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놀이와 세계 놀이

한국 전통놀이 : 썰매타기

ktell 2025. 10. 25. 11:23

☃️ 한국 전통놀이 78편 

썰매타기

✨ 1. 놀이의 개요

썰매타기는 겨울철 언 강이나 얼음판 위에서 썰매를 밀거나 타고 미끄러지는 전통 겨울놀이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혹한의 겨울에도 놀이를 즐기며 몸을 덥히고 웃음을 나누는 지혜로운 생활 놀이를 만들어냈습니다.


남녀노소 모두가 함께 어울리던 겨울철의 대표 민속놀이이지요.


❄️ 2. 놀이의 유래

  • 고려와 조선시대 기록에 이미 **‘빙상유희(氷上遊戱)’**라는 말이 등장합니다.
  • 초기에는 나무판 위에 쇠붙이나 대나무를 달아 미끄러지는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점차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즐기는 겨울 축제가 되었습니다.
  • 조선 후기에는 궁중에서도 왕과 신하들이 얼음판에서 썰매를 타며 시를 짓고 즐겼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 3. 놀이 방법

  1. 얼음판 위에 나무로 만든 썰매를 놓습니다.
    • 썰매는 널빤지 위에 쇠못이나 대나무 지지대를 달아 만든 구조입니다.
  2. 두 손에 **밀대나 작대기(긴 대나무 막대)**를 잡고 땅을 밀며 앞으로 나아갑니다.
  3. 혼자 타기도 하고, 둘이 함께 타며 경주, 곡예, 밀기놀이 등으로 발전했습니다.
  4. 결빙이 깊은 저수지나 강에서 진행되며, 안전과 균형감각이 중요했습니다.

🌨️ 4. 놀이의 특징과 의미

  • 균형감각 향상 : 얼음 위에서 중심을 잡는 법을 배움.
  • 운동과 놀이의 결합 : 추운 겨울에 체온을 높이는 생활운동.
  • 공동체 축제 : 설날이나 정월대보름 무렵 온 마을이 모여 즐겼습니다.

🧒 5. 삶의 예시

하얀 눈이 덮인 강 위, 아이들이 차례로 썰매를 탑니다.


“하나, 둘, 셋—!”


작대기로 얼음을 밀자 썰매가 ‘슉’ 하고 미끄러집니다.


웃음과 함성이 얼음 위를 가르고, 볼이 빨갛게 언 아이들은 서로의 손을 잡으며 또다시 출발합니다.


겨울의 추위도 이길 만큼 따뜻한 놀이의 시간.


🌍 6. 세계의 유사 놀이 비교

  • 🇯🇵 소리(そり遊び) : 일본의 눈썰매 놀이로, 아이들이 나무판이나 플라스틱을 사용.
  • 🇨🇳 빙상썰매(滑冰车) : 북부 지방에서 얼음판 위를 미끄러지는 전통 놀이.
  • 🇰🇷 썰매타기 : 자연의 얼음과 나무의 재료로 만든 순수한 겨울의 민속 유희.

🌸 따뜻한 한마디

얼음 위를 미끄러지던 그 시절의 웃음소리, 차가운 바람 속에도 마음은 따뜻했습니다.


썰매타기는 겨울을 즐길 줄 알던 한국인의 순수한 감성의 놀이였습니다.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