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과 세계 속담 154

한국 속담 :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한국 속담 시리즈 34편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1. 속담 뜻풀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남이 잘되는 걸 보면 괜히 질투심이 생긴다는 인간의 본성을 풍자한 속담이에요.여기서 '사촌'은 가까운 친척, 즉 미워할 이유는 없지만 가까운 사람조차도잘되면 시기심이 생긴다는 점을 꼬집고 있어요. ▶ 인간의 질투와 비교심리, 그리고 자기중심적인 마음을재미있고도 날카롭게 표현한 말이죠. 🪞 2. 삶의 예시 평소 친하게 지내던 친구가 대기업에 취직하거나멋진 연인을 만나면축하해주면서도 괜히 내 마음 한쪽이 불편해질 때,바로 그게 이 속담의 상황이에요. SNS에서 옆집 친구가 해외여행 사진을 올리면‘나는 왜 이런 여유가 없지?’ 하는 비교감정이 생기기도 하죠. 사촌이 상가 하나 샀다는데,나는 월..

한국 속담 :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

한국 속담 시리즈 33편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 📌 1. 속담 뜻풀이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는싫고 미운 사람일수록 오히려 더 잘 대해주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오히려 한 번 더 베풀고 품어주라는지혜로운 처세술이자,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인격의 표현이죠. ▶ 이 속담은 단순한 도덕적 교훈을 넘어‘자신을 지키는 방법으로서의 관용’을 말해주는 말이에요. 🪞 2. 삶의 예시 회사에서 나를 괜히 싫어하는 동료에게일부러 먼저 인사하고, 커피 한 잔을 건넸더니서서히 벽이 허물어졌던 경험 없나요? 학교에서 자꾸 괴롭히던 친구에게간식 하나를 건넸더니되려 미안하다고 말하며 달라진 태도를 보이기도 해요.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이 밉게 굴더라도화를 내기보단 따뜻하게 대했을 때오히려 ..

한국 속담 : 남의 떡이 커 보인다

한국 속담 시리즈 32편남의 떡이 커 보인다 🪵 1. 속담 뜻풀이 **"남의 떡이 커 보인다"**는자신이 가진 것보다 남이 가진 것이 더 좋아 보이고 부러워 보이는 심리를 표현한속담이에요.실제 크기나 가치와는 상관없이, 비교심과 욕심이 만든 착각을 꼬집는 말이죠. 🪞 2. 삶의 예시 친구가 새 휴대폰을 샀을 때, 내 것도 멀쩡하지만 괜히 내 것이 초라해 보여요.옆집 아이가 더 좋은 학교에 다닌다며 우리 아이가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가 있어요.하지만 실제로는 각자의 형편과 사정, 타고난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남을 부러워하는 건 불필요한 비교일 수 있어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과 비교 (마크다운 리스트) 미국 "The grass is always greener on the other side."→ ..

한국 속담 :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한국 속담 시리즈 31편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작은 것을 보면 전체를 짐작할 수 있다 🧠 속담 풀이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는 작은 단서나 일부만 보아도 전체의 상태나 본질을 짐작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사람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 사소한 습관만으로도 그 사람의 성격이나 됨됨이를 알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어요.예시 1: 과제를 대충 하는 걸 보니, 다른 일도 마찬가지겠다.예시 2: 친구가 어르신께 공손하게 인사하는 걸 보니, 예의 바른 사람인 것 같아.이 속담은 관찰력과 통찰력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말이기도 해요. 🌍 비슷한 외국 속담과 비교 영어 (영국)"The proof of the pudding is in the eating."→ 푸딩이 맛있는지는 먹어봐야 안다.→ 일부만 봐도 전체를 알 수..

한국 속담 : 꿩 먹고 알 먹는다

🧭 한국 속담 시리즈 30편 꿩 먹고 알 먹는다 🐦 속담 풀이 **“꿩 먹고 알 먹는다”**는한 번의 행동이나 선택으로 두 가지 이익을 동시에 얻는다는 의미예요.즉, 꿩이라는 당장의 이득과알이라는 미래의 가치까지 한꺼번에 얻는 상황을 표현한 말이지요. 🌍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나라속담의미 영어Kill two birds with one stone돌 하나로 새 두 마리를 잡는다 → 하나의 행동으로 두 가지 성과프랑스Faire d'une pierre deux coups돌 하나로 두 마리 잡기 → 위와 동일중국一箭双雕 (일전쌍조)화살 하나로 독수리 두 마리 잡기 → 하나로 둘을 얻는다는 뜻 → 한국 속담은 현재의 실속과 미래의 가능성을 모두 얻는 쪽에 초점이 있고,서양 속담은 효율성과 전략 ..

한국 속담 : 급할수록 돌아가라

🧭 한국 속담 시리즈 29편 급할수록 돌아가라 🐢 속담 풀이 **“급할수록 돌아가라”**는급할수록 서둘러 지름길을 택하기보다,안전하고 확실한 길을 선택해야 한다는 의미예요.급할 때일수록 실수하기 쉽기 때문에,오히려 천천히 가는 것이 가장 빠르고 현명한 방법일 수 있다는 지혜가 담겨 있죠. 🌍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나라속담의미 영어More haste, less speed서두를수록 일이 더 늦어진다 프랑스Rien ne sert de courir, il faut partir à point뛰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제때 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欲速则不达 (욕속즉부달)빨리 하려 하면 도달하지 못한다 → 모두 공통적으로 속도보다 정확함과 준비가 중요하다는 교훈을 담고 있어.다만 한국 속담은 돌아서..

한국 속담 :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 한국 속담 시리즈 28편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 속담 풀이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는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여러 번 시도하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의미예요.한 번, 두 번은 안 넘어가도열 번, 백 번이라도 도전하면결국은 넘어간다는 희망과 의지를 상징하지요. 🌍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나라속담의미 영어If at first you don’t succeed, try, try again처음 실패해도 계속 시도하라 일본七転び八起き (나나코로비 야오키)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 일어나라 중국水滴石穿 (수적석천)물방울도 계속 떨어지면 바위를 뚫는다 → 모두 공통적으로 끈기와 반복의 힘을 강조하는 속담들이야.하지만 한국 속담은 **"노력의 횟수"**를 구체적인 숫..

한국 속담 :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

🧭 한국 속담 시리즈 27편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 🐓 속담 풀이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는잡으려던 목표나 기회를 눈앞에서 놓쳐버리고 어찌할 바를 몰라 허탈하게 바라보기만 하는 상황을 뜻하는 속담이에요.닭을 열심히 쫓던 개가 결국 닭이 지붕 위로 날아가 버리자,멍하니 지붕만 바라보는 모습에서 유래된 표현이지요. 🌍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나라속담의미 영어Crying over spilled milk엎질러진 우유를 두고 울기 → 이미 끝난 일을 후회해봤자 소용없다 프랑스Courir après le vent바람을 쫓는다 → 잡을 수 없는 것을 쫓다가 허무해지는 상황 중국竹篮打水一场空 (죽람타수일장공)대나무 바구니로 물을 뜨려 한다 → 애썼지만 결과가 없다 → 한국 속담은 기회를 눈앞에서 ..

한국 속담 : 산 넘어 산이다

한국 속담 시리즈 26편 🏔️ 속담 풀이**“산 넘어 산이다”**는*“문제가 하나 해결되었나 싶었더니 또 다른 문제가 닥친다”*는 뜻이야.직역하자면, “산을 하나 넘었더니 또 산이 나온다”는 말인데,인생의 고난이 연속적일 때 많이 사용되지.예를 들어 회사에서 큰 프로젝트를 끝냈더니,이번엔 갑작스러운 인사이동 통보를 받는 상황처럼 말이지! 🌍 비슷한 외국 속담 영어 – “Out of the frying pan and into the fire”“프라이팬에서 나왔더니 이번엔 불 속으로 들어갔다”문제를 벗어나려다 더 큰 문제에 빠지는 상황을 의미해. 독일 – “Vom Regen in die Traufe geraten”“비를 피했더니 처마 밑에서 물을 맞는다”피하려 했지만 상황이 별반 나아지지 않을 때..

한국 속담 : 빈 수레가 요란하다

한국 속담 시리즈 25편빈 수레가 요란하다"속이 없을수록 겉만 요란하다" ✅ 속담 풀이 ‘빈 수레가 요란하다’는속에 아무것도 담기지 않은 수레일수록 달릴 때 소리가 요란하다는 뜻이야.이 비유를 통해 실속 없는 사람일수록 말이 많고 요란하게 행동한다는 교훈을 전하지. 📌 이 속담은 겸손, 내실, 조용한 자신감의 중요성을 알려줘.진짜 실력 있는 사람은 굳이 떠들지 않아도행동과 결과로 드러나기 마련이니까. 🌏 비슷한 외국 속담Still waters run deep.(잔잔한 물이 깊다)Empty vessels make the most noise.(빈 그릇이 가장 요란하다) — 영어 속담이처럼 세계 속담에서도조용한 사람이 오히려 깊이 있고, 요란한 사람일수록 가벼울 수 있다는 교훈을 비슷하게 담고 있어.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