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놀이와 세계 놀이

한국 전통놀이 : 도깨비잡기

ktell 2025. 11. 1. 09:46

🎋 한국 전통놀이 85편

도깨비잡기

– 상상 속 두려움을 이기는 용기의 놀이

✨ 1. 놀이의 개요

도깨비잡기놀이는 어두운 밤이나 해 질 무렵, 아이들이 모여 상상의 존재인 ‘도깨비’를 상정하고 쫓거나 숨어 잡는 놀이입니다.


아이들 사이에서 전해 내려온 이 놀이는 공포와 호기심을 동시에 느끼며 용기를 기르는 놀이로, 예전 농촌 마을에서는 해질녘이나 보름달 뜬 밤에 자주 놀았습니다.

 

‘도깨비’는 한국 설화 속에서 장난기 많고 사람을 놀라게 하지만 본래 나쁜 존재는 아닙니다.


이 놀이는 그 도깨비를 상징적으로 쫓거나 흉내내며 두려움을 극복하고 웃음으로 바꾸는 놀이문화였습니다.

 

🎍 2. 놀이의 유래

도깨비잡기의 기원은 옛날 마을의 밤 놀이 문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전기 불빛이 없던 시절, 아이들은 달빛 아래서 그림자놀이·숨바꼭질·귀신놀이 등과 함께 도깨비잡기를 즐겼습니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아이들이 밤길을 무서워하지 않게 하려는 어른들의 지혜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도깨비를 “잡는다”는 행위는 단순한 놀이를 넘어, 어둠과 두려움을 이겨내는 상징적 행위로 여겨졌습니다.

 

🪵 3. 놀이 방법

  1. 준비물과 장소
    • 달빛이 있는 마을 공터나 뒷산, 넓은 마당에서 놀이를 합니다.
    • 특별한 도구는 없고, 나뭇가지나 등잔불, 혹은 손전등을 들기도 합니다.
  2. 역할 나누기
    • 한 명이 도깨비 역할을 맡고, 나머지 아이들은 사람 역할을 합니다.
    • 도깨비는 “도깨비 나왔다!” 하고 외치며 등장하고, 사람들은 도망치거나 잡으러 다닙니다.
  3. 놀이 전개
    • 도깨비는 숨은 사람을 찾아 “도깨비 방망이로 딱!”이라 외치며 잡습니다.
    • 잡힌 사람은 일정 시간 동안 도깨비가 되어 다른 친구를 잡습니다.
    • 때로는 “소금 뿌리기”, “부적 던지기” 같은 상상 속 아이템을 이용해 도깨비를 물리쳤습니다.
    • 놀이가 끝날 때쯤, 모두 모여 “도깨비야, 고마워! 이제 돌아가!”라 외치며 웃음으로 마무리합니다.

⚔️ 4. 놀이의 의미

도깨비잡기는 공포의 대상과 친해지는 놀이입니다.


아이들은 도깨비를 상상하고, 그것을 쫓거나 흉내내며 용기와 상상력을 키웠습니다.

 

이 놀이는 또한 단체 협동놀이의 성격을 띠어, 서로를 도우며 숨거나 도깨비를 몰아내는 과정에서 협력과 배려심을 배웠습니다.


무섭지만 재미있는 이 놀이에는 ‘두려움을 함께 이기자’는 공동체의 정서가 담겨 있습니다.

 

🌕 5. 삶의 예시

달빛이 밝은 여름밤, 아이들은 마을 어귀로 모였습니다.


“도깨비다! 도깨비 잡으러 가자!”


웃음소리와 발소리가 들판을 울리고, 아이들은 서로 잡고 도망치며 밤하늘 아래를 누볐습니다.

 

어둠 속에서 들려오는 바람 소리조차 장난처럼 느껴졌고, 그 순간만큼은 두려움 대신 웃음과 용기가 자리했습니다.

 

🌍 6. 세계의 유사 놀이 비교

▪️ 일본 – 오니고코(鬼ごっこ) : ‘귀신잡기’라 불리는 술래잡기 형태의 놀이로, 도깨비잡기와 유사.


▪️ 서양 – Tag Game(술래잡기) : 악역이 된 한 명이 다른 이를 잡는 구조로 비슷한 사회적 의미.


▪️ 한국 – 도깨비잡기 : 도깨비 신앙과 전통 설화의 세계관이 결합된 독특한 상징 놀이.

 

🌸 따뜻한 한마디

도깨비는 어쩌면 우리 마음속의 작은 두려움일지도 모릅니다.


그 두려움을 함께 웃으며 이기는 순간, 도깨비는 친구가 되고, 밤은 더 이상 무섭지 않습니다.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