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설화와 세계 설화 157

한국 설화 : 부석사 무량수전과 선묘낭자 전설

▪️ 한국 설화 137편부석사 무량수전과 선묘낭자 전설 🏯 1. 설화의 배경경상북도 영주에 자리한 부석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고찰 가운데 하나로, 통일신라 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집니다. 부석사(浮石寺)라는 이름부터 특별한 전설을 품고 있는데, 바로 무량수전(無量壽殿)과 ‘선묘낭자’의 이야기가 깊게 얽혀 있어요.지금도 무량수전 앞마당에는 큰 돌 하나가 떠 있는 듯 놓여 있는데, 이는 바로 선묘낭자의 혼과 연결된 신비로운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귀국하려 했을 때, 그를 따르던 한 여인이 있었으니 바로 ‘선묘낭자’입니다. 선묘는 의상을 깊이 사랑했지만, 의상은 수행자의 길을 택한 사람이라 그 마음을 받아줄 수 없..

한국 설화 : 고창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전설

▪️ 한국 설화 136편고창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전설 🪨 1. 설화의 배경 전라북도 고창에 위치한 선운사는 ‘꽃무릇’으로도 유명하지만, 그 속 깊은 산중에 자리 잡은 도솔암(兜率庵)은 더욱 신비로운 기운을 풍깁니다. 도솔암의 암벽에는 불상을 새긴 마애불이 모셔져 있는데, 이 불상은 천 년도 넘는 세월을 비바람 속에서도 미소를 잃지 않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 마애불을 두고 기묘한 기운과 기적 같은 이야기를 전해왔습니다.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옛날, 선운사 도솔암 근처에는 가뭄이 잦아 백성들이 농사를 짓기 힘들었어요. 어느 해, 심한 가뭄으로 논밭이 모두 말라붙자 마을 사람들은 하늘에 기도를 올렸지만 비는 내리지 않았습니다. 그때 산중에 은둔한 한 스님이 나타나 바위에 정성스레 불상..

한국 설화 : 태백산 천제단 이야기

▪️ 한국 설화 135편태백산 천제단 이야기 ⛰️ 1. 설화의 배경태백산은 예로부터 한반도의 영산(靈山)으로 불리며, 하늘과 가장 가까운 성지로 여겨졌어요. 그곳 정상에는 ‘천제단(天祭壇)’이라 불리는 제단이 있는데, 고대의 제왕들이 하늘에 제사를 올리던 신성한 장소로 전해집니다. 특히 단군왕검이 하늘에 제사를 올리며 백성을 위로하고, 나라의 평안을 기원했다는 이야기가 가장 유명해요.이후 여러 왕조에서도 중요한 국가 제례가 있을 때 이곳에서 제사를 지내며 나라의 안녕을 빌었다고 합니다.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옛날 태백산은 신들이 머무는 산으로 불렸습니다. 산의 봉우리마다 신령스러운 기운이 감돌았고, 그 정상에는 옥황상제를 비롯한 천신(天神)과 교류할 수 있는 제단이 있었다고 해요.한겨울..

한국 설화 : 무등산 서석대 바위 전설

🪨 한국 설화 시리즈 134편 무등산 서석대 바위 전설 1. 이야기의 배경 전남 광주와 담양, 화순에 걸쳐 있는 무등산은 ‘등급이 없다’, 즉 그 아름다움이 매길 수 없다는 뜻을 가진 명산입니다.그 정상 부근에 위치한 서석대는 층층이 쌓인 기둥 모양의 바위들이 장관을 이루는데, 그 웅장하고 신비로운 모습 뒤에는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설이 있습니다. 2. 전설의 내용 아주 먼 옛날, 하늘의 신선들이 무등산 정상에서 잔치를 벌였습니다.이 잔치는 하늘과 땅이 맞닿는 듯한 경치 속에서 열렸고, 온갖 진귀한 음식과 술이 돌며 신선들이 흥겹게 노래하고 춤을 추었습니다. 그때, 인간 세상에서 온 한 청년이 몰래 잔치 자리에 발을 들였습니다.청년은 그곳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에 넋을 잃었지만, 신선의 음식을 ..

한국 설화 : 여수 향일암 돌거북 이야기

🐢 한국 설화 시리즈 133편 여수 향일암 돌거북 이야기 1. 이야기의 배경 전남 여수의 금오산 기슭에 자리한 향일암은, 해가 뜨는 방향을 향해 앉아 있는 아름다운 암자로 유명합니다.이곳 절 입구에는 바다를 향해 고개를 든 듯한 돌거북이 놓여 있는데,이 거북에 얽힌 전설은 예로부터 마을 사람들 사이에 전해 내려왔습니다. 2. 전설의 내용 아주 먼 옛날, 금오산 아래 마을은 바닷길이 거칠어 배가 자주 전복되고,바다에서 기이한 소리가 들려 사람들을 불안하게 했습니다.마을 원로는 “이곳 바닷속에 오래된 용궁의 수문장 거북이 잠들어 있다”는 옛이야기를 꺼냈습니다.어느 해, 큰 태풍이 몰아친 뒤 해안 바위틈에 커다란 돌거북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그 거북은 마치 바다를 지키듯 동쪽을 향해 있었고,마을 사람들..

한국 설화 : 남해 보리암 관세음보살 전설

🪷 한국 설화 시리즈 132편남해 보리암 관세음보살 전설 ⛰ 1. 이야기 개요경상남도 남해 금산 기슭에 위치한 보리암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절경과 함께관세음보살의 가호로 유명한 사찰입니다.이곳에는 관세음보살이 직접 현신하여 사람들을 구제했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 📜 2. 전설의 줄거리 옛날, 남해 앞바다는 파도가 거세고 암초가 많아 배들이 자주 난파되었습니다.어부들은 바다에 나갈 때마다 목숨을 걸었고, 가족들은 언제나 무사 귀환을 빌었습니다. 어느 날, 큰 폭풍이 몰아쳐 수많은 배가 뒤집히고 사람들은 차가운 물결 속으로 빨려 들어갔습니다.그때, 하늘에서 은은한 범종 소리와 함께 하얀 옷을 입은 여인이 나타났습니다.그 여인은 거대한 연꽃 위에 서서 손에는 정병(淨甁)을 들고 있었는데,그 물을 바다 위에..

한국 설화 : 속초 영랑호 여인 전설

🌊 한국 설화 시리즈 131편속초 영랑호 여인 전설 🏞 1. 이야기 개요강원도 속초에 있는 **영랑호(永郎湖)**는 잔잔한 물결과 수려한 산세로 유명합니다.이 호수에는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여인 전설이 있습니다. 📜 2. 전설의 줄거리 옛날, 영랑호 주변 마을에는 고운 얼굴과 맑은 마음씨로 소문난 한 여인이 살고 있었습니다.그녀는 먼 고을의 선비와 약혼했지만, 선비는 과거를 보러 떠난 뒤 소식이 없었습니다.세월이 흐르면서 마을 사람들은 그가 이미 다른 여인과 혼례를 올렸다는 소문을 전했습니다.그러던 어느 봄날, 여인은 호숫가에 홀로 서서 물 위를 바라보다가멀리서 배를 타고 다가오는 남자의 모습을 보았습니다.그는 다름 아닌 약혼자였지만, 그 옆에는 화려한 옷을 입은 다른 여인이..

한국 설화 :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 설화

🏯 한국 설화 시리즈 130편속리산 법주사 팔상전 설화 ⛰ 1. 이야기 개요 충청북도 보은 속리산 깊은 곳에 자리한 법주사는 천년이 넘는역사를 자랑하는 사찰입니다.그 가운데 우뚝 솟은 **팔상전(八相殿)**은 한국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목탑으로,석가모니의 생애를 여덟 장면으로 표현한 공간입니다.이 웅장한 건물에는 세월과 함께 전해 내려오는 신비로운 설화가 있습니다. 📜 2. 전설의 줄거리 옛날, 법주사에는 불법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 한 노승이 있었습니다.그는 석가모니의 탄생부터 열반에 이르는 **팔상(八相)**을 한눈에 볼 수 있는전각을 세우고자 했지만, 그 규모와 장엄함은 당시 기술로는 불가능해 보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노승은 꿈에서 금빛 광채를 내뿜는 거대한 탑을 보았습니다.탑 앞에..

한국 설화 : 담양 소쇄원 양산보의 꿈 이야기

🌿 한국 설화 시리즈 129편담양 소쇄원 양산보의 꿈 이야기 🏞 1. 이야기 개요 전라남도 담양에 위치한 소쇄원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정원으로,자연과 인문 정신이 어우러진 공간입니다.이 정원은 학자 양산보가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며 조성했는데,그 탄생 배경에는 한 편의 꿈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 2. 전설의 줄거리 양산보는 조선 중종 때의 선비로, 관직에 나아갔지만 당시 조정의혼란과 부패에 환멸을 느끼고 벼슬을 내려놓았습니다.그는 고향 담양으로 돌아와 조용히 학문을 닦으며 살길 원했지만,마음 한구석에는 여전히 세상에 대한 미련이 남아 있었습니다. 어느 봄날, 양산보는 낮잠을 자다 이상한 꿈을 꾸었습니다.꿈속에서 그는 푸른 산과 맑은 계곡을 거닐다,그 사이에 맑은 물이 흐르고 대나무가 우거진 정..

한국 설화 : 청송 주왕산 주왕의 전설

🏞 한국 설화 시리즈 128편청송 주왕산 주왕의 전설 ⛰ 1. 이야기 개요 경상북도 청송에 자리한 주왕산은 기암절벽과 맑은 계곡으로 유명하지만,그 이름 뒤에는 **신라 시대 주왕(周王)**이라는 인물과 관련된전설이 숨겨져 있습니다.이 이야기는 한 왕의 몰락과 마지막 저항,그리고 자연이 된 그의 흔적을 전합니다. 📜 2. 전설의 줄거리 옛날 중국 당나라에서 반란을 일으킨 장수 주왕이 있었습니다.그는 패전 후 신라 땅으로 도망쳐와 깊은 산속에 몸을 숨겼습니다.그곳이 바로 오늘날의 주왕산이었습니다. 주왕은 신라의 추격을 피해 산속의 동굴과 계곡을 오가며 은신했고,그를 따르던 부하들과 함께 계곡 주변에 작은 진지를 세웠습니다.하지만 신라 장수 장군들이 병력을 이끌고 포위하자,주왕은 마지막까지 항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