외로 꿀맛! 선물로 명품 가방을 사주고 싶었지만 예산 초과!대신 정성껏 고른 국내 브랜드 가방으로도 마음을 전할 수 있었어요. 새 스마트폰 사고 싶었지만 중고폰으로 대체.생각보다 성능이 괜찮아서 만족했어요 😄 → 계획대로 안 될 때, 현실적인 대안으로 만족하거나 해결하는..

한국 속담 :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랴

🪵 한국 속담 시리즈 43편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랴 🧠 1. 속담 뜻풀이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랴"**는좋아하는 것이 있으면 아무리 참으려 해도 지나치기 어렵다는 뜻이에요.특히 탐욕이나 버릇처럼 굳어진 행동은 쉽게 끊지 못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죠.방앗간은 곡식 가루 냄새가 솔솔 풍기는 곳,참새는 그 냄새에 홀려서 꼭 들르지요.사람도 자신이 좋아하는 것, 익숙한 습관 앞에선 비슷하다는 거예요. 👀 2. 삶의 예시 다이어트 중인데도, 빵집 앞만 지나면 들어가는 친구술 줄이겠다 해놓고, 회식 자리만 생기면 빠지지 않는 사람쇼핑 안 하겠다 다짐하고도, 세일 소식 들으면 카드부터 꺼내는 나 😅이 속담은 약간의 풍자와 너스레, 그리고 공감을 담고 있어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 영어: ..

한국 속담 : 벼룩도 낯짝이 있다

🪵 한국 속담 시리즈 42편벼룩도 낯짝이 있다 🧠 1. 속담 뜻풀이 **"벼룩도 낯짝이 있다"**는아무리 하찮고 작아 보이는 존재라도 염치와 체면은 있어야 한다는 뜻이에요.즉, 부끄러워할 줄도 알고, 선을 알아야 한다는 말이죠.주로 뻔뻔하게 행동하거나, 도를 넘은 사람에게 비판적으로 쓰여요.“지 잘못은 생각도 안 하고 계속 큰소리야.”“벼룩도 낯짝이 있다더니, 정말 뻔뻔하네.” 👀 2. 삶의 예시 잘못한 사람이 사과는커녕 오히려 화를 낼 때, 듣는 사람이 답답해져요.자기 몫도 못했으면서 당당하게 보상만 요구하는 태도, 주변 사람에게 외면받기 쉬워요.다른 사람 덕에 이익을 보면서도 감사 인사 하나 없이 당연한 듯 행동하는 것, 예의가 없죠.이 속담은 단순한 질책이 아니라,자신의 위치와 행동을 돌아보라..

한국 속담 : 제 버릇 개 못 준다

🪵 한국 속담 시리즈 41편제 버릇 개 못 준다 🧠 1. 속담 뜻풀이 **"제 버릇 개 못 준다"**는사람이 한 번 들인 습관이나 성격은 쉽게 고칠 수 없다는 뜻이에요.아무리 노력해도 본성처럼 굳어진 버릇은 다시 튀어나오곤 하죠.그래서 이 속담은 고치기 힘든 사람의 행동을 보며 타이르거나, 체념하며 쓰이기도 해요.“저 사람 또 지각했대.”“에휴, 제 버릇 개 못 주지.” 👀 2. 삶의 예시 몇 번이나 다짐했지만 말버릇이 거친 사람, 화가 나면 다시 예전 버릇이 튀어나와요.다이어트 중인데도 늦은 밤 라면 끓이는 습관, 결국 멈추기 어려운 일이 많죠.회식 때마다 술주정 부리는 직장 동료, 다음날 사과해도 그 행동은 또 반복돼요.이처럼 행동이 고쳐질 것 같아 보여도, 습관화된 행동은 쉽게 바뀌지 않아요...

한국 속담 :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

🐸 한국 속담 시리즈 40편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 📌 1. 속담 뜻풀이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는지금은 잘난 사람이 과거의 보잘것없던 시절을 잊고 거만하게 구는 모습을 비꼬는 말이에요. 개구리도 처음엔 작은 올챙이였지만,그 시절을 잊고 남을 무시하거나 비판하는 행동을 풍자하는 거죠. ▶ 흔히 성공하거나 출세한 사람이 초심을 잊고 변했을 때 이 속담을 사용해요. 🪞 2. 삶의 예시신입사원이 실수했을 때,예전엔 본인도 실수투성이였으면서"왜 저렇게 못하냐"며 면박을 주는 선배 예전엔 학업이 부족했으면서지금은 지식을 무기로 삼아 다른 사람을 가르치려 드는 사람 어려웠던 시절을 잊고지금의 여유만 강조하며 과거를 부끄러워하는 태도▶ 이 속담은 겸손의 중요성과 초심을 지키는 마음을..

한국 속담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 한국 속담 시리즈 39편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 1. 속담 뜻풀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는누구나 좋은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말은 하지만, 실제로 나서서 실행하려는 사람은 없다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생쥐들이 고양이의 접근을 알아차리기 위해방울을 목에 달자는 제안을 하지만,정작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지에 대해선 아무도 나서지 않죠. ▶ 말은 쉽지만 실천이 어렵고, 책임지려 하지 않는 사람들을 풍자하는 속담이에요. 🪞 2. 삶의 예시 회사 회의 시간에 문제 해결책은 많이 나왔지만,정작 실행은 아무도 하지 않으려 할 때 학교 조별 과제에서 “이거 이렇게 하자” 말은 많은데누구 하나 정리하거나 발표하려 하지 않을 때 가족회의나 동호회 회의에서다들 "이건 문제다"라고 말만 하고..

한국 속담 : 말은 해야 맛이고,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

🗣️ 한국 속담 시리즈 38편말은 해야 맛이고,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 📌 1. 속담 뜻풀이 **“말은 해야 맛이고,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는하고 싶은 말은 속에 담아두지 말고, 솔직하게 표현해야 한다는 의미예요. 말이라는 건 입 밖으로 나와야 그 뜻이 전달되고,고기 역시 입에 넣고 씹어야 맛을 알 수 있는 것처럼,마음속 말도 꺼내야 진짜 소통이 된다는 뜻이죠.▶ 특히 답답한 상황에서 속 시원히 말해야 할 때 자주 쓰는 속담이에요. 🪞 2. 삶의 예시 회사에서 억울한 상황이 있었는데 아무 말도 못 하고 지나가면“그럴 거면 뭐하러 회의해, 말은 해야 맛이지!” 하게 되죠. 가족이나 연인 사이에서도마음속 말만 담아두고 표현하지 않으면결국 오해만 커지고 멀어질 수 있어요. 친구와의 갈등에서도조심스럽..

한국 속담 :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 한국 속담 시리즈 37편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 1. 속담 뜻풀이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한 가지 일에 간섭하는 사람이 너무 많으면, 방향을 잃고 일이 어긋난다는 뜻이에요. 배는 바다를 향해 가야 하는데사공들이 제각각 노를 저으며 주장만 한다면,결국 배는 엉뚱한 방향, 심지어 산으로 가버릴지도 모른다는 비유적 표현이에요. ▶ 조직, 모임, 프로젝트 등에서 중심 없이 의견만 많을 때 자주 쓰는 말이죠. 🪞 2. 삶의 예시 단체 회의에서 모두가 의견만 내고 정리는 안 할 때→ 결과: 아무것도 결정되지 않고 시간만 허비 가족끼리 여행지를 정할 때 모두가 자기 주장만 할 때→ 결국 여행 자체가 취소되거나 불편한 여행이 될 수 있어요 학교 조별과제에서 리더가 없이 각자 ..

한국 속담 : 팔은 안으로 굽는다

💪 한국 속담 시리즈 36편팔은 안으로 굽는다 📌 1. 속담 뜻풀이 **“팔은 안으로 굽는다”**는사람은 본능적으로 가까운 사람의 편을 들기 쉽다는 의미예요. 팔이 자연스럽게 안쪽으로 굽듯,사람도 본인과 가까운 가족, 친구, 같은 편 사람에게무의식적으로 더 호의적이고 편을 들게 되는 성향을 말하죠. ▶ 이 속담은 인간관계 속 편파성과 감정적 판단을날카롭게 지적하면서도 현실을 인정한 표현이에요. 🪞 2. 삶의 예시 회사에서 친한 직원이 잘못했는데도,팀장이 그 사람을 두둔하는 모습을 보면“팔은 안으로 굽는다더니…”라는 말이 절로 나오죠. 학교에서 친구와 낯선 아이가 다퉜을 때,아무리 객관적으로 보려고 해도친구 쪽을 먼저 이해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요. 가족끼리 일어난 일에 대해부모가 자식의 잘못을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