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놀이와 세계 놀이

한국 전통놀이 : 실뜨기

ktell 2025. 11. 24. 13:16

🎋 한국 전통놀이 96편

실뜨기

– 손끝에서 피어나는 작은 우주

1. 놀이의 개요

실뜨기는 가는 실(또는 털실)을 양손에 걸어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전통 손놀이다.


두 사람이 번갈아가며 모양을 바꾸는 방식이 가장 대표적이며, 혼자서 여러 모양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실뜨기 놀이의 핵심은 리듬, 손의 협응, 관찰력, 상상력이다.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즐길 수 있는 놀이였고, 특히 겨울철 온돌방에서 많이 이뤄졌다.

 

실 한 가닥으로 ‘사다리’, ‘그물’, ‘산’, ‘고양이 얼굴’, ‘해·달’, ‘그네’ 등 무궁무진한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어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지혜놀이였다.


🎍 2. 놀이의 유래

실뜨기는 한국뿐 아니라 세계 여러 문화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놀이이지만, 한국의 실뜨기는 특히 한지·베틀·자수와 같은 생활문화와 맞물려 발전했다.

 

▪️ 조선시대 겨울 기록에는 온돌방에서 아이들이 실뜨기로 시간을 보내는 모습이 등장한다.

 

▪️ 실뜨기는 단순 놀이가 아니라 바느질과 실 공예의 기본 감각을 익히는 ‘손 감각 교육’의 역할도 했다.

 

어머니들은 아이들의 손기술이 익어가는 모습을 보며 “손끝이 야무져야 잘 산다”고 칭찬하기도 했다.


🧵 3. 놀이 방법

  1. 준비물
    ▪️ 가는 노끈, 털실, 면사 등 어느 실이든 가능
    ▪️ 실 양 끝을 묶어 1개의 ‘고리’ 형태로 준비
  2. 기본 방식 – 두 사람이 번갈아 하는 실뜨기
    ▪️ A가 손에 기본 모양을 만든다.
    ▪️ B가 A의 실 중 특정 부분을 들어 올려 새로운 모양으로 바꾼다.
    ▪️ 다시 A가 B의 모양을 바꾸고…
    이런 식으로 이어지며 끝없는 변형이 가능하다.

가장 유명한 전통 패턴은 다음과 같다.

  • ‘사다리(사닥다리)’
  • ‘그물 모양’
  • ‘도리깨’
  • ‘고양이 얼굴’
  • ‘산 모양(봉우리)’
  • ‘바위 모양’
  • ‘그네’
  1. 혼자 하는 실뜨기
    혼자서 양손과 입, 손가락을 사용해 복잡한 패턴을 완성하는 상급 방식도 있었다.
  2. 협동과 리듬
    두 사람이 호흡을 맞추어 실을 바꿔야 하기 때문에 서로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배려해야 한다. 이 때문에 실뜨기는 자연스레 협동심을 기르는 놀이가 되었다.

💡 4. 실뜨기의 교육적 가치

실뜨기는 놀이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손끝 감각 발달
작은 실을 정확히 잡고 당기며 손의 섬세한 움직임이 발달한다.

 

▪️ 패턴 인지 능력 향상
규칙·형태·구조를 눈으로 파악하고 재생산하는 능력을 키운다.

 

▪️ 문제 해결력 강화
엉킨 실을 풀고 다음 모양을 고민하는 과정이 두뇌 발달에 도움을 준다.

▪️ 협동·소통 능력
두 사람이 번갈아하는 실뜨기에서 자연스럽게 서로를 배려하게 된다.

 

▪️ 창의력 발달
하나의 실로 무궁무진한 모양을 만들며 상상력이 자란다.

한국의 실뜨기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어린 시절의 정서, 가족의 온기, 생활의 지혜가 깃든 문화였다.


🧒 5. 삶의 예시

겨울 저녁, 방 안에 따뜻한 온돌 열기가 퍼진다.


어머니가 쓰던 남은 실 한 타래를 들고 아이 둘이 마주 앉아 실뜨기를 시작한다.

 

“내가 사다리 만들게!”


“좋아, 내가 다음 모양 바꿀게!”

 

실 한 가닥이 손끝에서 춤을 추듯 움직이고, 새로운 모양이 만들어질 때마다 아이들은 함박웃음을 터뜨린다.

 

갓난아이는 옆에서 형을 바라보고 손뼉을 치고, 어머니는 부드러운 눈빛으로 그 모습을 지켜본다.

 

그 작은 고리 하나에 겨울의 추억, 가족의 따뜻함, 아이들의 꿈이 담겼다.


🌍 6. 세계의 유사 놀이 비교

▪️ 일본 – 아야토리(あやとり)
두 사람이 주고받는 방식이 한국과 거의 동일함.

 

▪️ 북미 원주민 – 캐츠 크래들(Cat’s Cradle)
‘고양이의 요람’이라는 의미로, 협동형 실뜨기 놀이가 발달.

 

▪️ 한국 – 실뜨기
한지·바느질·섬유문화의 전통과 결합한 생활형 지혜놀이.


🌸 따뜻한 한마디

실 한 가닥이 손끝에서 이어져 웃음과 협동, 추억이 만들어집니다.


실뜨기는 단순한 놀이 같아도 우리를 하나로 이어주던 가장 순수한 연결의 놀이였습니다.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