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과 세계 속담

🪡한국 속담 :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ktell 2025. 7. 15. 03:17

한국 속담 시리즈 56편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 작은 잘못이 큰 죄로 이어진다 –


 

🪵 1. 속담 뜻풀이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는
처음엔 아주 사소한 잘못이나 죄라도,
그걸 가볍게 넘기고 반복하다 보면
나중엔 큰 죄를 짓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의미예요.

 

도둑질도 처음엔 바늘 한 개쯤이지만,
그 행동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자꾸 하다 보면
어느 순간 큰 도둑이 되어버릴 수 있다는 경고죠.

 


 

👀 2. 삶의 예시

 

  • 시험지를 몰래 본 작은 행동을 ‘한 번쯤 괜찮겠지’ 하고 넘기다 보면,
    나중엔 남의 숙제를 베끼고, 결국 표절도 하게 돼요.
  • 회사 물품을 ‘이 정도는 괜찮겠지’ 하고 집에 가져가기 시작하면,
    점점 도덕적 기준이 무뎌져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 아이가 거짓말을 자주 하는데 “애니까 그럴 수 있어” 하고 넘기면,
    어른이 되어서도 책임을 지지 않는 행동으로 발전할 수 있어요.

 

💡 결국 이 속담은,
‘작은 죄’는 결코 작지 않다는 걸 알려줘요.
양심은 자주 어기면 점점 더 무뎌지기 때문이에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

 

  • 🇺🇸 “If you lie down with dogs, you’ll get up with fleas.”
    (개와 같이 누우면 벼룩이 옮는다)
    → 사소한 잘못된 습관이나 환경이 결국 큰 해를 부른다는 뜻
  • 🇫🇷 “Qui vole un œuf vole un bœuf.”
    (달걀을 훔치는 자는 소도 훔친다)
    → 작은 도둑질이 결국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프랑스 속담
  • 🇯🇵 “塵も積もれば山となる”
    (티끌도 모이면 산이 된다)
    → 보통은 좋은 일에 비유되지만, 나쁜 습관도 쌓이면 위험하다는 의미로도 쓰여요
  • 🇨🇳 “小洞不补,大洞吃苦”
    (작은 구멍을 막지 않으면 큰 구멍에서 고생한다)
    → 작은 실수를 방치하면 큰 문제로 커진다는 교훈

 

📌 전 세계적으로 작은 나쁜 습관이나 실수를 방치하지 말라는 교훈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는 걸 알 수 있어요.

 


 

💬 따뜻한 한마디

 

“처음부터 나쁜 사람이 되는 사람은 없어요.
작아 보이는 한 걸음이, 나를 어디로 데려갈지를 생각해야 해요.”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