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놀이와 세계 놀이

한국 전통놀이 : 땅따먹기

ktell 2025. 9. 16. 01:06

한국 전통놀이 40편

땅따먹기

 

🪁 놀이 소개


땅따먹기는 땅 위에 선을 그리고 돌멩이나 병뚜껑 같은 작은 물체(망)를 튕겨가며 자기 구역을 넓혀가는 놀이야.


단순한 놀이 같지만 전략, 조준력, 순발력이 모두 필요해서 아이들이 가장 좋아했던 민속놀이 중 하나였어.


🪁 놀이 준비

  • 인원: 최소 2명 이상 (2~3명이 가장 적당)
  • 준비물: 망(돌멩이, 병뚜껑, 동전 등 손가락으로 튕겼을 때 잘 나가는 물체), 흙바닥 공간

🪁 놀이 방법

  1. 놀이판 그리기
    • 땅에 큰 원이나 사각형을 그림 → 이 선을 ‘벽’이라고 부름.
    • 참가자마다 집 모양(반원)을 벽 구석에 하나씩 만들어 출발점으로 삼음.
  2. 돌 튕기기 시작
    • 순서대로 자기 집에서 망을 세 번 튕겨서, 다시 자기 집으로 돌아오게 함.
    • 망이 지나간 자리에는 선을 긋고, 그 선 안쪽은 자기 땅이 됨.
  3. 실패 조건
    • 망이 벽을 넘어가거나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면 기회 상실 → 다음 사람에게 차례 넘어감.
  4. 땅 확장
    • 망을 계속 튕기며 영역을 넓혀 나감.
    • 망이 상대방의 땅을 지나가도 자기 집으로 돌아오기만 하면, 그 선 안쪽은 모두 자기 땅으로 차지할 수 있음.
  5. 게임 종료와 승리
    • 더 이상 차지할 땅이 없어지면 게임 끝.
    • 가장 많은 땅을 가진 사람이 승리.

🪁 놀이 팁

  • 망은 손가락으로 잘 튕겨야 하므로 조준력과 거리감각이 중요함.
  • 1:1 또는 여러 명이 동시에 겨루는 방식 모두 가능.
  • 안전을 위해 모래밭이나 흙바닥처럼 부드러운 공간에서 하는 게 좋아.

🪁 문화적 의미

  • 땅따먹기는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아이들이 전략·영역의식·사회성을 배우는 놀이였어.
  • 경쟁 속에서도 규칙을 지켜야 하므로, 질서와 배려를 함께 익히는 과정이기도 했지.

🪁 비슷한 세계의 놀이/풍습

  • 일본: 오하지키 – 돌을 튕겨 영역을 확보하는 놀이.
  • 서양: Hopscotch(돌차기) – 바닥에 그린 칸에 돌을 던지고 점프하는 놀이.
  • 중국: 지지(地子) – 돌을 던져 땅을 차지하는 전통 어린이 놀이.

🌿 현대적 이미

땅따먹기는 작은 돌멩이 하나로도 흙바닥이 거대한 놀이판으로 바뀌는 지혜로운 놀이야.


아이들은 경쟁하면서도 질서를 배우고, 협동하며 함께 즐기는 법을 익힐 수 있었어.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