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놀이와 세계 놀이 91

한국 전통놀이 : 꽃찾기놀이

🌸 한국 전통놀이 61편 꽃찾기놀이✨ 1. 놀이의 개요꽃찾기놀이는 봄철이나 명절 때 마을 아이들이 여럿 모여 두 편으로 나뉘어 즐기던 집단 대항놀이입니다.이름은 ‘꽃’을 찾는다는 표현을 쓰지만, 실제로는 노래와 동작이 결합된 협동·대항형 놀이로, ‘우리 집에 왜 왔니~’와 ‘꽃 찾으러 왔단다~’라는 주고받기 노래가 핵심입니다.🌺 2. 놀이 방법인원 구성10~20명씩 두 팀으로 나눕니다.같은 편끼리 옆으로 손을 잡고 일렬로 서서 서로 마주봅니다.노래와 움직임한쪽 팀이 앞으로 나서며 노래합니다.“우리 집에 왜 왔니~ 왜 왔니~”상대편은 뒷걸음질하며 대답합니다.“꽃 찾으러 왔단다~ 왔단다~”이렇게 서로 밀고 밀리며 왔다 갔다를 반복합니다.찾기와 승부어느 순간 한쪽이 “○○ 찾는다!” 하고 특정 사람 이름을..

한국 전통놀이 : 방아깨비놀이

🦗 한국 전통놀이 60편방아깨비놀이✨ 1. 놀이의 개요방아깨비놀이는 여름과 가을 사이 들판이나 논둑에서 **방아깨비(메뚜기과 곤충)**를 잡아 놀던 전통적인 어린이 놀이입니다.곤충이 풍부하던 농촌 시절, 아이들은 자연 속에서 친구들과 함께 뛰놀며 생명과 자연의 조화를 배우곤 했습니다.🪶 2. 놀이 방법들판이나 논두렁에 나가 방아깨비를 손으로 잡습니다.잡은 방아깨비의 뒷다리 모양을 살피며 “방아 찧는 모양이네!” 하고 흉내 냅니다.아이들은 손가락으로 두 다리를 움직이며 방아 찧듯이 “쿵, 쿵!” 소리를 내며 장난쳤습니다.어떤 지역에서는 방아깨비 두 마리를 마주세워 경주시키는 놀이도 했습니다.방아깨비를 다치지 않게 놓아주는 것이 마지막 규칙이었습니다.🌾 3. 놀이의 의미자연 친화성 : 곤충과 함께 놀며..

한국 전통놀이 : 맷돌놀이

🌾 한국 전통놀이 59편맷돌놀이✨ 1. 놀이의 개요맷돌놀이는 집안의 필수 도구였던 맷돌을 흉내 내며 하는 전통 놀이입니다.곡식을 갈던 어른들의 모습을 따라하며, 아이들이 놀이 속에서 일의 의미와 협동심을 배웠던 놀이였지요.⚙️ 2. 놀이 방법두 명이 짝을 이룹니다.한 명은 맷돌 아래판(아랫돌) 역할을 하고, 다른 한 명은 윗돌 역할을 맡습니다.윗돌 역할의 아이는 손을 내밀어 마치 손잡이를 돌리듯 원을 그리며 움직입니다.아래판 역할의 아이는 두 팔을 벌려 맷돌의 중심축이 된 듯 고정된 자세를 유지합니다.놀이를 하며 “맷돌아 돌아라~ 쌀가루 나와라~” 같은 노래를 흥겹게 부르기도 했습니다.🌸 3. 놀이의 의미일의 체험 : 어른들의 노동을 흉내 내며 자연스럽게 농사와 생활의 중요성을 배움.협동심 : 짝꿍과..

한국 전통놀이 : 디딜방아놀이

🌾 한국 전통놀이 58편디딜방아놀이✨ 1. 놀이의 개요디딜방아놀이는 곡식을 찧는 디딜방아를 소재로 삼은 전통놀이입니다.본래는 마을 공동체가 모여 곡식을 찧으며 일의 고됨을 덜기 위해 시작되었지만, 점차 놀이와 축제의 의미가 더해졌습니다.🪵 2. 놀이 방법긴 나무판을 받침대에 걸쳐 놓고, 한쪽 끝은 방아통에 올려놓습니다.한 사람이 나무판 끝을 발로 밟아 내리면 반대쪽 끝이 올라가면서 곡식이 찧어집니다.이 과정에서 리듬을 맞추며 노래와 장단을 부르기도 했습니다.아이들은 어른들이 방아를 찧는 사이 그 움직임을 흉내 내며 장난처럼 즐겼습니다.🎶 3. 놀이의 의미협동심 : 둘 이상이 호흡을 맞춰야 원활히 곡식을 찧을 수 있었습니다.노동과 놀이의 결합 : 힘든 일을 즐거움으로 바꾸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

한국 전통놀이 : 투전

🃏 한국 전통놀이 57편투전✨ 1. 놀이의 개요투전은 조선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 카드놀이로, 오늘날 화투의 기원이 된 놀이입니다.‘투전’이란 이름은 **종이를 던진다(投)**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종이에 다양한 무늬를 그려 **패(牌)**로 사용했습니다.🎲 2. 놀이 방법종이에 여러 가지 문양을 그려 투전패를 만듭니다.기본적으로 20장 내외의 패를 사용했으며, 종류에 따라 점수가 달랐습니다.참가자들이 번갈아 가며 패를 내고, 점수의 합이 높은 사람이 이기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때로는 돈이나 곡식을 걸고 승부를 가르기도 했습니다.🏮 3. 놀이의 의미단순한 오락이자, 여흥을 즐기는 수단이었습니다.그러나 과도한 내기성 투전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기도 했습니다.그럼에도 투전은 우리 민속 오락의 한 부분..

한국 전통놀이 : 소꿉놀이

🍲 한국 전통놀이 56편소꿉놀이✨ 1. 놀이의 개요소꿉놀이는 아이들이 어른들의 생활을 흉내 내며 밥을 짓고, 반찬을 만들고, 가족 흉내를 내는 놀이입니다.흙, 나뭇잎, 꽃잎, 돌멩이, 나무 조각 등이 모두 음식과 그릇이 되어, 아이들만의 작은 세상이 펼쳐집니다.🪣 2. 놀이 방법아이들은 주변에서 주운 돌멩이나 조약돌을 밥알로 삼습니다.흙은 된장, 꽃잎은 나물무침, 잎사귀는 김치가 되지요.나무껍질이나 조개껍질은 접시와 그릇이 되고, 작은 막대기는 숟가락이 됩니다.밥을 짓고 반찬을 차려 엄마·아빠·동생 역할을 맡아 서로 밥을 먹이는 시늉을 합니다.🌸 3. 놀이의 의미상상력 발달 : 아무것도 없는 재료로도 아이들만의 세상을 만들어냅니다.사회성 학습 : 역할을 나누어 가정생활을 체험하며 자연스럽게 질서와 ..

한국 전통놀이 : 용놀이

🐉 한국 전통놀이 55편용놀이✨ 1. 놀이의 개요용놀이는 마을의 풍년과 평안을 기원하며 펼치던 집단놀이입니다.용은 예로부터 비와 물을 다스리는 신령한 존재로 여겨져, 농경사회였던 우리 조상들에게 풍요의 상징이었지요.🎭 2. 놀이 방법마을 사람들이 모여 긴 천이나 헝겊을 이어 용의 몸통을 만듭니다.머리는 나무·종이로 장식하여 커다란 용의 얼굴을 표현합니다.여러 명이 줄을 잡고 앞사람의 움직임을 따라 춤추듯 흔들면, 마치 살아 있는 용처럼 보입니다.꽹과리, 북, 징 등 풍물패의 연주가 어우러져 신명 나는 분위기를 더합니다.용은 마을 골목과 논밭 사이를 누비며 액운을 몰아내고 복을 부르는 상징이 됩니다.🌾 3. 놀이의 의미풍년 기원 : 용의 기운으로 비를 불러오고, 풍요를 바람.공동체 결속 : 여러 사람..

한국 전통놀이 : 산가지놀이

한국 전통놀이 54편산가지놀이📏 놀이 소개산가지놀이는 나무를 잘게 쪼개 만든 **산가지(얇고 긴 막대기)**를 사용해 즐기던 전통놀이야.원래 산가지는 점(占)을 치거나 셈(計算)을 하는 도구였는데, 아이들이 이걸 응용해 놀이로 발전시켰지.📏 놀이 준비준비물: 산가지(가는 나무 막대기 여러 개, 보통 20~30개)인원: 2명 이상장소: 마당, 마루, 실내 어디서나 가능📏 놀이 방법산가지를 한 손에 쥐고 땅 위나 바닥에 흩뿌린다.차례대로 한 개씩 산가지를 집어 올리는데, 다른 산가지를 건드리면 실패한다.성공하면 계속 집을 수 있고, 실패하면 다음 사람에게 차례가 넘어간다.마지막까지 많이 모은 사람이 이긴다.지역이나 집단에 따라 점수를 매기거나, 모양에 따라 특별 규칙을 두기도 했다.📏 놀이 의미집중력..

한국 전통놀이 : 가마타기

한국 전통놀이 53편가마타기🛕 놀이 소개가마타기는 아이들이 세 명씩 한 편을 이루어 가마를 흉내 내며 달리던 놀이야.서로의 팔목을 단단히 잡아 만든 가마 위에 친구를 태우고 달리며 웃음과 흥을 즐겼지.🛕 놀이 준비준비물: 별도 없음인원: 세 명이 한 팀 (두 명이 가마꾼, 한 명이 가마 타는 사람)장소: 마당, 골목, 운동장 등🛕 놀이 방법두 아이가 마주 서서 오른손으로 자기의 왼쪽 팔목을, 왼손으로 상대의 오른쪽 팔목을 잡아 우물 정(井)자 모양의 가마를 만든다.나머지 한 아이가 그 위에 올라탄다.시작 신호와 함께 두 아이가 가마를 메고 달린다.목표 지점을 돌아오거나, 이어달리기처럼 팀을 바꾸어 놀이를 이어간다.🛕 문화적 의미가마를 흉내 내며 아이들이 어른들의 의례 문화를 놀이로 체험.협력과 균..

한국 전통놀이 : 귀신놀이

한국 전통놀이 52편귀신놀이 (가면·천 이용)👻 놀이 소개귀신놀이는 아이들이 천이나 가면을 이용해 귀신 흉내를 내며 서로를 놀라게 하는 놀이야.특히 여름밤이나 달빛이 밝은 날에 즐겨 했는데, 무서움 속에서 웃음과 흥을 함께 느끼게 했어.👻 놀이 준비준비물: 흰 천, 가면, 삿갓 등 (귀신 흉내낼 도구)인원: 2명 이상장소: 마당, 골목, 혹은 어두운 방👻 놀이 방법아이 중 몇 명은 흰 천을 뒤집어쓰거나 가면을 쓰고 귀신 역할을 한다.다른 아이들은 숨어 있다가 등장하는 귀신을 보고 도망가거나 잡히지 않으려 한다.귀신 역할은 “잡았다!” 하며 다른 아이를 잡으면, 잡힌 아이가 새 귀신이 된다.때로는 무서운 소리를 흉내 내거나, 바람에 천을 펄럭이며 분위기를 더하기도 했다.👻 문화적 의미귀신놀이는 단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