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과 세계 속담

한국 속담 :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ktell 2025. 7. 11. 09:22

🚣 한국 속담 시리즈 37편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 1. 속담 뜻풀이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한 가지 일에 간섭하는 사람이 너무 많으면, 방향을 잃고 일이 어긋난다는 뜻이에요.

 

배는 바다를 향해 가야 하는데
사공들이 제각각 노를 저으며 주장만 한다면,
결국 배는 엉뚱한 방향, 심지어 산으로 가버릴지도 모른다는 비유적 표현이에요.

 

조직, 모임, 프로젝트 등에서 중심 없이 의견만 많을 때 자주 쓰는 말이죠.

 


 

🪞 2. 삶의 예시

 

  • 단체 회의에서 모두가 의견만 내고 정리는 안 할 때
    → 결과: 아무것도 결정되지 않고 시간만 허비
  •  
  • 가족끼리 여행지를 정할 때 모두가 자기 주장만 할 때
    → 결국 여행 자체가 취소되거나 불편한 여행이 될 수 있어요
  •  
  • 학교 조별과제에서 리더가 없이 각자 말만 앞세울 때
    → 결과물이 산만하고 방향도 흐트러지죠

▶ 이 속담은 지도자나 중심의 중요성,
또는 협업의 질서를 강조하는 말이에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문화 비교)

 

  • 영어 – "Too many cooks spoil the broth."
  • 요리사가 너무 많으면 국을 망친다
    → 주도자 없이 많은 사람이 간섭하면 오히려 결과가 나빠진다는 의미
  •  
  • 독일 – "Viele Köche verderben den Brei."
  • (위 영어 속담과 거의 동일)
  •  
  • 중국 – “人多嘴杂 (사람이 많으면 말이 많다)”
    → 사람이 많아지면 소문도 많고 일이 복잡해진다는 뜻

✅ 전 세계적으로 조율되지 않은 다수의 개입은 혼란을 부른다는 공통된 인식이 있어요.

 


 

🌱 4. 현대적 해석

 

이 속담은 조직 운영, 팀워크, 커뮤니케이션에서 매우 중요한 교훈을 줘요.

  • 너무 많은 의견은 혼란을 초래할 수 있고
  • 주도자 없는 조직은 방향을 잃기 쉬워요
  • 따라서 중요한 건
    역할 분담, 책임 중심, 그리고 소통과 존중의 균형이에요

▶ 모든 의견을 무시하라는 뜻이 아니라,
중심을 잃지 않으면서 협업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말이죠.

 


 

💌 5. 따뜻한 한마디

 

의견은 귀하게, 방향은 단단하게.
함께 저어야 할 땐,
노의 힘을 하나로 모아야 배가 바다로 향하죠. 🌊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