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보 이야기

한국의 국보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ktell 2025. 9. 30. 01:40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10

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 위치: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실상사 백장암
시대: 통일신라 후기(9세기경)


✨ 1. 역사와 개요

남원 실상사(實相寺)는 신라 헌안왕 때 창건된 사찰로, 불교 교학과 선종의 중심지였습니다.


그 중 백장암(百丈庵)에 자리한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 양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이 탑은 원래 사찰의 중심 불탑으로 세워졌으며, 이후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도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었습니다.


🏛️ 2. 구조와 특징

  • 높이 약 3.9m, 단층 기단 위에 세워진 삼층 석탑
  • 기단과 탑신의 각 면에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어 단정한 인상을 줍니다.
  • 1층 탑신이 비교적 높고, 위로 올라갈수록 층마다 비례가 조화롭게 줄어듭니다.
  • 옥개석(지붕돌)의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 있어 경쾌하면서도 안정감이 있습니다.

📜 3. 전해지는 이야기

실상사는 당시 선종의 중심 사찰로, 백두대간을 잇는 영산(靈山) 지대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백장암 삼층석탑은 사찰을 찾는 이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등불 같은 존재였으며, 지금도 고요한 산사 속에서 그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 4. 문화적 의의

  • 통일신라 후기 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사례
  • 규모는 크지 않지만, 단정하고 균형 잡힌 비례미가 뛰어남
  • 산중 암자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어우러져 선종 사찰의 정신적 상징이 됨

💡 마무리

고요한 산사의 숲길 끝에 우뚝 선 삼층석탑, 그 모습은 세월을 넘어 여전히 맑은 울림을 전해줍니다.


📌 안내
국보 번호는 단순한 지정 순서를 나타낼 뿐, 가치의 우열을 뜻하지 않습니다.

더 많은 정보는 👉국가유산 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