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과 세계 속담

🐄 한국 속담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ktell 2025. 8. 6. 20:05

🐄 한국 속담 시리즈 121편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1. 속담 풀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문제가 생기고 난 후에야 허둥지둥 수습하거나 대비책을 세우는
어리석고 뒤늦은 행동을 꼬집는 속담이에요.

 

말 그대로, 소를 잃은 후에야 외양간을 고친들 무슨 소용이 있겠냐는 거죠.
사전에 예방하고 대비하는 지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합니다.

 


 

🪞 2. 삶의 예시

 

 

▪️ 중요한 자료를 백업하지 않고 있다가 컴퓨터가 고장 나 모든 데이터를 날려버렸어요.
      그제야 외장하드를 사서 백업을 시작한다면? 이건 바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죠.

 

▪️ 건강을 소홀히 하다가 병원에서 병이 진행 중이란 얘기를 들은 뒤에야 운동과 식단을 시작하는 것도 마찬가지예요.

 

▪️ 시험 전까지 미루기만 하다가 낙제를 한 후에야 공부 계획을 짜는 것도 이 속담과 딱 들어맞죠.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 USA
    • “Don’t close the barn door after the horse is gone.”
      → 말이 도망간 후에 마굿간 문을 닫는다는 뜻으로, 사후 대처의 무의미함을 말해요.
  • France
    • “Il est trop tard pour serrer les fesses quand on a fait caca dans le pantalon.”
      → “바지에 실례하고 나서야 엉덩이를 조인들 무슨 소용?” 직설적이지만 강렬한 표현이에요.
  • China
    • “亡羊补牢” (망양보뢰)
      → 양을 잃은 뒤에 울타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비록 늦었지만 조치를 취하는 것이 그래도 낫다는 의미로 쓰이기도 해요. 한국 속담보다 조금 더 긍정적인 뉘앙스를 지녔어요.

 

💡 4. 오늘의 따뜻한 한마디

 

 

👉 “늦었다고 포기하지 말고, 지금이라도 외양간을 단단히 고쳐보자.
       두 번째 소는 지켜야 하니까.”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