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보 이야기

한국의 국보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ktell 2025. 9. 27. 01:45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7

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 위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리
시대: 통일신라 경덕왕 15년(756년)


✨ 1. 역사와 개요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는 통일신라 시대에 세워진 비석으로, 절의 창건 내력과 뜻을 기록한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비문은 김인문(金仁問, 김유신 장군의 동생)이 짓고, 글씨는 당대 명필 **김생(金生)**이 쓴 것으로 전해집니다.


🏛️ 2. 구조와 특징

  • 높이 약 2.8m, 지금은 일부 파손되어 비신만 남아 있습니다.
  • 3,600여 자의 해서체 글씨가 정갈하면서도 힘 있게 새겨져 있습니다.
  • 화려한 장식은 없지만, 단아한 서체 속에서 신라 서예 예술의 격조를 느낄 수 있습니다.

📜 3. 전해지는 이야기

이 비석은 경덕왕의 왕실 후원 아래 세워진 봉선홍경사라는 절의 내력을 기록한 것입니다.


나라의 안녕과 불법(佛法)의 융성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 있으며, 절은 사라졌지만 이 비석이 그 의미를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습니다.


🌿 4. 문화적 의의

  • 통일신라 불교사와 정치사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사료
  • 신라 명필 김생의 글씨를 통해 본 고대 서예의 정수
  • 비록 절은 소실되었지만, 비석을 통해 옛 사찰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음

💡 따뜻한 한마디

오랜 세월 풍화 속에서도 꿋꿋이 남아, 역사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비석. 비록 절은 사라졌어도, 그 마음은 여전히 우리 곁에 살아 있습니다.


📌 안내
국보 번호는 단순한 지정 순서를 나타낼 뿐, 가치의 우열을 뜻하지 않습니다.

더 많은 정보는 👉국가유산 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