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02

Korean Proverb : No Tree Stands After Ten Strikes

Korean Proverb Series 28No Tree Stands After Ten Strikes"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Yeol beon jjigeo an neomeoganeun namu eopda)🕰️ 1. The Proverb’s Core MeaningThe Korean proverb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literally translates to:“There is no tree that won’t fall after being struck ten times.”It expresses the idea that persistence conquers even the most difficult tasks. Continuous effort, determination, a..

Korean Proverb : The Dog That Chased the Chicken Looks Up at the Roof

Korean Proverb Series 27The Dog That Chased the Chicken Looks Up at the Roof"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Dak jjotdeon gae jibung cheodabonda)🕰️ 1. The Proverb’s Core MeaningThe Korean proverb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 literally translates to:“The dog that chased the chicken now looks up at the roof.”It describes the feeling of helplessness or regret after losing something that was within reach. Just as the dog can ..

Korean Folktale : The Moon and the Magpie – The Story of Seollal

🕊️ Korean Folktale Series 28“The Moon and the Magpie – The Story of Seollal”(달과 까치, 까치설날 이야기 · Dalgwa Kkachi Iyagi)🕰️ 1. The StoryLong ago, when the world was still young and the sky was close to the earth, the Moon and the Magpie were dear friends. The magpie, cheerful and talkative, often brought messages between heaven and humankind, while the moon silently watched over all creatures with g..

Korean Folktale : The Returned Filial Son – The Tale That Moved Even the Magistrate

🌿 Korean Folktale Series 27“The Returned Filial Son – The Tale That Moved Even the Magistrate”(돌아온 효자, 원님도 감동한 이야기 · Doraon Hyoja Iyagi)🕰️ 1. The StoryLong ago, in a peaceful village surrounded by green hills, there lived a young man named Seonwoo, known for his deep devotion to his elderly mother. Though poor, he worked tirelessly to care for her, sharing every meal and bowing to her each mor..

Korean Traditional Game : Bangseokttameokgi

🍂 Korean Traditional Game Series 21 Bangseokttameokgi(방석따먹기 · Korean Mat Stealing Game)🕰️ 1. IntroductionBangseokttameokgi (방석따먹기), literally meaning “stealing the mat,” is a lively Korean outdoor game that tests speed, timing, and clever tactics.It was often played by children in schoolyards or village courtyards, especially during festivals or after classes.The word bangseok means “cushion” ..

Stories of Korea’s National Treasures : Seokgatap Pagoda of Bulguksa Temple, Gyeongju

🪨 Stories of Korea’s National Treasures 21Photo Credi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Seokgatap Pagoda of Bulguksa Temple, Gyeongju(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 慶州 佛國寺 三層石塔)📖 1. History and DescriptionThe Seokgatap Pagoda of Bulguksa Temple, located in Gyeongju, Gyeongsangbuk-do, i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 21 of Korea.Built in the 8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is pago..

한국 속담 : 등 치고 배 만진다

😏 한국 속담 194편– 등 치고 배 만진다🕰️ 1. 속담 뜻풀이“등 치고 배 만진다”는 겉으로는 남을 돕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교활한 행동을 비유한 속담입니다. 등을 친다는 건 겉으로는 친근하게 대하는 모습을, 배를 만진다는 건 몰래 이익을 취하거나 속임을 뜻하지요.즉,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인 태도를 경계하는 말입니다. 이 속담은 겉으로는 친절하지만 속으로는 계산적인 사람을 조심하라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2. 삶의 예시▪️ 친구에게 친절하게 조언하는 척하면서 사실은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사람.▪️ 거래처에서 웃으며 악수하지만 뒤로는 더 큰 이득을 꾀하는 경우.▪️ 겉으로 도와주는 척하면서 은근히 남을 이용하는 행동. 이 속담은 겉과 속이 다른 행동은 결국 신뢰를 잃는..

한국 설화 : 고양 행주산성 권율 장군 설화

⚔️ 한국 설화 197편 – 고양 행주산성 권율 장군 설화 경기도 고양시의 한강 줄기 위 높은 언덕에 자리한 행주산성(幸州山城).이곳은 임진왜란 때 조선을 지켜낸 권율 장군과 백성들의 뜨거운 용기와 희생이 살아 숨 쉬는 전설의 고장입니다.오늘날에도 산성의 바람에는 “나라를 위해 하나가 된 백성의 숨결”이 깃들어 있다고 전합니다.📜 1. 나라가 위태로울 때1593년, 임진왜란의 불길이 온 조선을 뒤덮었습니다.왜군은 한양을 점령하고 북쪽으로 진격하며 나라를 위협했습니다.그때 한강 남쪽의 행주산성에는 조선의 장수 권율 장군이 수천의 군사와 함께 진을 치고 있었습니다. 적의 병력은 3만 명, 조선군은 고작 2천 명 남짓이었습니다. 그러나 권율 장군은 두려워하지 않고 이렇게 말했습니다.“이 땅의 돌 하나, 흙 ..

한국 전통놀이 : 수건돌리기

🌿 한국 전통놀이 73편 수건돌리기✨ 1. 놀이의 개요수건돌리기는 원을 그리며 앉은 사람들 뒤로 수건을 몰래 돌리고, 누가 자기 뒤에 수건이 놓였는지를 맞히는 재치와 순발력의 전통놀이입니다.명절이나 마을 잔치, 또는 학교 운동회 등 어디서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단체놀이입니다.🪶 2. 놀이 방법참가자들이 둥근 원을 만들어 앉습니다.한 사람을 ‘술래’로 정해 수건을 들고 원 밖을 돕니다.나머지 사람들은 눈을 감거나 노래를 부릅니다.“송아지 송아지 얼룩 송아지~ 누가 누가 잘하나~”술래는 노래가 끝나기 전에 한 사람 뒤에 수건을 살짝 놓고 조용히 자리에 돌아갑니다.수건이 뒤에 놓인 사람이 눈을 뜨면, 재빨리 일어나 술래를 쫓아 원을 한 바퀴 돌며 잡아야 합니다.잡히면 잡힌 사람이 술래가 되고, 못..

한국의 국보 : 경주 성덕대왕신종

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29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경주 성덕대왕신종 - 📍위치:경주시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 내⏳시대:통일신라 혜공왕16년(771년) 완성✨ 1. 역사와 개요경주 성덕대왕신종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종(鐘)**이자, 통일신라 금속공예의 절정을 보여주는 세계적 명작입니다. 이 종은 신라 제35대 경덕왕이 부친 성덕왕의 덕을 기리기 위해 주조를 명했으며, 그 아들 혜공왕 때 완성되었습니다.주조에는 무려 30년이 넘는 세월이 걸렸으며, 그 결과 예술, 과학, 종교가 완벽히 조화된 걸작이 탄생했습니다. 지금은 경주 국립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그 아름다운 소리 덕분에 사람들은 예로부터 **“에밀레종”**이라 부르며 사랑해 왔습니다.🏛️ 2. 구조와 특징높이 약 3.3m, 지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