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전통놀이 94편

지게지기 놀이
– 짐보다 마음을 나누던 농촌의 놀이
✨ 1. 놀이의 개요
지게지기 놀이는 농촌에서 사용하던 **지게(背負子)**를 이용해 아이들이 짐을 실어 나르거나, 서로 속도와 균형을 겨루며 즐기던 전통 놀이입니다.
지게는 본래 짐을 운반하는 생활 도구이지만, 아이들에게는 힘·밸런스·협동심을 기르는 훌륭한 장난감이었습니다
.
특히 1950~1980년대의 농가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논두렁과 마을 어귀에서 지게를 지고 놀이와 동시에 자연스럽게 생활 기술을 배웠습니다.
🎍 2. 놀이의 유래
지게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된 우리 고유의 운반도구입니다.
전통 농경사회에서는 “사람과 짐이 하나가 되는 도구”로 여겨졌고, 지게 하나가 집안의 생계를 떠받치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이런 지게는 마을 일손을 도우며 자연스럽게 아이들의 놀이 속으로 들어왔고, 어른을 따라다니며 지게를 만지던 아이들은
“나도 지게꾼이야!” 하며 놀이를 시작했습니다.
지게지기 놀이는 그렇게 일과 놀이가 섞여 탄생한 생활형 민속놀이였어요.
🪵 3. 놀이 방법
- 준비물
▪️ 나무 지게(어린이용 혹은 어른용 작은 지게)
▪️ 짚, 나무조각, 풀단 등 가벼운 짐
▪️ 넓은 들판이나 마당 - 기본 방식
▪️ 아이들이 지게를 등에 메고 서로 누가 오래 버티는지, 누가 더 빨리 운반하는지, 누가 더 가득 실을 수 있는지를 겨룹니다. - 놀이의 주요 형태
▪️ 1) 지게 달리기
- 짚단을 조금 실은 뒤 마을 어귀까지 달리기
- 짐을 떨어뜨리지 않고 도착하면 승리
▪️ 2) 짐 실어 나르기 겨루기
- 돌멩이 몇 개나 풀단을 정해놓고
- “누가 더 많이 옮기나”를 겨루는 놀이
▪️ 3) 지게 균형 잡기
- 지게 위에 나무조각이나 돌을 올려두고
- 최대한 흔들리지 않게 걷기
▪️ 4) 역할놀이형 지게 놀이
- “아버지 지게꾼 놀이”
- “시장 다녀오기 놀이” 등
- 일상 모습 그대로를 따라하며 즐김
- 지게 만들기 놀이
어린이들은 나뭇가지와 헝겊을 묶어 작은 ‘장난감 지게’를 만들어 놀기도 했습니다.
이 장난감 지게를 **‘애지게’**라 불렀지요.
💪 4. 놀이의 교육적 의미
지게지기 놀이는 단순한 힘겨루기가 아니라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여러 가지를 가르쳤습니다.
▪️ 균형 감각 – 무게 중심 맞추기
▪️ 근력과 체력 – 짐을 들고 걷기
▪️ 협동심 – 친구와 번갈아 옮기기
▪️ 책임감 – 짐을 떨어뜨리지 않기
▪️ 생활 기술 – 실제 농촌 노동에 도움
지게를 통해 아이들은 “일은 힘들지만 함께하면 재미있다”는 농촌 공동체의 철학을 자연스럽게 배웠습니다.
🧒 5. 삶의 예시
가을 들녘, 볏단이 황금빛으로 익은 날. 아이들이 어른의 지게를 몰래 메고 나옵니다.
“내가 지게꾼 할래!”
“아냐, 이번엔 내 차례야!”
짚단을 조금 얹고 달리기 시작합니다.
지게가 삐딱해지면 친구가 뒤에서 잡아주고, 도착하면 모두가 박수를 치며 웃습니다.
그 순간, 지게는 짐을 나르는 도구를 넘어 아이들의 우정과 성장의 상징이 됩니다.
🌍 6. 세계의 유사 놀이 비교
▪️ 일본 – 배낭 짐 지기 놀이
산간 지역에서 아이들이 짐을 올리고 균형을 잡는 놀이 전승.
▪️ 중국 – 짐 운반 흉내내기 놀이
농촌 아이들이 대나무 바구니나 지게를 흉내 내는 놀이.
▪️ 한국 – 지게지기 놀이
실제 생활 도구를 활용해 일과 놀이가 결합된 독특한 생활형 민속놀이.
🌸 따뜻한 한마디
지게는 무거운 짐을 지지만, 그 속엔 사람들의 마음과 정이 실립니다.
아이들의 지게지기 놀이는 무게보다 따뜻한 마음을 배우는 놀이였습니다.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
'한국 놀이와 세계 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 전통놀이 : 장기 (1) | 2025.11.16 |
|---|---|
| 한국 전통놀이 : 폭죽놀이 (0) | 2025.11.13 |
| 한국 전통놀이 : 종이접기 (0) | 2025.11.12 |
| 한국 전통놀이 : 엿치기 (0) | 2025.11.07 |
| 한국 전통놀이 : 꼭두각시놀이 (0) | 2025.11.06 |
| 한국 전통놀이 : 가위바위보 (1) | 2025.11.05 |
| 한국 전통놀이 : 장대타기 (0) | 2025.11.04 |
| 한국 전통놀이 : 영감놀이 (0) | 2025.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