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보 이야기 시리즈 49

사진출처 : 국가유산청
-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 위치: 강원도 진부면 오대산 월정사
⏳ 시대: 통일신라시대(8세기경)
✨ 1. 역사와 개요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은 통일신라 불상 조각의 완숙한 조형미와 자비의 정신이 담긴 걸작입니다.
오대산 월정사의 중심 법당인 팔각구층석탑(국보 제48호) 앞에 함께 자리하며, 불탑과 보살상이 한 세트로 조화를 이루는 구조는 매우 드뭅니다.
이 불상은 부처의 가르침을 전하는 **보살(菩薩)**의 자비로움을 표현한 상으로, 온화한 얼굴과 안정된 자세 속에 내면의 평화와 깨달음의 고요함이 느껴집니다.
🪨 2. 구조와 특징
- 높이 약 3.8m로, 통일신라시대 석조보살상 중에서도 규모가 큽니다.
- 머리에는 화려한 **보관(寶冠)**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둥글고 눈매가 부드럽습니다.
- 두 어깨에는 천의(天衣)가 흘러내리듯 자연스럽게 걸쳐져 있고, 가슴에는 목걸이와 보주(寶珠)가 세밀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 오른손은 가볍게 무릎 위에 올려놓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한 자세로, 세상에 자비를 베푸는 **시무외인(施無畏印)**을 표현합니다.
- 무게감 있는 신체 비례, 자연스러운 옷주름, 평화로운 표정 등은 통일신라 불상의 이상적인 균형미를 완벽히 구현하고 있습니다.
📜 3. 전해지는 이야기
전해지는 설화에 따르면,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부처님의 사리를 모셔와 월정사를 창건할 때, 부처의 가르침을 널리 전할 보살의 형상을 남기고자 이 석조보살좌상을 세웠다고 합니다.
그 후 어느 밤, 달빛이 산 너머에서 비추자 보살상의 이마에 새겨진 보주(寶珠)가 은은히 빛을 내며 탑 앞을 밝히는 기적이 일어났다고 해요.
그때부터 사람들은 이 불상을 ‘달빛보살’, 혹은 **‘빛을 품은 미소의 보살’**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 4. 문화적 의의
- 통일신라시대 석조보살상 중 가장 완성도 높은 예술작품 중 하나
- 현실과 이상, 인간과 부처의 경계를 잇는 조형적·정신적 상징
- 조각미, 균형감, 자비의 표현력 모두에서 불교미술의 정점으로 평가됨
-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함께 불교사상과 예술의 조화로운 집약체
💡 따뜻한 한마디
보살의 미소는 말없이 세상을 품고, 그 눈빛은 천 년이 지나도 사람의 마음을 비춥니다.
고요한 돌 속에도, 자비의 온기가 숨 쉬고 있습니다.
📌 안내
국보 번호는 단순한 지정 순서를 나타낼 뿐, 가치의 우열을 뜻하지 않습니다.
더 많은 정보는 👉국가유산 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국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의 국보 :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0) | 2025.11.11 |
|---|---|
| 한국의 국보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0) | 2025.11.08 |
| 한국의 국보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 (0) | 2025.11.07 |
| 한국의 국보 :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0) | 2025.11.06 |
| 한국의 국보 :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0) | 2025.11.05 |
| 한국의 국보 : 혜심 고신제서 (0) | 2025.11.04 |
| 한국의 국보 :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0) | 2025.11.02 |
| 한국의 국보 :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0) | 2025.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