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설화 #아이와함께 #교훈있는이야기 #잠자리이야기 69

🐦 한국 설화 : 까치가 이룬 인연

🐦 한국 설화 시리즈 96편 까치가 이룬 인연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어느 산골 마을에 마음씨 곱고 부지런한 처녀가 살고 있었어.그녀는 날마다 부모님을 정성껏 모시며 살았지만,마을 사람들은 가난하다는 이유로 그녀를 무시했지. 어느 봄날, 처녀가 산길을 걷는데 다리가 부러져 날지 못하는 까치 한 마리를 발견했어.처녀는 불쌍한 까치를 집으로 데려와 정성껏 치료해 주었고,며칠 뒤 까치는 기운을 차려 하늘로 날아갔어. 그날 밤, 처녀의 꿈에 까치가 나타나 말했어.“당신의 선한 마음에 보답하고 싶습니다.내일 저 큰 느티나무 아래를 찾아가 보세요. 당신의 인연이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다음 날, 처녀가 꿈에서 본 느티나무 아래로 가자마침 사냥을 나온 총각이 있었고,두 사람은 첫눈에 서로의 진심을 느..

🌸 한국 설화 : 비녀에 깃든 선녀의 혼

🌸 한국 설화 시리즈 95편 비녀에 깃든 선녀의 혼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한적한 산속 마을에 마음씨 착한 청년이 살았어.어느 날 청년은 산속 연못에서 반짝이는 물결 사이로 목욕을 하고 있는 선녀를 보게 되었지.놀란 청년은 뒤돌아가려 했지만, 선녀는 부드럽게 미소 지으며 다가와 말했어.“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입니다.하지만 잠시 머물렀던 이곳에서 하늘로 돌아갈 시간이 다가왔어요.그러나 인간 세상에 다시 오고 싶다면 이 비녀가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선녀는 자신의 머리에서 은빛으로 빛나는 비녀를 뽑아 청년에게 건네며 당부했어.“이 비녀를 소중히 간직해 주세요.언젠가 당신이 그리울 때, 이 비녀를 통해 다시 내려올 수 있을 거예요.그리고 만약 당신이 위험에 처하면 이 비녀가 빛나며 당신을 지켜줄..

🌊 한국 설화 : 장보고의 바다신 전설

🌊 한국 설화 시리즈 92편 장보고의 바다신 전설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통일신라 시대, 해상무역의 영웅 장보고가 바다를 건너며 무역을 하던 중이었어.그의 배는 늘 순조롭게 항해했고, 폭풍우가 몰아쳐도 신기하게 무사했지. 사람들은 그 이유가 장보고가 바다신에게 제를 올려 바다의 가호를 받았기 때문이라고 전했어. 어느 날, 장보고가 항해 중에 꿈을 꿨는데,푸른 용이 나타나 *“네가 바다를 지키고 사람들을 살렸으니, 나도 너를 지키겠다”*라고 말했어. 그 뒤로 장보고의 배가 지나는 길은 늘 평온했고,바다신은 장보고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를 보호했다고 전해져. 🪞 2. 설화가 주는 교훈 자연의 힘을 두려워하고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는 가르침정의롭고 의로운 마음으로 사람들을 돕는 이는결국 자연..

🌙 한국 설화 : 굿당에 사는 여인

🌙 한국 설화 시리즈 91편 굿당에 사는 여인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한 마을에는 오래된 굿당이 있었어.밤이 되면 굿당에서 가냘픈 여인의 노랫소리가 들렸고,사람들은 그곳에 굿당 여인 귀신이 산다고 수군거렸지. 하지만 어느 날, 마음씨 착한 나무꾼이밤늦게 귀가하다 굿당에 들러 여인을 보게 되었어.그 여인은 억울하게 죽은 마을 처녀의 영혼이었고,“내 사연을 풀어주면 이 마을에 복을 내리겠다”라고 했어. 나무꾼이 마을 어른들과 함께 진심으로 제를 올리자여인은 미소를 지으며 굿당을 떠났고,그 후로 마을엔 풍년과 평화가 찾아왔대. 🪞 2. 설화가 주는 교훈 억울함은 언젠가 반드시 드러나며,진심 어린 위로와 공감은 사람과 세상을 치유한다.또한 사람이 떠난 뒤에도 기억과 정성을 다하면 복이 돌아온다는..

🌲 한국 설화 : 늑대와 셋째 아이

🌲 한국 설화 시리즈 90편늑대와 셋째 아이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깊은 산골 마을에 세 남매가 살고 있었어요.어느 날 부모님이 일을 나가고, 아이들만 집을 지키고 있었는데무서운 늑대가 몰래 마을로 내려왔어요. 늑대는 첫째와 둘째 아이를 겁주어 묶어 놓고,셋째 아이마저 잡아먹으려 했죠. 하지만 셋째 아이는 침착하게 늑대에게 말했어요.“늑대야, 우리 가족을 해치면 네가 배불러질지 몰라도,이 산에서 평생 쫓기는 신세가 될 거야.” 늑대는 잠시 멈칫했고,셋째 아이가 몰래 준비해둔 뜨거운 재를 뿌리자깜짝 놀라 도망가 버렸어요. 그날 이후 마을 사람들은용기와 지혜가 힘보다 더 강하다는 사실을 배우게 되었답니다. 🪞 2. 삶의 교훈 약해 보여도 지혜와 용기가 있다면 어려움을 이길 수 있다겁에 질리..

🌲 한국 설화 : 늙은 부모를 모신 나무꾼

🌲 한국 설화 시리즈 88편늙은 부모를 모신 나무꾼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깊은 산골에 마음씨 착한 나무꾼이 살고 있었어요.그는 몸이 불편한 늙은 부모님을 정성껏 모시며 매일 나무를 해 생계를 이어갔죠. 어느 날, 산에서 나무를 하던 나무꾼은 길을 잃고 헤매다가산신령을 만나게 되었어요.산신령은 **“네가 늙은 부모를 지극정성으로 모셨으니 상을 주겠다”**며하루에 단 한 번만 소원을 이룰 수 있는 금빛 나뭇가지를 선물했어요. 나무꾼은 그 나뭇가지를 부모님의 약이 될 산삼으로 바꾸고,부모님의 지팡이로 바꾸며 한 번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쓰지 않았어요. 그 효심에 감동한 산신령은 나무꾼이 사는 마을을 풍요롭게 해주었고,나무꾼과 부모님은 평생 행복하게 살았다고 해요. 🪞 2. 삶의 교훈 진심 어..

🌲 한국 설화 : 오봉산 다섯 형제 전설

🌲 한국 설화 시리즈 87편오봉산 다섯 형제 전설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옛적, 강원도 깊은 산골에 힘이 장사인 다섯 형제가 살고 있었어요.형제들은 성격은 다 달랐지만, 마을을 지키겠다는 마음만은 한결같았죠. 어느 날, 마을에 큰 재앙이 닥쳐 산이 무너지고 강물이 범람했어요.형제들은 서로 손을 맞잡고 마을을 지키기 위해 힘을 모았고,각자 자신의 몸으로 흙더미와 강물을 막아냈어요. 그러나 그 힘이 너무 컸는지, 다섯 형제는 결국자신들의 몸이 그대로 바위가 되어 산이 되었다고 해요. 그렇게 생긴 다섯 봉우리를 사람들은**형제들의 희생과 의리를 기리며 ‘오봉산(五峰山)’**이라 불렀답니다. 🪞 2. 삶의 교훈 가족과 형제애, 그리고 공동체를 위한 희생의 가치작은 힘이 모이면 큰 재앙도 막을 ..

🌲 한국 설화 : 물가에서 만난 환생

🌲 한국 설화 시리즈 86편물가에서 만난 환생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 한 마을에 지극히 사랑했던 부부가 있었어요.그러나 남편이 젊은 나이에 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아내는 깊은 슬픔에 잠겼죠. 세월이 흘러 아내가 어느 날 마을 근처 물가에 나가 빨래를 하고 있는데,물 위에 떠오른 낯익은 그림자가 그녀를 부르듯 다가왔어요.깜짝 놀라 바라보니, 물속에서 예전 남편과 똑같은 얼굴을 한 사내가 나타났죠.그 사내는 조용히 말을 건넸어요.“나는 전생에 그대를 두고 떠난 죄로 이곳 강에 묶여 있었소.오늘 그대를 만나 마지막 인연을 풀고자 왔소.” 눈물로 재회를 나눈 두 사람은 서로를 향한 미련을 털어내고그 순간 사내는 빛처럼 사라졌다고 해요. 그 후 마을 사람들은 물가에서 누군가를 만나는 꿈을 꾸면과거 ..

🌲 한국 설화 : 고려 여인의 충절

한국 설화 시리즈 85편고려 여인의 충절 🪵 1. 이야기 줄거리 고려 말기, 전란으로 나라가 어지러웠던 시절에어느 마을에 정절이 깊은 여인이 살고 있었어요. 그녀의 남편은 전쟁에 나가 소식이 끊겼지만여인은 끝까지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며다른 청혼이나 유혹을 단호히 거절했죠. 세월이 흘러도 남편의 소식은 들리지 않았고마을 사람들은 **“이제 그만 다른 삶을 살아도 되지 않느냐”**고 했지만여인은 **“내 마음은 이미 남편에게 속했으니 바꿀 수 없다”**며평생을 기다리다 생을 마감했다고 해요. 그 후 사람들은 그녀의 절개를 기려마을 어귀에 **‘충절비(忠節碑)’**를 세워두었고그 앞을 지나가는 이들은 고개를 숙여 예를 표했다고 전해집니다. 🪞 2. 삶의 교훈 한 번 맺은 인연에 끝까지 충실하려는..

🌲 한국 설화 : 지킴이 금줄 이야기

한국 설화 시리즈 84편지킴이 금줄 이야기 🪵 1. 이야기 줄거리 옛날에는 아기가 태어나면 집 대문에 금줄을 걸었어요.금줄은 볏짚으로 꼬아 만든 줄에 숯, 마늘, 고추 등을 꿰어 달았는데이는 악귀와 나쁜 기운이 집에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부적 같은 역할을 했어요. 어느 날, 한 마을에 아기가 태어나 금줄이 걸렸는데지나가던 도깨비가 그 금줄을 보고는 “앗, 무서운 것이 달려 있구나!” 하며집에 들어가기를 포기하고 달아났다고 해요. 마을 사람들은 그 이야기를 들으며금줄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아기와 가족을 지키는 수호의 상징이라고 믿게 되었답니다. 🪞 2. 삶의 교훈 작은 풍습에도 조상들의 지혜와 믿음이 깃들어 있다공동체가 함께 아기의 탄생을 축복하고 보호했던 전통눈에 보이지 않는 두려움도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