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설화 시리즈 148편
완도 청해진 장보고 보물 전설
⚓ 1. 설화의 배경
전라남도 완도에는 신라 시대의 위대한 해상왕 장보고가 세운 청해진이 있습니다.
그는 바다를 지배하며 무역을 통해 나라를 부강하게 했고, 해적을 물리쳐 백성들을 지켜냈습니다.
그러나 장보고와 청해진에는 단순한 역사만이 아니라, 지금까지도 사람들 사이에 전해지는 신비한 보물 전설이 남아 있어요.
📜 2.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옛날, 장보고는 청해진을 세우고 동아시아 바다를 누비며 무역으로 큰 부를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그에게 보물은 단순한 금은재물이 아니라, 백성들을 위해 써야 할 자산이었지요.
그는 바다에서 얻은 재물을 곳간에 쌓아두기보다, 다리를 놓고 절을 세우며 가난한 이들을 돕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장보고는 자신에게 닥칠 음모와 위기를 예감했습니다. 그는 가까운 부하에게 이렇게 당부했다고 합니다.
“내가 세상을 떠난 뒤, 청해진의 보물은 반드시 백성을 위해 쓰여야 한다. 탐욕스러운 자가 손대지 못하도록, 바다와 산이 스스로 지키게 할 것이다.”
그 후 장보고가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하자, 그의 보물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사람들은 “청해진의 바다 속에 장보고의 보물이 묻혀 있다”거나, “청해산의 깊은 동굴 속에 숨겨져 있다”는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특히 전설에 따르면, 보물을 숨긴 곳에는 용이 지키고 있어 탐욕으로 다가가는 자는 길을 잃고 돌아오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직하고 가난한 이가 우연히 그곳을 지나면, 작은 금덩이나 보물이 손에 들어왔다고 해요. 사람들은 이를 장보고가 백성을 위해 남긴 선물이라 믿었습니다.
🌾 3. 삶의 교훈
청해진 장보고 보물 전설은 단순히 ‘숨겨진 재물’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것은 부의 참된 의미와 올바른 사용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장보고는 권력과 부를 탐한 인물이 아니라, 공동체를 위해 그 힘을 쓰려 했던 지도자였습니다.
이 설화는 우리에게 재물은 쌓아두는 것이 아니라, 나누고 베풀 때 참된 가치가 있다는 교훈을 줍니다.
💡 4. 현대적 의미
오늘날 완도 청해진은 역사 유적으로 남아, 장보고의 업적과 정신을 기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보물 전설은 여전히 관광객과 지역 주민들에게 신비와 교훈을 줍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돈과 부는 삶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되지요.
장보고의 전설은 재물을 쓸 줄 아는 지혜, 그리고 공동체를 위한 나눔의 정신이야말로 진정한 보물이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 5. 따뜻한 한마디
완도 청해진 장보고 보물 전설은 이렇게 속삭입니다.
“재물은 바다의 파도와 같다. 움켜쥐면 흩어지고, 흘려보내면 다시 돌아온다.”
> 📌 본 글은 ‘미소지음 이야기’ 블로그의 창작 콘텐츠입니다.
> 글과 이미지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
'한국 설화와 세계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설화 : 진안 마이산 부부 바위 이야기 (1) | 2025.08.31 |
---|---|
한국 설화 : 장수 논개 바위 설화 (1) | 2025.08.29 |
한국 설화 : 금산 칠백의총 의병 전설 (3) | 2025.08.28 |
한국 설화 : 순천 송광사 승려들의 기도 이야기 (3) | 2025.08.27 |
한국 설화 : 강진 다산초당 정약용 설화 (3) | 2025.08.25 |
한국 설화 : 공주 무령왕릉 금귀걸이 이야기 (6) | 2025.08.25 |
한국 설화 : 보성 대원사 동백숲 설화 (0) | 2025.08.24 |
한국 설화 : 해미읍성 의로운 장수 이야기 (0) | 2025.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