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뜻 28

한국 속담 : 고래 등같이 넓다

한국 속담 시리즈 150편고래 등같은 기와집 🐋 1. 속담 뜻풀이 **“고래 등같이 넓다”**는 매우 넓고 탁 트인 상태를 비유하는 속담이에요. 고래의 등이 크고 평평하게 드러나 있는 모습에서 나온 표현으로, 주로 넓은 들판이나 광활한 바다, 허허로운 공간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2. 삶의 예시 ▪️ 끝없이 펼쳐진 들판을 보며 “고래 등같이 넓다”라고 표현할 수 있어요.▪️ 농부가 논밭을 바라보며 그 넓음을 자랑할 때 쓰이기도 합니다.▪️ 또는 사람의 마음이나 기개가 탁 트이고 넓음을 비유할 때도 사용되지요.🌍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鯨の背のように広い」 (고래 등처럼 넓다 — 같은 비유적 표현이 있음) 중국 : “海阔天空” (바다는 넓고 하늘은 드넓다 — 매우 넓고 트인 경치나 마..

한국 속담 :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한국 속담 시리즈 149편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 🧂 1. 속담 뜻풀이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는 아무리 가까이 있고 흔한 것이라도 실제로 쓰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의미의 속담이에요. 부뚜막에 소금이 늘 있더라도 그걸 음식에 넣지 않으면 음식이 짜질 수 없듯, 행동과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지요.🌿 2. 삶의 예시 ▪️ 책이 아무리 많아도 읽지 않으면 지식이 쌓이지 않는 경우.▪️ 운동기구가 집에 있어도 쓰지 않으면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 모습.▪️ 좋은 기회가 눈앞에 있어도 실행하지 않으면 아무 변화가 없는 삶. 즉, 행동으로 옮겨야 결과가 나온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塩は使わなければ味がしない」 (소금은 쓰지 않으면 맛을..

한국 속담 : 거미줄에 목을 맨다

한국 속담 시리즈 148편거미줄에 목을 맨다 🕸️ 1. 속담 뜻풀이 **“거미줄에 목을 맨다”**는 아무 쓸모없고 힘없는 것에 기대거나, 도저히 불가능한 방법에 의지하려는 상황을 비유하는 속담이에요. 거미줄은 너무 약해서 무언가를 걸면 금세 끊어지지요.그런데 거기에 목을 맨다는 건, 애초에 기대할 수 없는 것을 의지한다는 어리석음을 꼬집은 표현입니다.🌿 2. 삶의 예시 ▪️ 재정적으로 큰 어려움에 빠진 사람이 터무니없는 소문난 투자 사기에 기대는 경우.▪️ 공부를 전혀 안 한 학생이 시험 전날 밤새서 벼락치기에만 의지하는 모습.▪️ 기초가 전혀 안 되어 있는데, 작은 수단만으로 큰 결과를 얻으려는 시도. 이 속담은 허망한 기대와 근거 없는 의지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알려줍니다.🌍 3. 외국의 유사 속..

한국 속담 : 모르는 게 약이다

한국 속담 시리즈 147편모르는 게 약이다 💊 1. 속담 뜻풀이 **“모르는 게 약이다”**는차라리 알지 못하는 것이 마음 편할 때가 있다는 뜻이에요. 불필요한 사실이나 불쾌한 진실을 알면 괴로워지기 때문에, 모르고 지나가는 편이 더 낫다는 교훈을 담고 있지요.🌿 2. 삶의 예시 ▪️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 괜히 불안해하며 걱정하는 것보다 차라리 모르는 편이 마음이 가벼울 때.▪️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해 한 안 좋은 말, 굳이 알지 않았으면 더 관계가 편했을 때.▪️ 회사 내 비밀이나 속사정, 알게 되면 괜히 스트레스만 쌓이는 경우. 즉, 어떤 지식이나 정보는 알지 않는 것이 더 나은 경우가 있다는 지혜를 담고 있어요. 🌍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知らぬが仏」 (모르면 부처다 — ..

한국 속담 : 도랑 치고 가재 잡는다

한국 속담 시리즈 146편도랑 치고 가재 잡는다 🦞 1. 속담 뜻풀이 **“도랑 치고 가재 잡는다”**는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동시에 다른 이익까지 얻는 상황을 비유하는 속담이에요. 도랑을 치면(정리하거나 파내면) 자연스레 그 안에 있던 가재도 잡히듯, 하나의 행동으로 두 가지 효과를 얻는 지혜를 표현한 말이지요. 🌿 2. 삶의 예시 ▪️ 집 대청을 청소하다가 잃어버린 물건까지 함께 찾아낸 경우. ▪️ 공부를 열심히 하다 보니 성적이 오르고, 동시에 습관도 좋아진 학생. ▪️ 운동을 위해 등산을 갔는데, 경치도 즐기고 건강도 챙기는 모습. 즉, **일석이조(一石二鳥)**처럼 하나의 행동에서 여러 성과를 얻는 상황을 가리킵니다. 🌍 3. 외국의 유사 속담 비교 일본 : 「一石二鳥」 (한 개의 돌로..

한국 속담 :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

한국 속담 시리즈 23편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고난을 겪은 후에는 더욱 단단해진다"✅ 속담 풀이‘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는 비가 와서 질퍽해진 흙도 시간이 지나면 더 단단해진다는 자연의 이치를 담은 속담이야.우리 삶도 마찬가지야. 어려움이나 시련을 겪은 후에 더 단단하고 강해질 수 있다는 교훈을 주지. 📌 이 속담은 인생의 고비에서 희망과 회복의 메시지를 건네주는 따뜻한 말이야.🌏 비슷한 외국 속담What doesn’t kill you makes you stronger.(당신을 죽이지 못한 고난은 당신을 강하게 만든다)After the storm comes the calm.(폭풍이 지나면 고요가 온다)외국 속담도 비슷한 교훈을 주지만, 한국 속담은 자연과 삶을 연결한 비유가 훨씬 부드럽고 따뜻..

한국 속담 : 공든 탑이 무너지랴

한국 속담 시리즈 22편공든 탑이 무너지랴"정성 들여 쌓은 탑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속담 풀이‘공든 탑이 무너지랴’는 오랜 시간 정성과 노력을 다한 일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는 뜻이야.‘공든’이란 말은 공들인이라는 의미로, 진심과 정성을 담아 쌓은 탑은 시간이 지나도 무너지지 않는다는 교훈을 담고 있지. 📌 이 속담은 특히 꾸준함, 성실함, 인내심의 가치를 알려줘. 지금 당장 보이지 않더라도 차곡차곡 쌓아온 노력은 절대 배신하지 않는다는 따뜻한 믿음이 담겨 있어.🌏 비슷한 외국 속담Rome wasn’t built in a day.(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 영어 속담서양에서도 비슷한 의미로 위대한 일은 시간이 걸리고, 정성과 인내가 필요하다는 속담이 있어.하지만 한국 속담은 더 정..

한국 속담 :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한국 속담 시리즈 21편 ✅ 속담 풀이‘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는 말은 아무리 익숙하고 능숙한 사람이라도 실수를 할 수 있다는 뜻이야.원숭이는 나무를 잘 타는 동물인데도, 때때로 나무에서 떨어질 수 있다는 재치 있는 비유를 사용한 거지. 📌 이 속담은 실수에 대해 너무 자책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말자는 따뜻한 관용과 이해의 메시지를 담고 있어. 🌏 비슷한 외국 속담Even Homer sometimes nods.(호메로스도 때때로 졸 수 있다) — 영어 속담Anyone can make a mistake.(누구나 실수할 수 있다)서양 속담들도 비슷한 메시지를 담고 있어.그렇지만 한국 속담은 동물과 상황을 연결한 생생한 이미지로 더 쉽게 기억되고, 유쾌한 여운까지 남겨주지.📚 예시 상황실수한 친구가 속..

한국 속담 :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한국 속담 시리즈 20편 ✅ 속담 풀이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는 무언가를 얻고자 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용기와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뜻이야.이 속담은 특히 두려움을 무릅쓴 도전 정신을 강조하지. 📌 아무리 두렵고 위험해 보여도,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직접 그 속으로 뛰어들어야 해.🌏 비슷한 외국 속담Nothing ventured, nothing gained.(모험 없이는 얻는 것도 없다) — 영어 속담이 속담도 비슷하게 리스크를 감수해야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어.하지만 한국 속담은 좀 더 생생한 이미지와 비유를 통해 위험의 실체와 그것을 넘는 용기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예시 상황원하는 직장에 지원할까 말까 고민하던 친구에게→ “야, 호랑이 굴에 가야 호..

한국 속담 : 백문이 불여일견

한국 속담 시리즈 19편백문이 불여일견"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속담 풀이 ‘백문이 불여일견’은 아무리 많이 들어도 한 번 직접 보는 것이 더 확실하다는 뜻이야.지식이나 정보는 머리로 이해하는 것보다, 직접 눈으로 보고 경험해야 진짜를 알 수 있다는 걸 강조하지. 📌 이 속담은 실전과 체험의 중요성을 일깨워줘. 특히 직접 경험을 통해 진실을 깨닫는 지혜를 담고 있지.🌏 비슷한 외국 속담Seeing is believing.(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 영어 속담영어 속담도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하지만 영어에서는 ‘보지 않으면 믿을 수 없다’는 신뢰의 관점이 강하고, 한국 속담은 ‘듣는 것보다 보는 게 더 정확하다’는 경험과 실천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지.📚 예시 상황여행 가기..