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과 세계 속담 195

한국 속담 : 불난 집에 부채질한다

한국 속담 시리즈 165편불난 집에 부채질한다 🔥 1. 속담 뜻풀이이 속담은 이미 어려움에 처한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언행이나 행동을 한다는 뜻이에요.불이 난 집에 부채질을 하면 불길이 더 커지듯, 남의 곤란한 처지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더 큰 피해를 주는 경우를 빗댄 말입니다. 🪞 2. 삶의 예시친구가 실수로 곤란한 상황에 빠졌는데, 옆에서 비난만 하는 경우.회사에서 큰 문제가 발생했는데, 해결책 대신 탓만 늘어놓아 분위기를 더 험악하게 만드는 경우.다투는 사람들 사이에서 중재하지 않고 오히려 자극적인 말을 던져 싸움을 키우는 경우.즉,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드는 불필요한 행동은 경계해야 한다는 교훈이에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Adding fuel to the fire...

한국 속담 :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한국 속담 시리즈 164편금강산도 식후경이다⛰️ 1. 속담 뜻풀이이 속담은 아무리 훌륭하고 멋진 일이라도 배가 고프면 즐길 수 없다는 뜻이에요.사람의 기본적인 욕구인 먹는 일이 해결되어야 다른 즐거움이나 큰일도 마음 편히 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지요.🪞 2. 삶의 예시소풍을 가서 멋진 경치를 보더라도, 배가 고프면 먼저 도시락부터 찾게 돼요.중요한 발표나 여행도 든든히 먹은 뒤에야 집중할 수 있어요.예술 공연이나 명소 관광도 배가 부르고 나서야 온전히 즐길 수 있습니다.즉, 기본이 충족되어야 그 다음 단계의 가치가 빛난다는 의미예요.🌐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A hungry man is an angry man.” (배고픈 사람은 화가 나 있다) 중국: 民以食为天 (mín yǐ s..

한국 속담 : 설마가 사람 잡는다

한국 속담 시리즈 163편설마가 사람 잡는다⚠️ 1. 속담 뜻풀이이 속담은 “설마 그런 일이 있겠어?” 하며 방심하다가 큰 낭패를 본다는 의미예요.작은 가능성을 무시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넘기면, 예상치 못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2. 삶의 예시“설마 불이 나겠어?” 하고 소화기를 준비하지 않다가 큰 피해를 본 경우.“설마 늦겠어?” 하고 시간을 미루다가 중요한 약속을 놓치는 경우.“설마 저 사람은 아니겠지?” 하고 방심했다가 배신당하는 경우.즉, 사소해 보이는 위험도 대비하지 않으면 큰 화로 돌아온다는 뜻이에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An ounce of prevention is worth a pound of cure.” (예방이 치료보다 낫다) 중..

한국 속담 : 콩밭에 가서 두부 찾는다

한국 속담 시리즈 162편콩밭에 가서 두부 찾는다🌱 1. 속담 뜻풀이이 속담은 있을 수 없는 곳에서 무언가를 찾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한 말이에요.콩밭에는 콩은 있어도 두부는 없듯이, 애초에 기대할 수 없는 곳에서 결과를 찾으려는 헛수고를 꼬집은 표현입니다. 🪞 2. 삶의 예시공부하지 않고 시험 잘 보기를 바라는 학생은 콩밭에서 두부 찾는 격이에요.준비 없는 창업자가 큰 성공을 바라는 것도 마찬가지예요.인성이 나쁜 사람에게 진심 어린 배려를 기대하는 경우에도 쓰일 수 있습니다.즉, 이 속담은 조건과 과정이 갖춰져야 결과가 나온다는 교훈을 전해 줍니다.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You can’t make an omelet without breaking eggs.” (달걀을 깨지 않고..

한국 속담 : 바늘 가는 데 실 간다

한국 속담 시리즈 161편바늘 가는 데 실 간다🪡 1. 속담 뜻풀이이 속담은 둘 사이가 서로 떨어질 수 없이 항상 함께 다닌다는 뜻이에요.바느질할 때 바늘이 먼저 구멍을 뚫고 지나가면, 곧이어 실이 따라가듯이, 떨어질 수 없는 긴밀한 관계를 비유한 말입니다. 🪞 2. 삶의 예시늘 붙어 다니는 단짝 친구를 두고 “바늘 가는 데 실 간다”고 해요.부부가 어디든 함께 다니며 서로 의지하는 모습에도 쓰여요.어떤 일에서 꼭 짝을 이루어야 하는 관계를 표현할 때도 이 속담을 사용합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As thick as thieves.” (도둑만큼 끈끈하다 → 매우 친밀하다) 중국: 形影不离 (xíng yǐng bù lí) – 그림자와 몸처럼 떨어질 수 없다 일본: いつも一緒 (i..

한국 속담 : 꿀 먹은 벙어리

한국 속담 시리즈 160편꿀 먹은 벙어리 🍯 1. 속담 뜻풀이이 속담은 마땅히 할 말이 있는데도 아무 말도 하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에요.벙어리가 꿀을 먹은 것처럼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는 모습에서 비롯된 표현이지요. 🪞 2. 삶의 예시잘못을 저지르고도 아무런 해명을 하지 않는 경우.회의 자리에서 분명히 의견을 내야 하는데, 끝내 침묵하는 사람.친구가 억울한 일을 당했는데 옆에 있던 사람이 끝까지 입을 다물고 있는 상황.이 속담은 해야 할 말을 못 하는 답답함 또는 말을 회피하는 태도를 비유합니다.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As silent as the grave.” (무덤처럼 침묵하다) 중국: 哑口无言 (yǎ kǒu wú yán) – 입이 막혀 말이 없다 일본: 口をつぐむ..

한국 속담 : 꿩 구워 먹은 소식

한국 속담 시리즈 159편꿩 구워 먹은 소식 🦚 1. 속담 뜻풀이이 속담은 어떤 일을 맡기거나 부탁했는데, 아무 소식이 없을 때 쓰는 말이에요.예부터 귀한 꿩을 구워 먹으면 그 흔적이나 냄새라도 남을 텐데, 전혀 소식이 없다는 건 아예 묘적(苗跡, 흔적)조차 없다는 뜻으로 비유한 것이죠. 🪞 2. 삶의 예시친구에게 중요한 일을 부탁했는데, 한참이 지나도 연락이 없을 때.택배를 주문했는데 며칠이 지나도 배송 소식이 없을 때.공문을 보냈는데 담당 부서에서 아무 응답이 없을 때.즉, 결과나 진행 상황이 전혀 알려지지 않아 답답한 경우를 표현하는 속담입니다.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No news is good news.” (소식이 없는 게 오히려 좋은 소식이다) → 맥락은 다르지만, 소..

한국 속담 : 다 된 밥에 재 뿌린다

한국 속담 시리즈 158편다 된 밥에 재 뿌린다🍚 1. 속담 뜻풀이이 속담은 거의 완성된 일이나 잘 진행되던 일을 망쳐 놓는다는 뜻이에요.정성 들여 밥을 다 지어 놓았는데, 마지막에 재를 뿌려 먹을 수 없게 만든 것처럼, 마무리를 망쳐 모든 노력이 수포로 돌아간 상황을 비유한 것이죠. 🪞 2. 삶의 예시오랜 준비 끝에 발표회를 여는데, 마지막에 누군가 실수를 크게 해서 전체 분위기를 망칠 때.열심히 준비한 시험에서 작은 부주의로 실수해 좋은 결과를 놓친 경우.가정에서 즐겁게 모임을 하다가 누군가 불필요한 말을 꺼내 분위기를 흐릴 때.결국 이 속담은 마무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에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Don’t snatch defeat from the jaws of vic..

한국 속담 :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린다

한국 속담 시리즈 157편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린다 🐟 1. 속담 뜻풀이이 속담은 한 사람의 나쁜 행동이나 잘못이 전체 분위기나 공동체에 큰 피해를 끼칠 수 있다는 뜻이에요.작은 웅덩이에 미꾸라지 한 마리가 들어가면 흙탕물을 일으켜 맑던 물 전체가 흐려지듯, 한 사람의 그릇된 태도가 모두에게 영향을 준다는 교훈을 담고 있지요. 🪞 2. 삶의 예시학교에서 반 분위기가 좋은데, 한두 명이 수업을 방해하면 모두가 피해를 봐요.회사에서 열심히 일하는 동료들 사이에 무책임한 직원이 있으면 전체 성과가 떨어집니다.가족 모임에서도 한 사람의 불평이 전체 분위기를 무겁게 만들 수 있어요.🌐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One rotten apple spoils the whole barrel..

한국 속담 : 옹지기는 사돈네 밥상이다

한국 속담 시리즈 156편옹지기는 사돈네 밥상이다🍵 1. 속담 뜻풀이이 속담은 남의 집 살림이나 형편을 자기 집보다 더 잘 아는 것처럼 참견한다는 뜻이에요.특히 ‘옹지기’는 뚜껑이 달린 질그릇 단지를 말하는데, 남의 집 부엌에 놓인 단지 속까지 들여다보듯 참견하는 태도를 빗대어 표현한 것이죠. 🪞 2. 삶의 예시옆집에서 반찬을 뭘 하는지, 누가 언제 들어오는지까지 다 아는 이웃이 있어요.회사에서도 자기 일은 제쳐두고 동료의 업무 처리나 생활을 꼬치꼬치 간섭하는 사람이 있지요.가족 모임에서 괜히 남의 집 사정까지 들추며 훈수 두는 사람도 같은 경우예요.결국 이 속담은 남의 일에 지나치게 간섭하는 태도는 보기 좋지 않다는 교훈을 줍니다.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영국: “Mind your 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