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 134편
귀한 자식 매 한 대 더 준다
☘ 1. 속담의 뜻풀이
"귀한 자식 매 한 대 더 준다"는 아이를 아끼고 귀하게 여길수록 오히려 더 엄하게 가르치고 훈육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사랑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훈육이지만, 자식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 때론 단호함이 필요함을 강조한 말이죠.
❖ 2. 삶의 예시
- 부모는 아이가 잘못된 길로 빠지지 않도록 더 귀하게 여길수록 작은 잘못도 그냥 넘어가지 않고 바로잡아요.
- 학교에서 뛰어난 학생일수록 선생님이 더욱 엄격하게 지도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에요.
- 이는 사랑이 없으면 무관심으로 흘러가지만, 진정한 사랑은 올바르게 키우고자 하는 엄격함을 동반한다는 의미예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 중국 : "사랑하면 깊이 가르치고, 미워하면 가볍게 가르친다(爱之深,责之切)" → 사랑이 깊을수록 더 엄격해진다는 뜻.
- 영국 : "Spare the rod and spoil the child." → 매를 아끼면 아이를 망친다.
- 프랑스 : "Qui aime bien châtie bien." →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잘 꾸짖는다.
✦ 4. 현대적 의미와 교훈
이 속담은 과거의 매를 통한 훈육의 의미를 넘어, 사랑의 책임으로서의 교육을 말해요.
오늘날에는 물리적인 매보다 대화, 관심, 꾸준한 지도로서의 엄격함이 필요하죠.
아이를 진정으로 귀하게 여긴다면 단순히 감싸주기보다는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올바른 지도를 해줘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 따뜻한 한마디
사랑은 달콤한 보살핌뿐만 아니라, 때로는 단호한 지도로 완성됩니다.
진정한 귀함은 올바름 속에서 자라납니다.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
'한국 속담과 세계 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속담 : 세월은 살같이 빠르다 (0) | 2025.08.17 |
---|---|
한국 속담 : 원님 덕에 나팔 분다 (1) | 2025.08.16 |
한국 속담 : 도둑 맞고 사립문 고친다 (3) | 2025.08.15 |
한국 속담 :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 없다 (2) | 2025.08.15 |
한국 속담 : 소뿔에 닭알 쌓는다 (2) | 2025.08.10 |
한국 속담 : 건넛산 보고 꾸짖기 (4) | 2025.08.10 |
한국 속담 : 짚신도 짝이 있다 (2) | 2025.08.09 |
한국 속담 : 나무에 오르라 하고 흔든다 (3) | 2025.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