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놀이와 세계 놀이 91

한국 전통놀이 : 줄넘기

🪢 한국 전통놀이 71편 줄넘기✨ 1. 놀이의 개요줄넘기는 길게 엮은 새끼줄이나 노끈을 이용해 넘으며 노는 대표적인 체력놀이입니다.겨울철 운동 부족을 해소하고, 리듬감과 협동심을 기르는 국민 놀이로 사랑받아 왔습니다.특히 달집태우기나 정월대보름 같은 명절에도 마을 전체가 어울려 즐기는 놀이로 전해졌습니다.🧵 2. 놀이 방법준비물 : 새끼줄, 헝겊줄, 또는 고무줄.참가 인원 : 1인 또는 여러 명이 함께 가능.두 사람이 양끝을 잡고 줄을 돌리면, 다른 한 명이 그 안에서 줄을 넘습니다.여러 명이 순서대로 들어가거나, 동시에 뛰는 단체줄넘기로 발전하기도 합니다.노랫말을 붙여 리듬을 맞추는 경우도 많습니다.“하나, 둘, 셋! 줄 넘는다~”한 번도 걸리지 않고 오래 넘거나, 가장 많이 넘은 사람이 이깁니다...

한국 전통놀이 : 화투놀이

🎴 한국 전통놀이 70편화투놀이✨ 1. 놀이의 개요화투(花鬪)는 ‘꽃으로 싸운다’는 뜻으로, 꽃그림이 그려진 카드로 짝을 맞추거나 족보를 만들어 즐기는 전통 카드놀이입니다.오늘날에는 설날이나 명절 때 가족들이 함께 모여 즐기는 대표적인 여가 놀이로, 한국적인 디자인과 정서가 깊게 배어 있습니다.🃏 2. 기원과 역사화투의 기원은 일본의 ‘하나후다(花札)’에서 비롯되었지만, 한국전쟁 이후 한국적 문화로 재해석되어 완전히 정착했습니다.1940~1950년대에 들어서며 ‘고스톱’이라는 이름으로 전국적으로 유행했고, 이후 명절·잔치·마을 모임 등 사교 놀이문화의 상징이 되었습니다.‘화투’라는 단어에는 단순한 카드놀이를 넘어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이어주는 놀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3. 놀이 방법한 벌의..

한국 전통놀이 : 장치기

🏑 한국 전통놀이 69편장치기 (지상격구)✨ 1. 놀이의 개요장치기는 **긴 나무 막대(채)**로 나무공을 쳐서 상대편 골문에 넣는 전통 구기놀이로, 고려시대의 **격구(擊毬)**에서 유래한 한국의 옛 필드하키입니다.조선시대에는 궁중과 양반층에서 **‘타구(打毬)’**라 불리며 성행했고, 이후 민간으로 전파되어 겨울철 농한기나 명절놀이로 발전했습니다. 1930년대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식 고취와 체력 단련을 위해 ‘장치기대회’가 열릴 만큼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2. 기원과 역사고려시대 격구(擊毬) : 말을 타고 공을 치는 귀족 경기로 시작.조선시대 타구(打毬) : 궁중 의식이나 연회 때 즐기던 귀족 스포츠.민간 장치기 : 마상격구가 사라진 뒤, 지상에서 막대와 공을 사용하는 형태로 변화.근대..

한국 전통놀이 : 길쌈놀이

🧵 한국 전통놀이 68편길쌈놀이✨ 1. 놀이의 개요길쌈놀이는 예부터 여인들이 삼이나 무명을 잣고 베를 짜며 즐기던 전통적인 공동 노동 놀이입니다.‘길쌈’은 실을 자아 천을 짜는 모든 과정을 말하며, 노동과 놀이가 자연스럽게 하나가 된 생활 속의 예술이었습니다.특히 여름밤 달빛 아래 베틀 소리와 노랫가락이 어우러지는 정경은 한국의 전통미를 대표하는 장면으로 꼽힙니다.🪡 2. 놀이 방법마을 여인들이 저녁이나 달 밝은 밤에 한집에 모입니다.각자 베틀이나 물레를 앞에 두고 삼실, 무명실, 비단실을 자아 올립니다.일하는 동안 **길쌈노래(길쌈가)**를 부르며 흥을 돋웁니다.“달아 달아 밝은 달아~ 길쌈하는 내 손 밝혀주오~”노래와 장단에 맞춰 서로의 작업 속도를 맞추며, 농담과 웃음이 오갑니다.마무리 후에는 ..

한국 전통놀이 : 제비뽑기

🎋 한국 전통놀이 67편제비뽑기✨ 1. 놀이의 개요제비뽑기는 순서를 정하거나 운을 시험하기 위해 종이나 나뭇가지에 표시를 해 무작위로 뽑는 전통놀이입니다.‘제비’라는 이름은 종이에 새겨진 표시나 꼬리가 마치 제비의 꼬리처럼 보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지요.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공정함과 운의 재미를 배웠습니다.🎴 2. 놀이 방법종이, 나뭇가지, 짚단 등 뽑기 재료를 준비합니다.한 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빈 종이로 만들고, 한 개만 **표시(예: 점이나 ‘당첨’ 글자)**를 남깁니다.참가자들이 원을 그리며 둘러앉아 한 사람씩 제비를 뽑습니다.표시가 적힌 종이를 뽑은 사람이 승자 혹은 벌칙자가 됩니다.놀이 상황에 따라 ‘당첨자는 간식 받기’, ‘진 사람은 노래 부르기’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합니다.🌿 3. ..

한국 전통놀이 : 돈치기

💰 한국 전통놀이 66편돈치기✨ 1. 놀이의 개요‘돈치기’는 조선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 동전 던지기 놀이로, 오늘날의 **‘딱지치기’**와 비슷한 원리를 가진 정확도와 손재주의 놀이입니다.놀이에 사용된 ‘돈(銅)’은 실제 동전 또는 그것을 본뜬 금속 조각을 뜻하며, 아이들은 이 놀이를 통해 순발력, 감각, 집중력을 길렀습니다.⚙️ 2. 놀이 방법평평한 바닥 위에 놀이용 동전(돈) 몇 개를 바닥에 놓습니다.한 명씩 돌아가며 자신의 돈을 던져, 바닥의 돈을 맞히거나 뒤집으면 성공입니다.맞힌 돈은 자기 것이 되며, 빗나가면 다음 사람의 차례로 넘어갑니다.던지는 방법에는 여러 방식이 있었는데,‘지르기’ : 바닥 가까이서 손목만 튕겨 던지는 법.‘날리기’ : 약간 높이 던져 바닥에 부딪혀 튕기게 하는 법...

한국 전통놀이 : 눈싸움

❄️ 한국 전통놀이 65편 눈싸움✨ 1. 놀이의 개요눈싸움은 겨울철 눈이 내리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겨울놀이입니다.흰 눈이 덮인 들판이나 마당, 학교 운동장 어디서든 아이들이 모이면 자연스레 시작되었지요.놀이의 규칙보다 중요한 건 웃음과 추억, 그리고 함께 뛰노는 따뜻한 마음이었습니다.☃️ 2. 놀이 방법눈이 충분히 쌓이면 아이들이 두 팀으로 나눕니다.각자 눈을 뭉쳐 눈덩이를 만듭니다.너무 단단하지 않게, 손으로 살살 눌러 동그랗게 만드는 게 포인트.나무, 언덕, 벽 뒤에 숨어 상대편을 향해 눈덩이를 던집니다.눈덩이에 맞은 사람은 잠시 퇴장하거나, 역할을 바꿔 다시 참여할 수 있습니다.어떤 마을에서는 **눈성(눈으로 쌓은 진지)**을 만들어 점령전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3. 놀이의 의미협동..

한국 전통놀이 : 구슬치기

🔮 한국 전통놀이 64편구슬치기✨ 1. 놀이의 개요구슬치기는 오랜 세월 동안 아이들에게 사랑받아온 손놀림과 집중력의 전통놀이입니다.작은 구슬 하나로 승부를 겨루며, 단순하지만 손끝의 감각과 전략이 중요한 놀이지요.주로 봄부터 가을까지 마당이나 흙길 위에서 즐겼으며, 친구들과 함께 노는 대표적인 남아(男兒) 놀이였습니다.⚙️ 2. 놀이 방법아이들이 각자 유리구슬이나 진흙구슬을 한 개씩 준비합니다.흙바닥에 원이나 선을 그려놓고 그 안에 구슬을 놓습니다.차례대로 손가락으로 구슬을 튕겨 상대방의 구슬을 맞히면 구슬을 가져갑니다.맞히지 못하면 다음 차례로 넘어갑니다.거리 조절과 손끝의 힘 조절이 중요하며, 경기 방식은 지역마다 다양했습니다.어떤 지역에서는 여러 개의 구슬을 모아 한 번에 치기, 또는 빙 돌아오기..

한국 전통놀이 : 돼지몰이놀이

🐷 한국 전통놀이 63편돼지몰이놀이✨ 1. 놀이의 개요돼지몰이놀이는 주로 농촌 지역에서 아이들이 소몰이나 돼지몰이 같은 어른들의 일을 흉내 내며 즐기던 전통놀이입니다.아이들은 막대기나 나뭇가지를 들고, 진짜 돼지가 아닌 사람이 돼지 역할을 하며 달아나고 쫓는 형태로 놀이가 진행되었습니다.일상의 농촌 풍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태어난 생활체험형 놀이입니다.🪵 2. 놀이 방법참가자 중 한 명은 ‘돼지’ 역할, 나머지는 ‘몰이꾼’ 역할을 맡습니다.몰이꾼들은 나뭇가지나 짚단을 손에 들고 원을 그리며 “꿀꿀~ 어서 가자!” 하며 소리를 냅니다.돼지는 “꿀꿀~ 싫어!” 하며 도망가고, 몰이꾼들은 돼지를 몰아 우리(작은 구역) 안으로 들어가게 만듭니다.잡히면 역할을 바꿔서 다시 진행합니다.일부 지역에서는 여러 명이 ..

한국 전통놀이 : 두꺼비집짓기

🏠 한국 전통놀이 62편두꺼비집짓기✨ 1. 놀이의 개요두꺼비집짓기놀이는 봄이나 여름철 마당이나 흙밭에서 아이들이 흙을 쌓아 두꺼비가 살 집을 만드는 놀이입니다.두꺼비는 예로부터 복과 다산, 풍요의 상징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 놀이는 단순한 흙장난이 아니라 복을 비는 상징적 놀이이기도 했습니다.🪣 2. 놀이 방법아이들은 흙이 많은 마당이나 논두렁 근처에서 놀 준비를 합니다.흙을 손이나 작은 막대로 모아 **둥근 흙 언덕(두꺼비집)**을 만듭니다.그 위에 작은 구멍을 내거나, 잎사귀·돌멩이·막대기 등으로 장식하여 두꺼비가 들어갈 문을 만듭니다.아이들은 두꺼비 노래를 부르며 놀았습니다.“두껍아 두껍아 헌집 줄게, 새집 다오~”노래를 부른 뒤 손뼉을 치거나 흙을 톡톡 두드리며 두꺼비가 나오는 흉내를 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