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놀이와 세계 놀이 52

한국 전통놀이 : 바람개비 만들기

한국 전통놀이 42편바람개비 만들기🌀 놀이 소개바람개비는 종이나 대나무 잎 등을 잘라 축에 꽂아 만든 뒤, 바람에 돌게 하여 즐기는 놀이야.농촌에서는 나뭇잎이나 볏짚으로 간단히 만들었고, 도심에서는 종이를 오려 색깔 있는 바람개비를 만들기도 했어.특히 아이들에게 바람과 자연의 힘을 느끼게 해주는 소박한 장난감이자 놀이였지.🌀 놀이 준비준비물: 종이(사각형), 가위, 대나무 젓가락이나 나무 막대, 송곳, 핀이나 철사인원: 혼자서도 가능, 여럿이 만들며 비교 가능🌀 놀이 방법사각형 종이를 대각선으로 잘라 끝을 접을 수 있게 준비.네 귀퉁이 중 하나씩을 중심으로 모아 핀이나 송곳으로 고정.뒤에 나무 막대나 대나무 잎대에 꽂아 손잡이를 만듦.바람이 부는 쪽을 향하면 바람개비가 빙글빙글 돌며 움직임.아이들은..

한국 전통놀이 : 딱지치기

한국 전통놀이 41편딱지치기📄 놀이 소개딱지치기는 종이를 여러 겹 접어 네모난 딱지를 만든 뒤, 땅에 놓고 다른 딱지로 내리쳐서 뒤집으면 이기는 놀이야.우리나라 아이들이 길거리, 학교 운동장, 집 마당 등 어디서든 즐기던 대표적인 전통놀이야.📄 놀이 준비인원: 2명 이상준비물: 색종이나 잡지 종이 → 여러 겹 접어 만든 딱지📄 놀이 방법상대방이 만든 딱지를 땅에 놓는다.자기 차례가 되면, 손으로 자기 딱지를 힘껏 튕겨 상대 딱지를 내리침.바람이나 충격으로 상대 딱지가 뒤집히면 승리!여러 판을 두어 승패를 겨루고, 이긴 사람이 진 사람의 딱지를 가져가기도 했음.📄 놀이 팁단순한 힘보다 각도와 정확성이 중요.바람을 일으켜 옆면을 파고들 듯 치면 뒤집힐 확률이 높음.두께와 무게 중심에 따라 딱지 성능이..

한국 전통놀이 : 땅따먹기

한국 전통놀이 40편땅따먹기 🪁 놀이 소개땅따먹기는 땅 위에 선을 그리고 돌멩이나 병뚜껑 같은 작은 물체(망)를 튕겨가며 자기 구역을 넓혀가는 놀이야.단순한 놀이 같지만 전략, 조준력, 순발력이 모두 필요해서 아이들이 가장 좋아했던 민속놀이 중 하나였어.🪁 놀이 준비인원: 최소 2명 이상 (2~3명이 가장 적당)준비물: 망(돌멩이, 병뚜껑, 동전 등 손가락으로 튕겼을 때 잘 나가는 물체), 흙바닥 공간🪁 놀이 방법놀이판 그리기땅에 큰 원이나 사각형을 그림 → 이 선을 ‘벽’이라고 부름.참가자마다 집 모양(반원)을 벽 구석에 하나씩 만들어 출발점으로 삼음.돌 튕기기 시작순서대로 자기 집에서 망을 세 번 튕겨서, 다시 자기 집으로 돌아오게 함.망이 지나간 자리에는 선을 긋고, 그 선 안쪽은 자기 땅이 ..

한국 전통놀이 : 사자춤놀이

한국 전통놀이 39편사자춤놀이 🦁 놀이 소개사자춤놀이는 사자 모양 탈을 쓰고 여러 사람이 함께 춤추며 마을의 평안과 잡귀를 몰아내는 전통 놀이야.사자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악귀를 물리치고 복을 가져오는 상징으로 여겨졌고, 한국에서도 마을 굿, 큰 잔치, 혹은 축제에서 즐겨 행해졌어.🦁 놀이 방법두 명이 들어가 앞사람은 사자의 머리, 뒷사람은 몸과 꼬리를 표현.북, 징, 장구, 꽹과리 장단에 맞추어 사자가 뛰고 구르고, 때로는 익살스러운 몸짓을 함.사자가 사람들에게 다가가 장난치거나, 나쁜 기운을 쫓는 퍼포먼스를 펼침.놀이꾼들은 사자와 함께 노래하거나 춤추며 흥을 돋움.🦁 문화적 의미사자춤은 마을의 수호와 복 기원을 담은 놀이.해학과 웃음을 더해 구경꾼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공동체 연희.풍년과 안녕을 ..

한국 전통놀이 : 거북놀이

한국 전통놀이 38편거북놀이🐢 놀이 소개거북놀이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거북 모양의 탈이나 구조물을 만들고, 여러 사람이 함께 들어 올리거나 끌며 노래와 춤을 곁들여 즐기던 집단놀이야.거북은 장수와 번영을 상징했기 때문에, 거북놀이에는 건강과 풍년, 장수의 기원이 담겨 있었어. 🐢 놀이 방법나무나 대나무로 거북 모양의 큰 틀을 만들고 천으로 덮어 장식함.그 안에 여러 명이 들어가 거북의 다리처럼 움직이며 전진.풍물패가 장단을 울리면, 거북은 춤추듯 느리게 혹은 빠르게 움직임.구경꾼들은 노래와 장단에 맞춰 함께 춤을 추거나 흥을 돋움.놀이가 끝날 때는 거북이 사람들에게 복을 나눠주는 퍼포먼스로 마무리.🐢 문화적 의미거북은 수명과 복을 상징하는 신성한 동물 →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년 기원.공동체가 함..

한국 전통놀이 : 소싸움

한국 전통놀이 37편소싸움🐂 놀이 소개소싸움은 우리나라 농촌에서 오랜 세월 전해 내려온 전통놀이로, 힘이 좋은 수소 두 마리를 마주 세워 싸움을 벌이는 경기야.특히 경상도, 충청도 지방에서 성행했고, 마을 잔치나 장터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 구경하며 흥겨움을 나눴어. 🐂 놀이 방법싸움에 나설 소는 특별히 정성 들여 기른 수소.두 소를 마주 세워 뿔을 맞붙이면 싸움이 시작됨.소들은 뿔로 밀고 당기며, 체력과 힘, 끈기를 겨룸.한쪽 소가 도망치거나 뿔을 거두면 승패가 결정됨.싸움 중 사람들은 구호를 외치거나 북을 치며 흥을 돋움.🐂 문화적 의미단순한 싸움이 아닌, 마을 축제의 중심.농경사회에서 소는 재산이자 가족이었기에, 소싸움은 마을의 자랑이었음.힘, 끈기, 용맹을 상징하는 소싸움은 공동체의 활력을 ..

한국 전통놀이 : 장승세우기 놀이

한국 전통놀이 36편장승세우기 놀이🪵 놀이 소개장승세우기 놀이는 정월대보름이나 큰 마을 축제에서 사람들이 모여 나무를 다듬어 장승을 만들고 마을 입구에 세우는 의식이자 놀이야.장승은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외부의 잡귀를 막고 풍년과 평안을 기원하는 상징이었지. 🪵 놀이 방법마을 사람들이 큰 나무를 준비하고, 장정들이 도끼와 칼로 나무를 다듬어 얼굴을 새김.얼굴에는 익살스러운 표정을 새겨 두려움보다 친근함을 줌.사람들이 힘을 모아 장승을 마을 어귀에 세움.세운 뒤에는 풍물패가 장단을 울리고, 마을 사람들은 춤과 노래로 함께 즐김.어떤 곳에서는 장승끼리 대결하거나 높이를 겨루며 놀이성을 더하기도 함.🪵 문화적 의미장승은 단순한 나무 기둥이 아니라, 마을 공동체의 수호신.세우는 과정이 공동체의 협력..

한국 전통놀이 : 그네타기 (명절놀이)

한국 전통놀이 35편그네타기 (명절놀이)🎐 놀이 소개그네타기는 긴 밧줄을 나무나 기둥에 매달아 하늘 높이 오르내리며 타는 전통놀이야. 특히 단오나 추석 같은 큰 명절에 여성들이 즐겼던 대표 놀이로, 하늘을 나는 듯한 자유와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어. 🎐 놀이 방법마을 마당이나 큰 나무에 밧줄을 매달아 그네를 설치.참가자가 그네 위에 올라서 양손으로 줄을 잡고 발로 밀어 오르내림.누가 더 높이 올라가는지, 누가 더 오래 버티는지 겨루기도 함.단순히 타는 것뿐 아니라, 그네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흥을 돋우기도 함.🎐 문화적 의미농사철 전후,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김.여성들의 명절 대표 놀이로, 공동체의 축제 분위기를 살려줌.하늘로 높이 올라가는 모습은 풍요와 희망을 상징.🎐 비슷한 세계의 놀..

한국 전통놀이 : 농악놀이 속 장단놀이

한국 전통놀이 34편농악놀이 속 장단놀이🥁 놀이 소개농악놀이는 농촌에서 마을의 풍년을 기원하거나 명절·잔치 때 벌어지던 대표적인 집단놀이야. 꽹과리, 징, 장구, 북 같은 악기를 들고 마을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풍물굿을 치며 춤과 노래를 즐겼어.그중에서도 장단놀이는 악기의 장단을 주고받으며 흥을 더하는 과정으로, 놀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어. 🥁 놀이 방법풍물패가 원을 이루어 악기를 나누어 듦.상쇠(꽹과리)가 중심 장단을 내면, 북·장구·징이 이에 맞추어 합을 맞춤.장단이 빨라졌다 느려졌다 하며, 즉흥적으로 주고받기(받는 소리, 메기는 소리) 형태로 이어짐.사람들은 춤추거나 소리를 함께 하며 참여.마지막에는 ‘터벌림(대미 장단)’으로 힘차게 마무리.🥁 문화적 의미장단놀이는 단순한 음악이 아니라, ..

한국 전통놀이 : 가마싸움

한국 전통놀이 33편가마싸움💪 놀이 소개가마싸움은 농촌에서 마을 사람들끼리 모여 큰 축제나 명절에 벌이던 놀이로, 여러 명이 힘을 합쳐 상대편과 맞붙는 집단놀이야. 이름 그대로 가마(轎子, 가마처럼 생긴 구조물)를 짜서 그 위에 대표 선수를 태우고, 양쪽이 맞부딪치며 승부를 겨루는 방식이야. 💪 놀이 방법나무와 대나무, 천 등을 이용해 가마 모양의 구조물을 만듦.여러 명이 가마를 어깨에 메고, 그 위에 한두 명의 대표가 올라탐.양쪽 팀이 맞부딪치며 서로 밀치거나 균형을 무너뜨림.먼저 쓰러지거나 밀려난 팀이 패배.때로는 풍물패가 장단을 맞추며 흥을 돋움.💪 문화적 의미단순한 힘 겨루기를 넘어서, 마을의 단합과 기운을 상징.농번기와 명절을 마무리하는 큰 축제로서의 의미.‘승부’보다는 마을 사람들 모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