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17
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
📍위치: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부석사
⏳시대:통일신라시대(8세기경)
✨ 1. 역사와 개요
영주의 부석사(浮石寺)는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통일신라 불교의 정신과 예술이 깃든 성스러운 공간입니다.
그 중심 법당인 무량수전 앞에는 신라 석공예의 정수를 보여주는 석등이 세워져 있습니다.
이 석등은 완벽한 비례와 정제된 조형미로, 한국 석등 중에서도 가장 조화롭고 이상적인 형태라 평가받습니다.
🏛️ 2. 구조와 특징
- 전체 높이 약 2.8m, 8각형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아래에는 연꽃무늬 받침돌이, 위로는 불빛을 담는 화사석(火舍石)이 자리해 있습니다.
- 옥개석(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부드럽게 들려 있어 생동감이 있고, 전체적으로 유려한 곡선미를 자랑합니다.
- 각 부분이 정교하게 조화되어 있어, 통일신라 석조미술의 극치를 보여줍니다.
📜 3. 전해지는 이야기
전설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부석사를 창건할 때 하늘에서 내려온 천상의 빛이 절을 비추었다고 합니다.
그 빛을 기념하기 위해 이 석등을 세웠다고 전해지며, “부처의 지혜는 세상을 비추는 빛과 같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밤이 되면 이 석등에 불을 밝히던 옛 스님들의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듯합니다.
🌿 4. 문화적 의의
- 통일신라 석등의 전형이자 최고 완성도를 지닌 작품
- 비례, 조각, 곡선미 등 모든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걸작
- 불교의 ‘빛’ 사상을 조형적으로 표현한 신앙 예술품
- 부석사 무량수전과 함께 한국 불교미술의 정신적 중심을 이룸
💡 따뜻한 한마디
긴 세월 동안 바람과 별빛을 함께 맞은 석등, 그 은은한 빛은 지금도 우리의 마음을 고요히 밝혀줍니다.
📌 안내
국보 번호는 단순한 지정 순서를 나타낼 뿐, 가치의 우열을 뜻하지 않습니다.
더 많은 정보는 👉국가유산 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국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국보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0) | 2025.10.08 |
---|---|
한국의 국보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0) | 2025.10.06 |
한국의 국보 : 안동 봉정사 극락전 (0) | 2025.10.05 |
한국의 국보 : 영천 거조사 영산전 (0) | 2025.10.04 |
한국의 국보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0) | 2025.10.03 |
한국의 국보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0) | 2025.10.02 |
한국의 국보 : 익산 미륵사지 석탑 (0) | 2025.10.01 |
한국의 국보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0) | 2025.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