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과 세계 속담

🪣 한국 속담 :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ktell 2025. 7. 18. 11:36

한국 속담 시리즈 73편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 1. 속담 뜻풀이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는
낫의 모양이 ‘ㄱ(기역)’과 비슷한데도 그것조차 몰라본다는 뜻이에요.

 

즉, 아주 기본적인 글자나 상식조차 모르는 무지함을 비유하는 말이에요.
옛날에는 글을 모르는 문맹을 놀릴 때 쓰였죠.

 

👉 오늘날엔 단순히 ‘글을 모른다’는 뜻뿐 아니라
상식적으로 너무 기초적인 것도 모르는 경우에 풍자적으로 쓰여요.

 


 

🪞 2. 삶의 예시

 

  • 스마트폰 기본 기능도 몰라서 전화조차 못 거는 사람
  • 세상 돌아가는 소식은 전혀 모르면서,
    괜히 남 얘기에는 끼어드는 상황
  • 회사에서 늘 사용하는 약어를 몇 달이 지나도 이해 못 하는 동료

📌 배움은 부끄럽지 않지만,
기초를 익히려는 노력조차 안 하면 더 부끄러워진다
는 교훈이 있어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 영국 속담
    Ignorance is bliss.
    → 무지함이 마음 편할 수도 있지만,
    모르면 손해 보는 일도 생긴다는 뉘앙스로도 쓰여요.
  • 프랑스 속담
    Être nul en tout.
    → “모든 게 영(0)이다.” 즉, 아주 기초도 모르는 상태를 가리켜요.
  • 일본 속담
    目に前のことも分からない
    → “눈앞의 것도 알지 못한다.”
    너무나 쉬운 것도 모른다는 의미로 비슷하게 쓰여요.

 

💡 현대적 의미

 

 

이 속담은 오늘날에도 배움의 기본부터 익히자는 교훈을 주며,
겸손하게 배우려는 자세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줘요.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